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저출생으로 학생 수 급감하는데 교대생 숫자는 13년째 '제자리'


초등학교 입학식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4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성자초등학교에서 입학식이 열리고 있다. 2024.3.4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화하면서 신규교사 채용 규모가 축소된 데 이어 '예비 교사'를 길러내는 교육대학교 정원까지 줄어들게 됐다.

미래에 학생이 될 출생아 수가 이미 10년 전부터 급격하게 줄기 시작했는데 교대생 숫자는 이를 제때 따라가지 못해 임용 경쟁률이 치솟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올해 초등 입학생 30만명대 붕괴…반등 가능성 요원
11일 '2023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4월 1일 기준) 유·초·중·고교 학생 수는 578만3천612명으로 전년 대비 9만6천156명(1.6%) 줄었다.

학생 수는 1986년 1천31만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감소세로 돌아서 1990년 1천만명 아래로 떨어졌고, 2021년에는 600만명대가 무너졌다.

이러한 학령인구 감소세는 최근 들어 특히 가팔라지고 있는데,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1학년 학생 숫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2014학년도 47만8천890명이었던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올해 사상 처음으로 40만명대가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취학 대상 아동이 36만9천441명이었고, 여기에 입학유예 아동 등의 숫자가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입학생은 36만명 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취학 대상 아동이 단 1명도 없는 학교도 전국에서 157곳에 달했다.

학령인구 감소세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의 '2024~2029년 학생 수 추계' 자료를 보면 초등학교 1학년은 내년 31만9천935명, 2026년에는 29만686명으로 줄어든 뒤 2029년에는 24만4천965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명으로 감소세를 면치 못한 점을 고려하면 학령인구 역시 단기간 내에 반등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두근두근' 첫 등교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4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초등학교에서 입학식을 마친 1학년 4반 신입생들이 교실에서 담임 선생님 말씀을 듣고 있다. 2024.3.4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급격한 학생 수 감소에 임용 경쟁률 높아지고 합격률 하락
이에 비해 교원 수급정책은 학령인구 감소세를 뒤늦게 쫓아가는 모양새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중장기(2024∼2027년) 교원수급계획을 보면 교육부는 2024∼2025년 초등교원 신규 채용을 연 3천200∼2천900명 내외로, 2023년(3천561명)보다 10.1∼18.6% 감축하기로 했다.

2026∼2027년에는 최대 27.0% 줄어든 연 2천900∼2천600명 내외를 채용할 계획이다.

이에 비해 2006년 6천224명에서 매년 줄어들던 교대 정원은 2012년 3천848명에서 멈췄다. 2016년에는 1명 줄어든 3천847명으로 동결됐는데 이 정원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신규 채용 규모가 줄고 있는데도 교대 정원이 바뀌지 않아 초등 예비교사 수가 계속 채용 규모를 웃도는 상태로 이어진 셈이다.

특히 사범대 정원이 2015년 9천579명에서 2022년 8천864명으로 715명(7.5%)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교대 정원의 동결은 두드러진다.

교대 정원을 줄이지 않으면 2024∼2025년에는 교대 졸업생이 신규 채용 규모의 최대 1.3배, 2026∼2027년에는 최대 1.5배에 달하는 상황이 된다.

임용에 합격하지 못한 인원이 누적되면 초등 임용 적체는 심화하게 된다.

과거에는 교대를 졸업하면 어렵지 않게 임용시험을 통과해 교단에 설 수 있었으나 이제 교대 입학이 취업을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2022학년도 초등교원 임용시험 합격률은 48.6%로, 2013년(43.5%) 이후 최저치였다. 초등 교원 임용 합격률은 2017학년도 69.5%를 기록한 이후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지역별로 보면 10~20%대의 '바늘구멍' 합격률을 기록하는 곳도 있다.

교육부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025학년도부터 교원양성대학 입학정원을 12% 줄이기로 했음에도 감축폭이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12% 감축과 함께 (교원양성대학 재학생 가운데) 중도이탈 비율을 고려하면 (교원양성대학 연 졸업생 숫자는 ) 3천명대 초반으로, 채용 규모와 비슷해질 것으로 본다"라며 "이후에도 대학 운영 현황, (신규 교사) 채용 규모, 학생들의 입학 상황을 꾸준히 고려하면서 (추가로) 조정할 여지는 꾸준히 있다"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630 22대 총선 최종 성적...민주 175·국민 108·조국 12·개혁 3 랭크뉴스 2024.04.11
11629 [속보]한동훈 “비대위원장직 사퇴···패배는 대통령실 아닌 제 책임” 랭크뉴스 2024.04.11
11628 민주당 2연속 압승…거센 정권심판론에 이례적 여당 참패(종합3보) 랭크뉴스 2024.04.11
11627 '총선 참패'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직 사퇴‥"국민 뜻 준엄히 수용" 랭크뉴스 2024.04.11
11626 尹 "국민 뜻 받들어 국정 쇄신"…한총리·대통령실 참모진 사의(종합2보) 랭크뉴스 2024.04.11
11625 밀양 특정지역 고향 출신, 국회의원·시장·도의원·시의원 4개 선거 ‘싹쓸이’ 랭크뉴스 2024.04.11
11624 이준석 “이재명과 조국의 시간 서로 달라…야권 분화 일어난다” 랭크뉴스 2024.04.11
11623 [속보] 민주 175석 與 108석…조국혁신12·개혁신당3·새미래1·진보1 랭크뉴스 2024.04.11
11622 미 싱크탱크 “총선 패배에도 윤석열 외교 기조 변화없을듯” 랭크뉴스 2024.04.11
11621 [속보]한동훈, 비대위원장직 사퇴…"나라 걱정하며 살겠다" 랭크뉴스 2024.04.11
11620 이재명 “민주당의 승리 아닌 국민의 위대한 승리” 랭크뉴스 2024.04.11
11619 [단독] 말년의 언더우드 선교사 美에 보낸 편지 수십통 ‘햇빛’ 랭크뉴스 2024.04.11
11618 이재명 "국민들의 위대한 승리‥당선 기쁨 즐기기엔 상황 녹록지 않아" 랭크뉴스 2024.04.11
11617 [속보] 윤 대통령 “국민 뜻 받들어 국정 쇄신”…국무총리, 대통령 비서실장 등 일괄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4.04.11
11616 이재명 “국민의 위대한 승리”…민주, 대통령에 “만나자” 랭크뉴스 2024.04.11
11615 [속보] 총선 참패 한동훈, 비대위원장 사퇴..."국민 뜻 준엄하게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4.04.11
11614 중수본, 심장 등 필수·중증 분야 전문병원 보상 강화 논의 랭크뉴스 2024.04.11
» »»»»» 학령인구 절벽 영향 본격화…'예비교사'도 줄인다 랭크뉴스 2024.04.11
11612 어쩐지 발표 하루 미루더니…작년 나라살림 ‘87조 적자’ 랭크뉴스 2024.04.11
11611 한동훈 비대위원장직 사퇴…“국민 뜻 받아들여” 랭크뉴스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