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용등급 ‘AA’서 지난 2월 ‘B’로 전환
보증한도도 1조1288억으로 57% 줄어
대주단 약속에 1조5000억+α 달해‘넉넉’


태영건설의 건설공제조합 보증한도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개시 후 절반 이상 줄었지만 여전히 1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주요 채권은행이 추가 보증지원까지 약속하면서 사실상 태영건설은 보증 안전망을 이중으로 갖춘 상태다. 보증한도가 크면 신규 수주나 공사 진행에 걸림돌이 줄어 워크아웃 성공 가능성도 커진다.

업계에선 태영건설 부도시 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 현 정부 출범 후 워크아웃 1호 기업이라는 상징성 등이 보증한도 설정에도 감안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태영건설은 자금난을 겪는 여타 중소건설사와는 다른 특수 사례로, 건설업 전반에 퍼진 위기감은 여전하다.

경향신문이 9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의뢰해 받은 건설공제조합 자료를 보면, 2023년 초 ‘AA’였던 태영건설의 신용등급은 워크아웃 절차가 개시된 이후인 지난 2월 ‘B’로 전환됐다. 보증한도는 기존 2조6460억원에서 1조1288억원으로 57% 줄었다.

공제조합 보증은 건설사의 사업 진행에 필수적 요소다. 건설사업은 발주부터 완공까지 단계마다 제3기관의 보증이 필요하다. 통상 보증한도는 조합회사 출자좌수, 신용등급 등에 따라 산출되는데, 태영건설처럼 자금난에 문제가 생기면 보증등급이 떨어져 보증 수수료가 오르고 한도도 급락한다. 보증이 나오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신규 수주가 막혀 정상 영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태영건설은 워크아웃 절차 개시에도 보증한도가 1조원을 웃돌아 넉넉한 편이다. 여기에 지난 2월 금융채권자협의회에서 대주단이 총 4000억원 규모 보증(주택금융공사 포함)을 약속했고 ‘필요시 보증지원액을 더 늘리겠다’는 단서 조항도 추가해 태영건설 보증한도는 사실상 ‘1조5288억원+알파’에 달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태영건설은 이 정부에서 워크아웃 1호로서 상징성을 가진 만큼 보증이 문제가 되는 상황은 채권은행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태영건설은 최근 최대 규모 PF사업장인 마곡CP4에 이어 김해대동 첨단 일반사업단지 등 정상화 사례가 잇따르면서 워크아웃 조기 졸업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_태영건설 자금 사정 나아지나…김해대동 PF사업장 금리 5.6%로 추가 대출



위기 중소건설사에는 ‘그림의 떡’ 보증
중소건설사 부도·법정관리 직전 등급 대부분 CCC이하
금융당국 뒤늦게 신용위험평가 제도 고쳐

태영건설이 갖춘 ‘보증 안전망’은 자금난에 처한 일반적인 중소 건설회사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중소 건설업 관계자는 “태영건설은 규모가 있는 만큼 등급과 보증한도를 맞춰주지만 다른 건설사는 전반적인 업황을 고려해 보증심사를 더 까다롭게 한다”며 “어려울 때 보증 기관마저 위험을 회피해버리면 업계에선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공제조합 보증실적은 2021년 72조615억원, 2022년 83조1795억원으로 치솟다가 지난해 6월 기준 30조4069억원에 그쳤다. 보증실적은 건설사가 보증서를 끊어가면서 조합에 납부한 수수료 등을 합친 액수로, 건설사업에서 사고가 터지면 공제조합이 책임을 질 수 있는 익스포저를 의미한다. 건설공제조합 관계자는 “업체들이 부도가 나면 보증발급을 할 수 없다”며 “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보증실적) 성장세가 꺾였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제조합은 자금난에 처한 건설사의 보증 등급을 사전부터 엄격하게 관리하는 편이다. 2021~2023년 부도가 난 건설사 14곳의 직전 보증등급은 모두 CCC등급 이하였다. 같은 기간 법정관리나 회생 절차에 들어간 74곳 중 A등급 이상은 한 곳도 없었고, CCC 이하 등급이 전체 80%인 59곳에 달했다. 워크아웃 직전 등급이 AA였던 태영건설과 대조적이다.

