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신이 과연 장수를 실천할 준비가 됐는지, 노화에 대한 상식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오엑스(OX) 퀴즈다.

① 공복은 누구나 길게 갖는 게 좋다
② 스트레스는 무조건 건강에 나쁘다
③ 노년기엔 흰쌀보다 잡곡밥이 더 좋다
④ 노인은 고기보다 콩·견과류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먹어야 한다

정답은 모두 엑스(X), ‘잘못된 상식’이다.

실제 취재를 하면서 헷갈린 부분이다. 필자들도 다 틀렸다.

저속노화의 상징, 건강한 100세 노인들을 인터뷰하면서 궁금한 게 많았다. 가령 점심을 티라미수 한 조각으로 해결하는 97세 조완규 서울대 전 총장님 (5화), 이렇게 드셔도 괜찮을까?

혹시라도 독자들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따라 할까 봐 걱정도 됐다.

최근 '저속노화 마인드셋'을 출간한 정희원 교수. 김상선 기자.

〈100세의 행복〉6화는 특별편으로 전문가와 함께했다. 우리나라 저속노화 열풍을 이끈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그동안 만난 장수 노인들의 생활습관, 철학 등을 전부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사례 연구) 했다. 100세 노인들의 어떤 점을 따라 해야 할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콕 집어줬다.

더중앙플러스 독자를 위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시간도 가졌다. 독자들이 댓글로 질문했던 것들도 대신 물어봤다. 이런 것까지 물어봐도 되나 싶은 소소한 것도 모두.

예를 들어 국에 밥 말아먹는 거 안좋다는데 사실인가요? 공복은 얼마나 길게 유지해야 하나요? 결국 유전이 중요한 거 아닌가요?



최고 모범생 김형석…삶 자체가 항치매

정희원 교수가 꼽은 저속노화 모범생은 100세의 행복 1화 주인공 김형석(105)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였다.

정 교수는 김 교수의 아침 식단을 ‘영양적으로 아주 훌륭한, 저속노화 식단의 표본’이라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지난 4월 본지 인터뷰에서 평생 우유 반 잔, 호박죽 반 접시, 계란 반숙, 찐 감자, 드레싱 없는 야채 샐러드, 제철 과일을 먹었다고 밝힌 바 있다.

365일 동일한 아침 식단을 먹어도 괜찮을까? 정희원 교수는 “영양적으로 완벽한 식단을 매일 반복하는 것은 ‘결정 피로’를 줄이고 건강한 선택을 자동화하는 매우 강력한 전략”이라고 답했다.

식단은 물론 독서와 운동 등 생활 습관, 성장을 추구하는 인생 철학까지 김형석 교수는 저속노화 이론의 표본과도 같다고 놀라워했다. 정 교수는 “이중에서도 가장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점은 바로 평생에 걸친 지적 활동”이라고 꼽았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서울 서대문구 자택에서 글을 쓰고 있다. 김종호 기자.


Q : 김형석 교수는 지금도 읽고, 쓰고, 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이 ‘뇌가 늙지 않는 비결’이라고 볼 수 있을까?


A :
꾸준한 독서, 집필, 강연 활동은 ‘인지 예비능(Cognitive Reserve)’을 쌓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인지 예비능은 뇌에 어느 정도 손상이 있더라도 기능적 저하를 막아내는 뇌의 저항력을 말한다. 복잡한 정신 활동은 뇌의 신경세포들 사이에 새로운 연결망을 만들고 기존의 연결을 강화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항치매’ 전략이다. 김형석 교수는 이런 평생에 걸친 뇌 고생을 통해 건강 자산을 키워 성장하는 삶을 만들었다.

Q : 김형석 교수님이 매일 밥 말아 드신다는 ‘최애반찬’ 나박물김치가 건강에 좋다면, 어떤 이유에서일까?


A :
나박물김치는 발효 식품으로서 장 건강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고 있다. 게다가 주재료인 무 등은 비타민과 섬유질의 좋은 공급원이다.

Q : 국에 밥 말아먹는 것은 안 좋다는데, 사실일까?


A :
국물 요리가 많은 한식은 나트륨 함량이 높은 편이다. 매 끼니 짜고 시원한 국물에 밥을 말아 먹는 습관은 고혈압,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작 활동이 줄어들고 음식물이 빠르게 위장으로 넘어가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혈당 스파이크’를 유발한다. 이는 당뇨병 환자나 위험군에 특히 해롭다.

