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용등급 ‘AA’서 지난 2월 ‘B’로 전환
보증한도도 1조1288억으로 57% 줄어
대주단 약속에 1조5000억+α 달해‘넉넉’


태영건설의 건설공제조합 보증한도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개시 후 절반 이상 줄었지만 여전히 1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주요 채권은행이 추가 보증지원까지 약속하면서 사실상 태영건설은 보증 안전망을 이중으로 갖춘 상태다. 보증한도가 크면 신규 수주나 공사 진행에 걸림돌이 줄어 워크아웃 성공 가능성도 커진다.

업계에선 태영건설 부도시 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 현 정부 출범 후 워크아웃 1호 기업이라는 상징성 등이 보증한도 설정에도 감안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태영건설은 자금난을 겪는 여타 중소건설사와는 다른 특수 사례로, 건설업 전반에 퍼진 위기감은 여전하다.

경향신문이 9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의뢰해 받은 건설공제조합 자료를 보면, 2023년 초 ‘AA’였던 태영건설의 신용등급은 워크아웃 절차가 개시된 이후인 지난 2월 ‘B’로 전환됐다. 보증한도는 기존 2조6460억원에서 1조1288억원으로 57% 줄었다.

공제조합 보증은 건설사의 사업 진행에 필수적 요소다. 건설사업은 발주부터 완공까지 단계마다 제3기관의 보증이 필요하다. 통상 보증한도는 조합회사 출자좌수, 신용등급 등에 따라 산출되는데, 태영건설처럼 자금난에 문제가 생기면 보증등급이 떨어져 보증 수수료가 오르고 한도도 급락한다. 보증이 나오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신규 수주가 막혀 정상 영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태영건설은 워크아웃 절차 개시에도 보증한도가 1조원을 웃돌아 넉넉한 편이다. 여기에 지난 2월 금융채권자협의회에서 대주단이 총 4000억원 규모 보증(주택금융공사 포함)을 약속했고 ‘필요시 보증지원액을 더 늘리겠다’는 단서 조항도 추가해 태영건설 보증한도는 사실상 ‘1조5288억원+알파’에 달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태영건설은 이 정부에서 워크아웃 1호로서 상징성을 가진 만큼 보증이 문제가 되는 상황은 채권은행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태영건설은 최근 최대 규모 PF사업장인 마곡CP4에 이어 김해대동 첨단 일반사업단지 등 정상화 사례가 잇따르면서 워크아웃 조기 졸업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_태영건설 자금 사정 나아지나…김해대동 PF사업장 금리 5.6%로 추가 대출



위기 중소건설사에는 ‘그림의 떡’ 보증
중소건설사 부도·법정관리 직전 등급 대부분 CCC이하
금융당국 뒤늦게 신용위험평가 제도 고쳐

태영건설이 갖춘 ‘보증 안전망’은 자금난에 처한 일반적인 중소 건설회사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중소 건설업 관계자는 “태영건설은 규모가 있는 만큼 등급과 보증한도를 맞춰주지만 다른 건설사는 전반적인 업황을 고려해 보증심사를 더 까다롭게 한다”며 “어려울 때 보증 기관마저 위험을 회피해버리면 업계에선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공제조합 보증실적은 2021년 72조615억원, 2022년 83조1795억원으로 치솟다가 지난해 6월 기준 30조4069억원에 그쳤다. 보증실적은 건설사가 보증서를 끊어가면서 조합에 납부한 수수료 등을 합친 액수로, 건설사업에서 사고가 터지면 공제조합이 책임을 질 수 있는 익스포저를 의미한다. 건설공제조합 관계자는 “업체들이 부도가 나면 보증발급을 할 수 없다”며 “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보증실적) 성장세가 꺾였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제조합은 자금난에 처한 건설사의 보증 등급을 사전부터 엄격하게 관리하는 편이다. 2021~2023년 부도가 난 건설사 14곳의 직전 보증등급은 모두 CCC등급 이하였다. 같은 기간 법정관리나 회생 절차에 들어간 74곳 중 A등급 이상은 한 곳도 없었고, CCC 이하 등급이 전체 80%인 59곳에 달했다. 워크아웃 직전 등급이 AA였던 태영건설과 대조적이다.

