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표지. 문학동네 제공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을 해서 먹고 삽니다. 평생 일하지 않아도 먹고사는데 문제가 없을 만큼의 재산을 갖고 태어나지 않은 이상 말이죠. 그런데 살다보면 아무리 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깁니다. 갑자기 크게 다친다거나, 아픈 가족을 돌보게 됐다거나, 예상치 못한 해고를 당한다거나 하는 상황이요. 가끔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들도 일어나곤 하는 것이 인생이니까요. 이번주 ‘오늘도 툰툰한 하루’에서 소개할 작품은 가시와기 하루코 작가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문학동네)입니다. 인생의 위기를 맞은 사람들을 돕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긴 만화입니다.



요시쓰네 에미루는 이제 막 일을 시작한 신입 공무원입니다. 첫 근무지는 복지사무소 생활과. 생활과의 주요 업무는 ‘생활 보호’ 관리입니다. 일본국 헌법 제2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모든 생활에 대하여 사회 복지, 사회 보장 및 공중 위생의 향상 및 증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생활 보호는 이 헌법에 따라 생활고에 시달리는 국민에게 ‘최저한도의 생활’을 보장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초생활보장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만화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은 일본에서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왓챠 제공


생활과 직원들의 임무는 생활 보호 대상자들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에미루에게는 110세대가 배당됩니다. “이 파일 하나하나에 저마다의 사정이 있고…제각기 다른 인생이 있습니다”라는 선배의 말은 에미루에게 무거운 책임감으로 다가옵니다. 그런데 ‘지원’이라는게 단순히 보조금을 주는 게 아닙니다. 생활 보호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립’입니다. 대상자들에게 구직을 독려하고, 무엇보다 이 사람에게 ‘정말 이 보호비가 필요한지’까지 살펴야 합니다. 상사는 “구의 재정이 긴박한 상황에서 생활 보호비만 증가하고 있다”며 직원들은 ‘위기의식’을 갖고 대상자들 중 일 할 수 있는 상태인 사람들은 꼭 일을 하도록 만들라고 에미루와 동료들을 압박하죠. 에미루는 자기가 맡은 대상자들의 집을 방문하게 됩니다.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어른이 된 뒤에 타인의 집에 들어가 본 경험이 많으신가요? 어릴 때 친구 집에 밥먹듯 드나들던 어린이도 어른이 되면 남의 집에 갈 일이 적어집니다. 집은 그 집에 사는 사람을 속속들이 보여줍니다. 때론 그 사람이 보여주고 싶지 않았던 부분까지도요.

에미루는 어느날 갑자기 자살한 생활 보호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게 됩니다. 에미루에게 ‘더 이상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칠 수 없으니 죽겠다’는 예고 전화를 했던 사람입니다. ‘그냥 입버릇’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넘겼는데, 다음날 그가 근처 빌딩에서 뛰어내려 죽었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당황한 에미루에게 동료는 ‘솔직히 관리해야 할 건수 하나 줄어서 좋은 거 아니야’ 라는 말을 건넵니다.

드라마화 된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복잡한 마음으로 대상자의 집을 찾은 에미루. 집 문을 여는 순간, 살아있을 때는 ‘처리해야 할 케이스 1건’에 불과했던 그가 비로소 한 명의 사람으로 다가옵니다. 작은 집을 먼지 하나 없이 깔끔하게 정리해놓고 살았던 사람. 낡은 상자에 업무 관련 서류를 가지런히 꽂아놓던 사람. 벽에 큼지막한 산 포스터를 붙여놓고 지낼만큼 산을 좋아했던 사람. 언제 찍었는지 모르는 과거 사진에서는 누구보다 활짝 웃었던 사람으로요.

제64회 쇼가쿠칸 만화상 일반 부문 수상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초 문학동네에서 단행본으로 2권까지 출간됐고, 3권도 나올 예정입니다. 2018년에 일본에서 10부작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드라마는 왓챠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28 112 전화해 "대통령 죽이겠다"‥60대 남성 징역 2개월 랭크뉴스 2024.03.25
3927 '무더기 사직' 시작되나 고대의대 교수들 사직서 제출 랭크뉴스 2024.03.25
3926 지구 2500바퀴 돌았다… 아시아나 ‘보잉 747’ 여객기 마지막 비행 랭크뉴스 2024.03.25
3925 “전공의 없는데, 교수 떠나면 진짜 의료 대란…병원 나간다고 국민 이기는 것 아냐” 랭크뉴스 2024.03.25
3924 중대본 “전공의에 대한 유연한 처분 당과 협의”…이르면 오늘부터 교수 사직 시작 랭크뉴스 2024.03.25
3923 1등 삼성 아니었어?…로봇청소기·가전·폴더블폰 점령한 중국[하이엔드 중국의 습격②] 랭크뉴스 2024.03.25
3922 이주호 "의대증원 계기로 세계 최고수준 의학교육 만들 것" 랭크뉴스 2024.03.25
3921 끝난 줄 알았던 IS, 러시아에 잔인한 복수극 벌인 이유는 랭크뉴스 2024.03.25
3920 정부 "의료계 대화 환영…의대정원 확대 기반 의료개혁 완수" 랭크뉴스 2024.03.25
3919 장동건·고소영 산다는 가장 비싼 ‘그 아파트’…올 부동산 보유세 절반으로 떨어진 이유 랭크뉴스 2024.03.25
3918 정부 "의대 정원 확대 개혁 완수"… 의대교수들 사직 강행 랭크뉴스 2024.03.25
3917 '이범수 폭로' 이윤진, 이번엔 "10살 아들 소식 아는 분 연락달라" 랭크뉴스 2024.03.25
3916 IS, ‘모스크바 테러’ 현장 영상 공개…사망자 137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4.03.25
3915 ‘낙동강 벨트’ 양산을, 김두관 47.2%·김태호 40.9%[리서치앤리서치] 랭크뉴스 2024.03.25
3914 배움의 시스템 고장난 한국, 중국의 추격이 두려운 이유[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4.03.25
3913 尹지지율 36.5%…'비례투표' 조국혁신당 27.7%·'與비례정당' 29.8% 랭크뉴스 2024.03.25
3912 전의교협 "의대 증원 철회 없이 해결 불가…예정대로 오늘 사직" 랭크뉴스 2024.03.25
3911 장동건·고소영 산다는 '최고가' 아파트…보유세 절반 뚝, 왜? 랭크뉴스 2024.03.25
3910 전의교협 “의대정원·배정 대화 안해… 오늘부터 사직” 랭크뉴스 2024.03.25
3909 가정통신문에 등장한 '피라미드 게임'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