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과일 판매대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이 범야권의 압승으로 끝난 가운데 정부가 추진 중인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 개정안과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제정 등 유통 관련 민생법안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선 규제 완화 기조에 초점을 맞춰온 정부·여당의 입법과제 처리에 난항을 겪게 될 거란 전망이 나온다.

1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주말 의무휴업 규제를 완화하고 새벽 배송을 허용하는 유통법 개정안은 지난 21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한 채 상임위원회에 계류된 상태다.

유통법은 2013년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행됐다. 지방자치단체장이 ‘오전 12시(자정)~오전 10시’까지 대형마트 영업시간을 제한하도록 하고, 매월 이틀은 의무 휴업일을 지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지자체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공휴일로 지정해 왔으나, 지난 1월 민생토론회에서 정부가 생활 규제 개선안으로 대형마트 영업규제 개선 방안을 발표한 후 분위기가 반전됐다. 지난 2일 기준 대구시와 충북 청주, 서울 동대문구와 서초구, 부산시 등 전국 기초 지자체 76곳에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하기로 했다.

그러나 유통법으로 인해 대형마트가 온라인으로 주문받은 상품을 비(非) 영업시간에 배송하는 것은 여전히 금지된 상황이다.

정부는 22대 국회가 문을 열면 유통법 개정안을 다시 발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해당 개정안에 부정적이어서 난항이 예상된다.

앞서 국회 소관 상임위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회의록에 따르면 여당 의원은 “대형마트에 대한 온라인 규제로 쿠팡만 좋아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야당 의원은 “이 법을 처리하면 이마트 매출은 좀 오를지 모르겠지만, 전통시장이나 재래시장은 다 죽는다”며 맞섰다.

그래픽=이민경

업계에선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한 현실에서 오프라인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를 고집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란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산업부가 발표한 ‘2023년 연간 유통업체 매출 동향’을 보면 지난해 온라인 유통 시장 규모는 전체 유통 매출 비중의 50.5%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오프라인을 앞질렀다.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유통업체와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의 성패도 뒤바뀌었다. 빠른 배송(로켓배송)을 앞세운 쿠팡은 지난해 영업이익 6174억원을 내며 첫 연간 흑자를 기록했지만, 대형마트 업계 1위 이마트는 영업손실 469억원을 내며 적자로 전환했다. 이마트는 지난달 창사 이래 처음으로 전 계열사 대상 희망퇴직을 공고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휴일 규제를 풀고 있긴 하나, 온라인 중심으로 시장이 바뀐 만큼 휴일 온라인 영업이 가능한 상황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면서 “야당의 중소상인 보호 의지가 강해 22대 국회에서도 규제 완화가 쉽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연초 논의가 중단된 플랫폼법의 재추진 가능성도 주목된다. 해당 법은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를 지정해 끼워팔기 등 반칙행위를 차단하는 내용을 답은 특별법이다. 그러나 미국 상공회의소가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데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이 거세지자 정부는 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이커머스 업체 한 관계자는 “총선 후 플랫폼법 재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규제를 하자니 국내 플랫폼이 어려워지고, 자율 규제로 맡기자니 알리·테무를 규제할 수 없어 정부도 고민이 될 듯”이라고 말했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 유통연구소장은 “유통법 개정과 플랫폼법 제정이 지지부진한 이유는 뚜렷한 목적이 없기 때문”이라며 “글로벌 유통 트렌드가 급변하는 데 반해, 해당 규제들은 이를 통해 보호할 대상이 명확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자동차, 반도체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말하면서 유통은 내수시장에 초점을 두고 정책을 펼치는 것이 문제”라면서 “규제에 있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수 싸움이 아니라 글로벌에서 경쟁력을 갖는 방향으로 규제하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667 심상정 “시민의 자리로 돌아갈 것”… 정계 은퇴 시사 랭크뉴스 2024.04.11
11666 [속보] 법무부 "메이슨 사건 중재판정, 오늘 오후 7시 선고" 랭크뉴스 2024.04.11
11665 윤 대통령 “국민 뜻 겸허히 받들어 국정 쇄신”…한 총리는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4.04.11
11664 가수 리아도 금배지 단다... 비례 전망 국민의미래 18, 민주연합 13, 조국혁신당 12, 개혁신당 1 랭크뉴스 2024.04.11
11663 국가채무 1천127조 '역대 최대'‥재정준칙 달성 실패 랭크뉴스 2024.04.11
11662 류준열, 김주형 캐디로 변신… 그린피스 홍보대사 아니었어? 랭크뉴스 2024.04.11
11661 '경찰국 반대' 류삼영·이지은 낙선... 그래도 경찰 출신 금배지 역대 최다 랭크뉴스 2024.04.11
11660 정경심에 징역 4년 선고한 대법관, 이번엔 조국 상고심 맡는다 랭크뉴스 2024.04.11
11659 尹 "민심 겸허히 받들겠다"... 한덕수 총리 · 이관섭 비서실장 등 사의표명 랭크뉴스 2024.04.11
11658 나라살림 87조 적자…코로나 때 빼고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4.04.11
11657 이번 주말 덥다 “초여름 날씨"…한낮 최고 기온이 무려 랭크뉴스 2024.04.11
11656 심상정, 정계 은퇴 선언…"진보정당 25년 참 쉽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4.04.11
11655 국민의힘 자숙 모드 “4월은 잔인한 달···폐허 위에 다시 시작” 랭크뉴스 2024.04.11
11654 민주 175, 국힘 108, 조국혁신당 12, 개혁신당 3, 새미래 1, 진보 1 랭크뉴스 2024.04.11
11653 뇌 속 청소부 젊게 만드는 방법 찾았다… "치매 치료 가능성 확인" 랭크뉴스 2024.04.11
11652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코로나 시기 빼면 최악…국가채무 1126조, GDP 50% 첫 돌파 랭크뉴스 2024.04.11
11651 20년 뒤 한국, 생산연령인구 3명이 노인 2명 돌본다 랭크뉴스 2024.04.11
» »»»»» 범야권 압승에 유통 규제완화 제동... 유통법·플랫폼법 향방은 랭크뉴스 2024.04.11
11649 이준석·나경원·안철수·김기현…尹에 밀려났던 비윤, 모두 살았다 랭크뉴스 2024.04.11
11648 웃음기 빼고 표정 관리 나선 이재명[국회 풍경] 랭크뉴스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