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표지. 문학동네 제공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을 해서 먹고 삽니다. 평생 일하지 않아도 먹고사는데 문제가 없을 만큼의 재산을 갖고 태어나지 않은 이상 말이죠. 그런데 살다보면 아무리 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깁니다. 갑자기 크게 다친다거나, 아픈 가족을 돌보게 됐다거나, 예상치 못한 해고를 당한다거나 하는 상황이요. 가끔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들도 일어나곤 하는 것이 인생이니까요. 이번주 ‘오늘도 툰툰한 하루’에서 소개할 작품은 가시와기 하루코 작가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문학동네)입니다. 인생의 위기를 맞은 사람들을 돕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긴 만화입니다.



요시쓰네 에미루는 이제 막 일을 시작한 신입 공무원입니다. 첫 근무지는 복지사무소 생활과. 생활과의 주요 업무는 ‘생활 보호’ 관리입니다. 일본국 헌법 제2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모든 생활에 대하여 사회 복지, 사회 보장 및 공중 위생의 향상 및 증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생활 보호는 이 헌법에 따라 생활고에 시달리는 국민에게 ‘최저한도의 생활’을 보장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초생활보장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만화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은 일본에서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왓챠 제공


생활과 직원들의 임무는 생활 보호 대상자들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에미루에게는 110세대가 배당됩니다. “이 파일 하나하나에 저마다의 사정이 있고…제각기 다른 인생이 있습니다”라는 선배의 말은 에미루에게 무거운 책임감으로 다가옵니다. 그런데 ‘지원’이라는게 단순히 보조금을 주는 게 아닙니다. 생활 보호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립’입니다. 대상자들에게 구직을 독려하고, 무엇보다 이 사람에게 ‘정말 이 보호비가 필요한지’까지 살펴야 합니다. 상사는 “구의 재정이 긴박한 상황에서 생활 보호비만 증가하고 있다”며 직원들은 ‘위기의식’을 갖고 대상자들 중 일 할 수 있는 상태인 사람들은 꼭 일을 하도록 만들라고 에미루와 동료들을 압박하죠. 에미루는 자기가 맡은 대상자들의 집을 방문하게 됩니다.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어른이 된 뒤에 타인의 집에 들어가 본 경험이 많으신가요? 어릴 때 친구 집에 밥먹듯 드나들던 어린이도 어른이 되면 남의 집에 갈 일이 적어집니다. 집은 그 집에 사는 사람을 속속들이 보여줍니다. 때론 그 사람이 보여주고 싶지 않았던 부분까지도요.

에미루는 어느날 갑자기 자살한 생활 보호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게 됩니다. 에미루에게 ‘더 이상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칠 수 없으니 죽겠다’는 예고 전화를 했던 사람입니다. ‘그냥 입버릇’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넘겼는데, 다음날 그가 근처 빌딩에서 뛰어내려 죽었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당황한 에미루에게 동료는 ‘솔직히 관리해야 할 건수 하나 줄어서 좋은 거 아니야’ 라는 말을 건넵니다.

드라마화 된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복잡한 마음으로 대상자의 집을 찾은 에미루. 집 문을 여는 순간, 살아있을 때는 ‘처리해야 할 케이스 1건’에 불과했던 그가 비로소 한 명의 사람으로 다가옵니다. 작은 집을 먼지 하나 없이 깔끔하게 정리해놓고 살았던 사람. 낡은 상자에 업무 관련 서류를 가지런히 꽂아놓던 사람. 벽에 큼지막한 산 포스터를 붙여놓고 지낼만큼 산을 좋아했던 사람. 언제 찍었는지 모르는 과거 사진에서는 누구보다 활짝 웃었던 사람으로요.

제64회 쇼가쿠칸 만화상 일반 부문 수상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초 문학동네에서 단행본으로 2권까지 출간됐고, 3권도 나올 예정입니다. 2018년에 일본에서 10부작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드라마는 왓챠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스틸 컷. 왓챠 제공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8 민생토론회 공약에 예산 얼마나 들어갈까… ‘900조’ 비판에도 반박 없는 정부 랭크뉴스 2024.03.17
397 16곳 의대 교수들 "25일부터 사직"‥"'2천 명' 풀라" 랭크뉴스 2024.03.17
396 "사고났어요" 수신호에도 '쾅'…'졸음∙주시태만' 충격 영상엔 랭크뉴스 2024.03.17
395 계곡서 자란 '김'이 탈모 잡나…산모 먹인 국에서 효능 찾았다 랭크뉴스 2024.03.17
394 외연 확장 실패 트럼프, 바이든과 동률…대선 승부 다시 원점 랭크뉴스 2024.03.17
393 서울 오피스텔서 숨진 채 발견된 20대 여성…질식사 추정 랭크뉴스 2024.03.17
392 [단독] BGF리테일, 올해 연봉 4.4% 인상…직원들 “실질적 동결” 불만 랭크뉴스 2024.03.17
391 박용진 "바보스러울지라도 경선 참여"…'친명' 한민수도 지원 랭크뉴스 2024.03.17
390 근육왕 도전?…단백질 ‘매끼 최소 20g’ 더[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4.03.17
389 “배임이냐, 배상이냐”… 홍콩 ELS 자율배상 다음 주 분수령 랭크뉴스 2024.03.17
388 "조선 팰리스 비누 6,000원"... 일회용품 규제, 호텔 배만 불리나 랭크뉴스 2024.03.17
387 '소득 적은데 지출 많은 젊은 1인 가구'... 30년 내다보는 자산관리법 [부자될 결심] 랭크뉴스 2024.03.17
386 "서구식 식습관 탓" 벌써 남성 암 3위 오른 전립선암 랭크뉴스 2024.03.17
385 '반도체 봄' 온다…삼성전자 반도체, 1년만에 적자 탈출 눈앞 랭크뉴스 2024.03.17
384 [인터뷰] “환자 중시가 병원 경쟁력”...전 세계 병원 순위 매기는 분석가가 말하는 일류병원의 조건 랭크뉴스 2024.03.17
383 [총선] 박용진 “바보스러워도 경선 참여할 것…30% 감산 규칙 중단해달라” 랭크뉴스 2024.03.17
382 與 공천 물갈이 34%…평균 58.2세·남성 88%, '주류 강세' 랭크뉴스 2024.03.17
381 [주간증시전망] 예상보다 많이 오른 물가... ‘파월의 입’ 주목 랭크뉴스 2024.03.17
380 [단독]중화권 뜸한 사이…美자본 强달러 힘입어 韓 국채 늘렸다 랭크뉴스 2024.03.17
» »»»»» 건강한데 문화적이기도 한 ‘최저한도의 생활’은 가능할까?[오늘도 툰툰한 하루] 랭크뉴스 202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