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봄철 건강관리]
◆ '환절기 불청객' 알레르기비염
미세먼지·황사 등 알레르기 유발물질 기승
봄부터 초여름까지 증상 악화로 환자 급증
발작적 재채기·맑은 콧물·코막힘 주요증상
소아기 주로 발병···완치 없어 적기 치료 중요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날씨가 포근해진 틈을 타 어김없이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 17일 몽골 동쪽에서 발원한 황사가 북서풍을 타고 실려 내려오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강원, 충남권에서 황사가 관측됐다. 작년 5월 중순께 인천과 서울에서 마지막으로 황사가 관측되고 지난 겨울과 올봄 황사가 없다가 1년만에 다시 찾아온 것이다. 황사는 미세먼지(PM10) 농도를 높인다. 수도권을 덮친 황사가 북서풍을 타고 이동하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은 대기질이 매우 나쁨 상태가 됐다.

만물이 소생하는 봄은 ‘계절의 여왕’으로 불린다. 하지만 환절기마다 콧물·재채기·기침 등으로 고통 받는 알레르기비염 환자들에게는 잔인한 계절 그 자체다. 봄철 불청객인 황사와 고농도 미세먼지의 공습에 꽃가루·풀씨 등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이물질이 대기를 떠돌다 우리 몸에 들어와 건강과 일상을 위협하는 경우가 많다.



◇ 미세먼지·황사에 꽃가루까지…봄에 더 괴로운 알레르기비염 환자들


알레르기비염은 꽃가루, 먼지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나 기후변화 등 여러 원인으로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알레르겐(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항원)이 몸에 들어오면 히스타민이라는 화학 물질의 방출을 유도하고 비강에 염증과 자극을 유발한다.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이러한 외부 물질을 위협으로 잘못 식별하고 이에 대항할 항체를 생성한다. 그 과정에서 재채기, 콧물 또는 코막힘, 가려움증 같이 알레르기비염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알레르기비염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꽃가루, 미세먼지 등의 영향으로 특정 계절에만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계절성 알레르기비염’이라고 하는데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 같은 실내항원, 곰팡이 등으로 일 년 내내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도 있다. 이러한 유형을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나무 꽃가루는 이른 봄, 잔디 꽃가루는 늦은 봄과 여름, 잡초 꽃가루는 여름부터 가을 공기 중에 많이 확산된다. 봄과 초여름에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심해지는 건 그러한 실외환경 변화와 관련이 깊다.



◇ “좋은 것만 주고 싶은데” 가족력 있으면 알레르기비염 위험 더 높아


알레르기비염은 미세먼지, 황사를 비롯해 각종 환경오염의 증가 영향으로 매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인원은 601만 4045명으로 집계됐다. 알레르기비염 환자는 2012년 598만 2407명에서 2018년 713만 1806명까지 치솟았다. 코로나19 여파로 최근 몇년새 주춤했지만 산업화로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실내 위주 생활방식이 보편화하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질병 부담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학계에 따르면 알레르기비염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유병률이 높다. 정신적인 스트레스 외에도 비만, 상류층의 생활 양식, 지구의 온난화 등이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 증가와 연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알레르기비염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병할 수 있지만 흔히 소아기에 발병한다. 모든 알레르기비염의 원인이 유전 탓은 아니지만 유전 요인, 특히 가족력은 알레르기비염의 발병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부모 중 한 사람이 알레르기성 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자녀에게 알레르기비염이 나타날 가능성은 더 높다고 알려졌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유형 및 특성 분석-성인과 소아의 비교’ 연구에서 2019~2021년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병원을 찾은 알레르기비염 환자 385명(성인 222명·소아 163명)을 조사한 결과 소아 환자의 47.8%는 어머니에게 알레르기비염 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에게 알레르기비염이 있는 경우는 62.8%나 됐다. 반면 성인 환자는 14.9%와 13.0%에게만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 비염 병력이 있었다. 다만 노인에서도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 안심하기는 힘들다.



