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AP연합뉴스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영국 이론 물리학자 피터 힉스 에든버러대 명예교수가 지난 8일(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94세.

에든버러대는 9일 성명을 내고 “힉스 교수가 짧게 병을 앓고 나서 지난 8일 자택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힉스 교수는 1964년 힉스 보존(boson·기본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것으로 유명하다.

힉스 입자는 우주 탄생의 원리를 설명하는 가설 중 가장 유력한 ‘표준 모형’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의된 입자다. 표준 모형은 우주 만물이 12개 소립자와 4개 매개입자로 구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모형이 성립하려면 소립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입자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것이 힉스 입자다.

힉스 입자는 그가 이 같은 예측을 내놓은 지 반세기쯤 지난 2013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의 실험을 통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힉스 입자의 존재가 확인됐을 당시 83세였던 힉스 교수는 “내 평생 이런 날이 오리라고 기대하지 못했다”면서 눈물을 훔쳤다고 BBC는 전했다.

힉스 입자는 발견이나 관측이 지극히 어렵다. 이 때문에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리언 레더먼은 저서에서 ‘빌어먹을(Goddamn) 입자’라는 표현을 썼는데, 출판사의 권유로 ‘신(God)의 입자’로 바꾸면서 별칭으로 굳어졌다. 이론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힉스 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데 돈을 걸었다가 100달러를 잃었다는 일화도 있다.

힉스 교수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로 2013년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 자유대 명예교수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29년 잉글랜드 북서부 뉴캐슬에서 태어난 그는 킹스 칼리지 런던(KCL)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에든버러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겸손한 성격이었던 그는 힉스 입자에 자신의 이름만 붙은 것을 불편하게 여겼다고 한다. 1999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수여하는 작위를 거절했고, 2013년 작위가 부여되지 않는 명예 훈작만 받았다.

비슷한 시기에 다른 물리학자들도 이 입자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는데도 힉스 교수의 이름만 붙은 것은 한국 출신 미국 물리학자 이휘소(벤자민 리) 박사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 박사는 1972년 ‘힉스 입자에 미치는 강력(강한 핵력)의 영향’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는 등 힉스 입자라는 명칭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피터 매티슨 에든버러대 부총장은 “힉스는 훌륭한 사람이었고 비전과 상상력으로 이 세상에 대한 지식을 확장해준 재능있는 과학자였다”며 “그의 선구자적 작업은 과학자 수천명에게 동기를 부여했고 그의 유산은 향후 여러 세대에게 영감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770 당신이 바꾼다...정치판 흔들릴 주목 지역구 [4월10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4.04.10
19769 22대 총선 10시 투표율 10.4%···지난 총선보다 1%포인트 낮아 랭크뉴스 2024.04.10
19768 고조되는 중동의 전운...국제유가도 '비상' 랭크뉴스 2024.04.10
19767 겹겹이 싸맨 옷감 속 '청도 미라'…"382년 전 숨진 조선 남성" 랭크뉴스 2024.04.10
19766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10시 현재 10.4%…지난 총선보다 1%p↓ 랭크뉴스 2024.04.10
19765 ‘수출효자’라더니 이제는 ‘인플레 공범’이래… 억울한 ‘김’의 항변 랭크뉴스 2024.04.10
19764 총선 투표율 32년 만에 70% 넘을까... 여야 어느 쪽에 유리? 랭크뉴스 2024.04.10
19763 민주당 "대한민국 운명 투표에 달려‥정부·여당에 경종 울려야" 랭크뉴스 2024.04.10
» »»»»» ‘신의 입자’ 예견한 물리학자 피터 힉스 별세 랭크뉴스 2024.04.10
19761 [단독] '골프 애호가' 류준열, 김주형 캐디백 메고 마스터스 선다 랭크뉴스 2024.04.10
19760 총선 전날 병원 방문한 尹…“고생 많으십니다” [포착] 랭크뉴스 2024.04.10
19759 "대갈·새갈 공원을 아시나요?" 인천의 공원들 새 이름 얻어 랭크뉴스 2024.04.10
19758 선관위, 본투표 때도 대파·디올백·초밥 반입 안돼 “투표소 밖에 두고 출입” 랭크뉴스 2024.04.10
19757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10시 기준 10.4%‥지난 총선보다 1%p 하락 랭크뉴스 2024.04.10
19756 [총선]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10시 10.4%…지난 총선보다 1%p↓ 랭크뉴스 2024.04.10
19755 "엔비디아 독주 막아라" 인텔, 최신 AI칩 '가우디3' 공개 랭크뉴스 2024.04.10
19754 [이동훈 칼럼] 한·중·일 정상회담 ‘국뽕’ 대신 공감 외교를 랭크뉴스 2024.04.10
19753 “난임병원 가기 전 투표”… 출·퇴근길 ‘인증’도 이어져 랭크뉴스 2024.04.10
19752 1분기 국내車 판매량 1∼4위, RV가 휩쓸었다 랭크뉴스 2024.04.10
19751 40대 만취 운전자, SUV 몰고 주점으로 돌진…13명 날벼락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