정준호 강원대 교수는 “태영건설에 대한 신용평가를 신용평가사와 공제조합 등이 사전에 제대로 하고, 부실 사업장 관리가 조기에 진행되도록 당국 조치가 사전에 나왔다면 뒤늦게 태영건설을 살리기 위한 전방위적 지원책을 펴지 않아도 됐다”며 “태영건설 워크아웃은 정책 실패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뒤늦게 금융당국은 건설업의 잠재 부실을 조기에 포착하도록 신용위험평가 제도를 고쳤다. 채권은행이 기업의 신용을 A(정상)~D(구조조정 대상) 등 4개 등급으로 평가하는 과정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규모, 분양률, 운전자금 안전성 등을 검토하도록 만든 것이다. 업계에선 이에 따라 올해 말 발표되는 신용평가에서 C~D 등급의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가 대폭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올 1분기 부도난 건설사만 9곳으로,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651 월 100만원 저축 가능…국제재무설계사 ‘공짜 상담’ 후기 랭크뉴스 2024.04.09
» »»»»» [단독] 태영건설, 보증한도 1조 웃돈다···워크아웃 조기졸업 기대감 랭크뉴스 2024.04.09
10649 [속보] 의협 비대위 “총선 후 합동 기자회견 연기…조율 필요” 랭크뉴스 2024.04.09
10648 루비콘강 건넌 최씨·장씨 갈등…고려아연, 영풍과 '원료 공동구매' 끝낸다 랭크뉴스 2024.04.09
10647 "인증하고 싶어서 투표"... MZ세대, 손등 대신 '최애 캐릭터'에 찍는다 랭크뉴스 2024.04.09
10646 사전투표 업무 동원된 공무원 숨져… 노조 "살인적 노동" 랭크뉴스 2024.04.09
10645 이대 정외과 총동창회 "고은광순 '이모 미군 성상납' 증언 거짓"(종합) 랭크뉴스 2024.04.09
10644 서울아산병원도 못버텼다...'511억 손실'에 희망퇴직 실시 랭크뉴스 2024.04.09
10643 옷 가게 택배 훔쳐 달아난 할머니…발각되자 "어떻게 찾았대?" 랭크뉴스 2024.04.09
10642 '카이스트 졸업식 강제퇴장' 정의당 대전시당 대변인 헌소 제기 랭크뉴스 2024.04.09
10641 “미국 K팝 팬덤 이해하면 ‘중소돌’도 빌보드 1위 가능하죠” 랭크뉴스 2024.04.09
10640 홍준표 "정치 줄 댄 검사들, 세상 어지럽힌다…의대 갈 걸 후회" 랭크뉴스 2024.04.09
10639 제 발 저린 소래포구? 바가지 논란에 "유튜브 찍지 마" 랭크뉴스 2024.04.09
10638 압구정 땅 130평 40년 무단사용 유치원… 법원 "변상금 18억 정당" 랭크뉴스 2024.04.09
10637 R&D 예산 삭감 해놓고…윤 대통령 “AI·반도체에 9조 투자” 랭크뉴스 2024.04.09
10636 중국 내 외신기자 70% "휴대폰 해킹당해"...'드론' 감시 주장도 랭크뉴스 2024.04.09
10635 ‘전현희는 지각 대장’ 與공보물에… 선관위 “허위 아냐” 랭크뉴스 2024.04.09
10634 "사전투표 이틀 동원된 남원시청 공무원 사망…과로사 추정" 랭크뉴스 2024.04.09
10633 "이젠 실용적 판단‥" 말하던 나경원 입에서 "지국비조"? 랭크뉴스 2024.04.09
10632 “의사 떠난 병원에 건보 땜빵 5000억원…국민이 봉인가” 랭크뉴스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