◇ 열 안나는데 일주일 넘게 재채기·콧물? 알레르기비염 가능성 고려해야


알레르기비염은 발작적인 재채기와 맑은 콧물·코막힘·가려움증이 주요 증상이다. 코감기 증상과 비슷하다 보니 두 질환을 혼동하기도 하는데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보통 일주일 내 증상이 사라진다. 알레르기비염은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 물질이 사라질 때까지 증상이 계속된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할 수도 있다. 감기는 대개 미열을 동반하지만 알레르기비염은 열이 나지 않는다는 것도 다르다.

콧물 증상이 있을 때도 감기인 경우 끈끈한 반면 알레르기비염은 콧물 등 분비물이 일반적으로 깨끗하고 묽은 편이라는 차이가 있다. 알레르기비염은 약 20% 정도만 사춘기나 성인이 되면서 증상이 자연 소실된다. 완치라는 개념 없이 대부분 평생 지속하기 때문에 적절한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비염과 비슷한 변화를 보이고 중이염·수면장애·천식·비용종·부비동염·후각 소실·만성 기침 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어렸을 때 알레르기비염이 생겨 만성적 코 막힘이 존재하고 입으로 자주 호흡하다 보면 치아 부정교합이 발생해 얼굴형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질환이 의심되면 전문의와 만나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68 파국 피한 尹 결단, 총선에 미칠 영향은... "민심 돌아올 것" "효과 제한적" 랭크뉴스 2024.03.21
2167 '정인이' 후원금 횡령 의혹 유튜버 1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4.03.21
2166 미 기준금리 다섯 번 연속 동결…물가 전망은 높여 랭크뉴스 2024.03.21
2165 ‘비둘기 파월’에 환호한 증시… 美 3대 지수 일제히 사상 최고치 랭크뉴스 2024.03.21
2164 '테라·루나' 권도형 한국행 확정…23∼24일 한국 올 듯(종합2보) 랭크뉴스 2024.03.21
2163 연준, 올해 3차례 금리 인하…뉴욕 3대 증시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4.03.21
2162 연준 '올해 3회 금리인하'에 美 3대지수 사상 최고…다우 1%↑(종합) 랭크뉴스 2024.03.21
2161 너무 잘 망가져서 은퇴설 휘말린 배우, 안재홍의 '완벽한 병맛 세계' 랭크뉴스 2024.03.21
2160 "가족 오면 여행비 절반 준다" 70억 쏟는 강진군 초유의 실험 랭크뉴스 2024.03.21
» »»»»» 봄바람만 불면 훌쩍훌쩍…세살 비염, 놔두면 여든까지 간다 [헬시타임] 랭크뉴스 2024.03.21
2158 美 연준 기준금리 5회 연속 동결… 연내 세 차례 인하 전망 유지 랭크뉴스 2024.03.21
2157 내홍 봉합? 오후에 반전 일어났다…격해진 친윤·친한 비례갈등 랭크뉴스 2024.03.21
2156 이재명, 대파 들고 尹저격 "무식한 양반들, 서민에 돈 써야" 랭크뉴스 2024.03.21
2155 ‘30.2%’ 파죽지세 조국혁신당…‘견제’ 날 세우는 야권 랭크뉴스 2024.03.21
2154 이종섭, 이르면 오늘 귀국‥공수처 자진 출석할 듯 랭크뉴스 2024.03.21
2153 백마 탄 여왕, 아는 맛 + 짜릿한 맛 = 신선하게 맛있다 ‘눈물의 여왕’ 랭크뉴스 2024.03.21
2152 최신모델 더 싸네? '연식 변경=가격인상' 차값 공식 깨졌다, 왜 랭크뉴스 2024.03.21
2151 뉴욕증시, FOMC 3회 인하 전망에 안도…다우·S&P500 최고 마감 랭크뉴스 2024.03.21
2150 "지금대로면 민주당 1당…한동훈의 시간 다시 올까가 변수" [총선 D-20 전문가 4인이 본 판세] 랭크뉴스 2024.03.21
2149 ‘인서울’ 의대보다 커지는 ‘지거국’ 의대, 7곳 모집 정원 200명 랭크뉴스 202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