메뉴 건너뛰기

경희대·충남대 공동 연구팀
미세아교세포 역노화 기술 개발
동물 모델서 인지기능 향상 확인

미세아교세포 역노화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방식을 보여주는 그림./한국연구재단


뇌 속에서 청소부 역할을 하는 세포를 젊게 만들어서 뇌의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동운 경희대학교 치의예과 교수 연구팀과 신효정 충남대학교 뇌과학연구소 박사는 공동 연구를 통해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역노화 시키는 기술을 개발해 치매 치료의 가능성을 찾았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신경퇴화(Molecular Neurodegeneration)에 지난 3월 18일 실렸다.

미세아교세포는 뇌에서 신경 퇴행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신경 뉴런을 보호하는 세포다. 뇌 회로를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일종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치매는 뇌에 독성을 띠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플라크가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발생한다.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는 단백질이 뭉쳐진 덩어리를 말한다.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이 정상일 때는 이 덩어리를 먹어 치우지만, 미세아교세포가 노화되면 탐식 기능도 저하되면서 뇌인지 기능 장애가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약물 전달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나노입자가 미세아교세포에 높은 효율로 섭취된다는 점에 착안해 표적 유전체를 전달할 방법을 찾았다.

이 방법을 알츠하이머를 겪고 있는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나노입자가 전달한 표적 유전체가 세포노화유도인자인 ‘p16ink4a’ 유전자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덕분에 늙은 미세아교세포가 젊은 미세아교세포로 역노화했고, 미세아교세포의 탐식과 인지기능도 향상됐다.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 조절을 통해 다양한 뇌질환을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Mol. Neurodegener(2024),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38493185/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971 '채상병 특검' 통과되나‥여당서도 찬성 목소리 랭크뉴스 2024.04.13
7970 둘 중 뭐부터 갚아야 할까요? ①연체 대출 ②대부업 대출…고금리 시대를 사는 법[경제뭔데] 랭크뉴스 2024.04.13
7969 비트코인 6만6000달러선 붕괴…이더리움·솔라나도 동반 급락 랭크뉴스 2024.04.13
7968 "대통령과 당연히 만날 것"‥"정권 심판 협력" 랭크뉴스 2024.04.13
7967 '조국당+α' 교섭단체 만드나…민주 "예인선 되면 곤란" 견제 랭크뉴스 2024.04.13
7966 심판론과 막말에 치여 정책은 실종된 총선···시민사회 “선거 끝이라고 문제 덮지 말라” 랭크뉴스 2024.04.13
7965 ‘무엇까지 빌려봤니?’ 소유할 수 없지만 매력적인, 공유의 시대가 온다 랭크뉴스 2024.04.13
7964 교사가 놓친 것 찾아낸다…학폭 잡는 수사반장∙호랑이 선생님 랭크뉴스 2024.04.13
7963 '호피 무늬의 제왕' 伊 패션디자이너 로베르토 카발리 별세 랭크뉴스 2024.04.13
7962 중국 초등생 휩쓴 담배카드 게임…필요한 건 금지일까 놀이일까 랭크뉴스 2024.04.13
7961 “‘낙선’ 태영호 찾아와 꽃다발 축하”…감동한 윤건영 랭크뉴스 2024.04.13
7960 "서열 무시해?" 초등생 자녀 온몸 멍들게 때린 무속인 부모 실형 랭크뉴스 2024.04.13
7959 서울 강변북로에서 맥주 상자 쏟아져…차량 정체 랭크뉴스 2024.04.13
7958 백악관 “이란 발 위협은 실제”…주식 등 자산 시장 출렁 랭크뉴스 2024.04.13
7957 '방에 대변눴냐' 질책한 아내 마구 폭행…불까지 지르려 한 70대 랭크뉴스 2024.04.13
7956 "분명 군대식 말투였는데"…'50인분 닭백숙' 주문에 운 식당들 왜 랭크뉴스 2024.04.13
7955 "차라리 가서먹자"…팬데믹 때 대유행 배달전문 식당들 문닫는다 랭크뉴스 2024.04.13
7954 원희룡 낙선인사도 동행, 의리의 이천수…“나도 쫄았다” 랭크뉴스 2024.04.13
7953 [주간코인시황] 비트코인, 홍콩 ETF 승인 전망에 반등 랭크뉴스 2024.04.13
7952 '총선 입장 발표' 검토‥쇄신 대상서 안보실 제외 랭크뉴스 2024.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