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가구 중 4가구 "의료비 지출이 가구에 부담이 된다"
건강보험공단·보건사회연구원 2021년 한국의료패널 조사결과


가계 의료비
[제작 정연주] 사진합성,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2021년에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이 직접 부담한 1인당 연간 평균 의료비는 96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Ⅱ)'를 보면, 2021년 분석대상 5천878가구의 전체 가구원 1만2천874명(만 19세 이상 1만931명, 0∼18세 1천943명) 중에서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1만1천844명이다.

주요 의료서비스별 이용자 수를 살펴보면, 응급 1천6명, 입원 1천667명, 외래 1만1천803명으로 조사됐다.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자(가구원)의 1인당 연간 평균 의료이용 건수는 17.8건이었다. 의료서비스 영역별로는 응급 1.3건, 입원 1.5건, 외래 17.6건이었다.

외래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의 1인당 연간 평균 의료이용 건수는 의과 14.7건, 한방 8.2건, 치과 3.7건 순이었다.

성별로 살펴보면, 응급과 입원에서는 남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외래이용은 여자(19.3건)가 남자(15.6건)보다 3.7건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70대 33.5건, 80세 이상 31.4건, 60대 25.1건 순으로 60대 이상에서 의료이용 건수가 많았다.

2021년에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의 1인당 연간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96만원이었다. 전체 의료비 가운데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성별로는 남성 84만7천원, 여성 106만원으로 여성의 본인부담금 수준이 높았다.

의료서비스 영역별로 들여다보면, 응급 11만1천원, 입원 202만6천원, 외래 72만2천 원이었다.

2021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자(가구원)의 1인당 연간 본인부담 의료비 평균은 의과 49만9천원, 치과 47만4천원, 한방 19만8천원 순이었다.

특히 치과의 경우 상대적으로 외래이용 건수가 적은데도 불구하고 의료비의 본인부담금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의료서비스 1건당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4만9천481원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응급 8만5천859원, 입원 133만2천561원, 외래 3만6천431원으로 의료서비스별로 편차가 큰 편이었다.

2021년 외래서비스 1건당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치과 13만6천274원, 의과 2만9천999원, 한방 1만7천113원 순으로, 치과 외래서비스 본인부담금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와 관련, 연간 가구의료비 지출이 부담스럽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41.5%로 10가구 중 약 4가구는 의료비 지출이 가구에 부담이 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2.9%는 부담 수준이 보통이라고 했고, 35.6%는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지난 1년간 병의원 치료 또는 검사(치과 치료, 치과 검사 제외)를 받아볼 필요가 있었으나, 받지 못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미충족 의료율)은 남자 14.1%, 여자 16.6%로 나타났다.

이런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가장 큰 이유로는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 39.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외에 비용 부담으로 인한 '경제적 이유' 19.1%, '내가 원하는 때에 문을 열지 않거나 예약이 되지 않아서' 9.6%, '거동이 불편해서 혹은 건강상의 이유로 방문이 어려워서' 8.7%, '기타' 26.7% 등이었다.

2021년 치과 미충족 의료율은 남자 15.5%, 여자 14.1%로 나왔는데, 그 이유로는 '의료비(교통비 포함)가 부담되어서'가 44.4%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 36.5%, '기타' 17.4%, '일을 못 해서 생기는 금전적 손실이 부담되어서' 6.6%, '원하는 때에 문을 열지 않거나 예약되지 않아서' 5.0% 등이었다.

한국의료패널은 개인과 가구 단위의 의료비 지출 규모를 파악하고 의료이용 결정요인, 의료비 재원 관련 지표를 산출하고자 2008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수행하고 있는 조사사업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947 학원에 수족관 운영까지...레저사업 본격 나서는 이주희號 조선호텔 랭크뉴스 2024.04.10
10946 [속보] 투표율 오전 8시 4.2%…“최고 충남-최저 광주” 랭크뉴스 2024.04.10
10945 런종섭·대파·공천파동·막말…예측불허 총선판 10장면 랭크뉴스 2024.04.10
10944 감세 남발한 여, 감세 비판하며 감세 내건 야···시민 절반 “증세 필요” 랭크뉴스 2024.04.10
10943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8시 현재 4.2%‥지난 총선보다 0.9%p 하락 랭크뉴스 2024.04.10
10942 오전 8시 투표율 4.2%…4년 전 총선보다 0.9%p 낮아 랭크뉴스 2024.04.10
10941 ‘차량 안, 아기 옆’ 펑 터지고 불…공포의 보조배터리 랭크뉴스 2024.04.10
10940 무급휴가에 희망퇴직까지… 사직은 전공의가 했는데 피해는 병원 노동자 몫 랭크뉴스 2024.04.10
10939 50대 마약상 ‘종로 빡빡이’…그는 왜 ‘뽕의 세계’를 못 벗어났나 랭크뉴스 2024.04.10
10938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8시 현재 4.2%…지난 총선보다 0.9%p↓ 랭크뉴스 2024.04.10
10937 오전 7시 전국 평균 투표율 1.8%‥이 시각 서울 자양동 투표소 랭크뉴스 2024.04.10
10936 결전의 날 밝았다···22대 총선, 전국서 일제히 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4.04.10
10935 암 걸린 금수저 판사…그를 구원한 건 욕설 뱉던 소년범이었다 [안혜리의 인생] 랭크뉴스 2024.04.10
10934 투표율 오전 7시 기준 1.8%… 4년 전보다 0.4%P 낮게 출발 랭크뉴스 2024.04.10
10933 [단독] 세수펑크 ‘국가결산’ 늑장 보고…기재부, 한달 전부터 연기할 결심? 랭크뉴스 2024.04.10
10932 "채굴량 절반으로 줄어든다"…비트코인 다시 1억 돌파 랭크뉴스 2024.04.10
10931 민주 151석? 범야권 180석? 국힘 135석?…이 숫자가 중요한 이유 랭크뉴스 2024.04.10
10930 이재명·한동훈 ‘대선행’ 가를 총선…조국은 유죄 확정시 출마 불가 랭크뉴스 2024.04.10
10929 투표율 오전 7시 현재 1.8%…21대보다 0.4%p 낮게 출발 랭크뉴스 2024.04.10
10928 22대 총선 투표율 오전 7시 1.8%… 얼마나 오를까 관건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