정준호 강원대 교수는 “태영건설에 대한 신용평가를 신용평가사와 공제조합 등이 사전에 제대로 하고, 부실 사업장 관리가 조기에 진행되도록 당국 조치가 사전에 나왔다면 뒤늦게 태영건설을 살리기 위한 전방위적 지원책을 펴지 않아도 됐다”며 “태영건설 워크아웃은 정책 실패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뒤늦게 금융당국은 건설업의 잠재 부실을 조기에 포착하도록 신용위험평가 제도를 고쳤다. 채권은행이 기업의 신용을 A(정상)~D(구조조정 대상) 등 4개 등급으로 평가하는 과정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규모, 분양률, 운전자금 안전성 등을 검토하도록 만든 것이다. 업계에선 이에 따라 올해 말 발표되는 신용평가에서 C~D 등급의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가 대폭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올 1분기 부도난 건설사만 9곳으로,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213 호텔 짓겠다더니 오피스텔로... 감사원 “부산 북항 재개발 특혜” 랭크뉴스 2024.05.02
25212 [속보] 대통령실, 채상병특검법 단독처리 거부권 시사… "엄중 대응" 랭크뉴스 2024.05.02
25211 '비계 삼겹살' 논란 일파만파‥입 연 제주지사 "점검 강화" 랭크뉴스 2024.05.02
25210 “윤, 채상병 특검 거부권은 셀프 탄핵 신호탄…즉각 수용하라” 랭크뉴스 2024.05.02
25209 장윤정·도경완 부부 ‘나인원 한남’ 120억원에 매각…시세차익 70억원[스타의 부동산] 랭크뉴스 2024.05.02
25208 엄마는 소리 없이 울었다…참사 1년 반 만에 이태원 특별법 통과 랭크뉴스 2024.05.02
25207 '평화누리도' 대상 받은 91세 할머니, 알고보니 공모전 헌터? 랭크뉴스 2024.05.02
25206 [단독]검찰 압수수색 전날, 공수처도 포렌식 업체에 ‘이정섭 검사 처남 휴대전화’ 제출 요청 랭크뉴스 2024.05.02
25205 금융 당국, 삼성·현대차 등 금융복합기업집단 내부통제 강화 랭크뉴스 2024.05.02
25204 "경기북도가 아니라 '평누도'?" 새 이름 공모 결과에 '발칵' 랭크뉴스 2024.05.02
25203 ‘사과, 오렌지 이어 배까지’ 과일주스 가격 ‘비상’... “당장 안 올려도, 재고 바닥 걱정” 랭크뉴스 2024.05.02
25202 "북한 동네 이름같아"···경기북부 지역 새 이름 논란 랭크뉴스 2024.05.02
25201 [속보] 대통령실, 채상병특검법 단독처리에 "엄중 대응"…거부권 시사 랭크뉴스 2024.05.02
25200 [NBS] 채상병 특검법 '찬성 67%'‥'취임 최저치' 尹 지지율은? 랭크뉴스 2024.05.02
25199 [속보] 대통령실 “안타까운 죽음 악용하려는 나쁜 정치” 채 상병 특검법 거부권 시사 랭크뉴스 2024.05.02
25198 윤재옥 "채상병 특검법, 대통령 거부권 건의할 수밖에 없어" 랭크뉴스 2024.05.02
25197 '입주민 車 대리주차하다 추돌' 경비원·차주, 벤츠에 억대 소송 랭크뉴스 2024.05.02
25196 [2보] 대통령실 "채상병특검법 강행 처리 유감…안타까운 죽음 악용" 랭크뉴스 2024.05.02
25195 신생아 특례대출의 힘…‘30대 아파트 매입 비중’ 다시 1위 랭크뉴스 2024.05.02
25194 의대 지역인재전형 2천명 달할듯…강원 의대정원, 이과수험생 5%(종합) 랭크뉴스 202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