Q : 김 교수님은 매일 나박물김치를 밥에 말아 드셨다고 한다.


A :
다만, 김형석 교수님은 이미 100세가 넘었다. 적당한 나트륨 섭취, 충분한 열량 섭취를 통해 체액량을 보존하고 근육량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그래서 너무 이런 것까지 자제할 필요는 없다. 지금처럼 충분히 뭐든 다양하게 잘 드시는 것이 좋다.

Q : 김 교수님은 저녁을 7시 반 이후 가급적 늦게 드신다고 하는데, 공복 시간을 길게 갖는 게 좋다는 요즘 상식과 달라서 의아했다.


A :
공복 시간은 인생의 때(생애주기)에 따라 목표가 달라진다. 젊은 사람은 공복이 길면 노화가 지연되는 등 건강에 좋다. 그러나 노년에 접어들면 촘촘하게 자주 음식을 섭취해 근육이 빠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Q : 김 교수님은 일과 중 하루 2번 이상 간식과 3번의 낮잠을 꼭 챙긴다 했다. 낮잠이 노인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A :
노년기에는 야간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쉽고 아침에 일찍 깰 가능성이 높다. 짧은 낮잠은 인지 기능, 기분, 각성 수준을 높이는 데 좋다. 이상적인 낮잠은 20~30분 내외다.

(계속)
한편 티라미수 한 조각을 점심으로 때우는 조완규 서울대 전 총장의 초절식 식단이 화제가 됐는데요.
이에 대해 정희원 교수는 식단 보다 다른 부분을 주목했습니다.

‘90세 이상 노인이 암에 걸리면 암이 잘 자라지 않는다’는 속설, 스스로 당뇨를 치료한 안봉승(94) 한의사 등 정희원 교수가 주목한 100세까지 장수한 노인들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6254


〈100세의 행복〉 더 많은 비법을 알고 싶다면?

매일 이것에 밥 말아먹는다…105세 김형석의 ‘최애 반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7405

티라미수 한조각, 점심이었다…97세 서울대 前총장 ‘초절식’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652

“폐암입니다” 1년 뒤 되레 팔팔했다…101세 대주교의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1612

오른눈 잃고도 신체나이 60세…100세 장인 매일 하는 것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9169

당뇨 50년, 인슐린 안 맞는다…94세 한의사의 ‘비밀 약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4481

95세에 가요무대 오디션 본다…‘얼죽아’ 할머니의 마법가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181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5013 김포서 부모·형 일가족 3명 살해한 30대 구속영장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12 의대생들 "전원 학교 돌아가겠다"…'학사일정 정상화' 대책 요구(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11 [속보] 트럼프 "EU·멕시코에 30%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부터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10 국힘 "강선우·이진숙 사퇴해야"‥민주당 "청문회 지켜보자"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9 1180회 로또 1등 11명…인터넷 구매로 25억원 당첨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8 의대생들 '학교 복귀' 선언…"국회·정부 믿고 돌아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7 ‘갑질 논란’ 수도군단장, 정직 징계 중 음주운전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6 트럼프 “EU·멕시코에 30% 상호관세” EU엔 추가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5 중징계 받고도 음주운전한 간 큰 육군 중장‥누군가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4 김밥집에서 130여명 고열·복통‥폭염에 식중독까지 비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3 이 대통령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에 “마음 깊이 환영”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2 암벽에 새겨진 6천년‥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1 ‘해수욕’ 대신 ‘호수욕’…생존수영과 클라이밍 한번에 new 랭크뉴스 2025.07.12
55000 "김밥 먹고 앓아누웠다"…서초구 김밥집서 130여명 식중독 증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9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1일부터 각각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8 "달콤한데 0칼로리 죠스바, 스크류바가 노벨상감? 뿌듯했죠"[New & Good]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7 말 바꾼 김태효‥"대통령 크게 화내는 것 봤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6 의대생들 유급 확정 직전 "학교 복귀하겠다, 대책 마련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5 1인당 '25억 잭팟' 터졌다…‘로또 1등’ 11명 어떻게 샀나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4994 17번째 세계유산 탄생…‘반구천의 암각화’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