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 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그링고('미국인'을 경멸조로 부르는 스페인어), 집으로 꺼져!" "여기서도 영어만 쓸 거면 죽어!" "젠트리피케이션(임대료 상승으로 원주민이 쫓겨나는 현상)은 식민지화다!"

지난 5일(현지시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시위에서 손팻말에 적힌 문구의 내용들이다. 멕시코에서 반미 시위가 열린 배경은 이렇다.

최근 중·상위층 미국인들이 물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멕시코에 정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원격 근무가 가능한 미국의 '디지털 유목민'이 멕시코에 실거주하게 된 것이다.

2025년 7월 4일 멕시코시티에서 미국인 증가로 인해 주택 가격이 오르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나타나자, 이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한 시위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모형을 불태우고 있다. AP=연합뉴스
그런데 미국인 거주자가 늘면서 물가와 임대료가 급등하자 멕시코인들이 "이게 다 미국인 탓"이라며 시위를 벌였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전했다. 시위가 격화하자 지난 7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시위대를 이해한다"면서도 "멕시코는 전 세계에 열린 국가"라고 말했다. 멕시코시티시장을 지낸 그는 "젠트리피케이션 반대는 할 수 있지만, 어떤 국적의 사람에게도 멕시코를 떠나라고 강요할 순 없다"고 덧붙였다.



"뉴욕 원룸 월세면 멕시코 펜트하우스 거주"
멕시코인의 체감 물가나 생활고는 가혹할 정도다. 멕시코인 제노베바 라미레스(35)는 LA타임스에 "샌드위치가 예전보다 4배 비싸진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매일 통근하는데 2시간 이상을 쓴다. 오른 집세를 감당하지 못해 멕시코시티 외곽으로 거주지를 옮겼기 때문이다.

그간 동네 주민을 상대로 장사하던 멕시코의 식료품점·식당·이발소는 오른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 해 사라진 게 태반이다. LA타임스는 그 자리에 미국인을 상대로 한 고급식당·필라테스·카페·옷가게 등이 들어섰다고 전했다.

2000~2022년 사이 멕시코시티의 주택 가격이 4배 올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설상가상, 젠트리피케이션이 극심한 지역에선 주택 가격이 8배나 올랐다. 반면 국민소득은 감소하면서 멕시코인의 주택 구매력은 오히려 떨어졌다. 결국 원주민이 대거 도시 외곽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NYT는 "매년 2만3000가구 이상의 저소득 가구가 원치 않는데도 살던 곳을 떠난다"고 이런 분위기를 전했다. 럿거스대의 타마라 벨라스케스 라이퍼먼 교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점을 목도하고 있다"고 NYT에 말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2025년 7월 7일 멕시코시티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반면 미국인 입장에선 물가가 싸고 임대료도 저렴한 '멕시코 살이'는 남는 장사다. LA타임스는 "원격 근무를 하면서 달러로 월급을 받는 미국인에겐 멕시코 거주가 충분히 매력적"이라면서 "LA·뉴욕에선 2500달러(약 342만원)에 원룸을 빌리는데, 멕시코에선 같은 돈으로 펜트하우스를 빌릴 수 있다"고 했다.

2025년 7월 4일 멕시코시티에 정착한 디지털 유목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곳 중 하나인 콘데사에서 한 시위자가 '에어비앤비는 떠나라'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있다. 해외거주 미국인 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해외거주 미국인 500만 명 가운데 20%는 멕시코에 산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인의 멕시코 거주 수요가 늘면서 에어비앤비 등 숙소 임대업으로 돈을 벌려는 이들도 늘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멕시코시티의 에어비앤비 숙소만 3만5000곳 이상이다. 현지 아파트는 멕시코인의 거주 공간이 아닌 외국인 에어비앤비 허브가 됐다. 시위에 참석한 다니엘라 그레이브는 NYT에 "미국인들이 멕시코시티를 좌지우지하는 상황은 규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5년 7월 4일 멕시코시티에서 미국인 유입으로 주택 가격이 오르자, 시위대가 젠트리피케이션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스페인어로 '신식민지 주민에게 죽음'이라는 글이 적힌 포스터. 미국 성조기를 연상케하는 모자와 해골 그림이 그려져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문제, 국경 단속 등을 이유로 멕시코를 자극한 것도 현지에서 미국인에 대한 반감에 불을 붙였다. 올해 초 멕시코시티 콘데사 등에는 외국인 혐오 현수막이 급증했다. '국가를 수호하는 멕시코인'이란 단체는 "멕시코 우선"이라는 현수막을 내걸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꼬집었다. 멕시코에서 트럼프 집권 이후 미국산 불매 운동도 일어나고 있다. 또 현지 기업들은 광고에서 멕시코 국기에 쓰인 빨간색·초록색·흰색을 활용한 '애국 마케팅'을 펼 정도라고 한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803 사도 바울이 유튜버였다면… ‘좋댓구알’ 대신 ‘말씀·기도’로 소통 랭크뉴스 2025.07.12
49802 [단독] 정부, 美협상 위해 ODA 예산 삭감해 국방비 증액 가능한지 검토 랭크뉴스 2025.07.12
49801 '강선우 방지법'까지 발의...논란의 여가부 장관 후보 랭크뉴스 2025.07.12
49800 더위에 수박이 '3만 원'‥"복숭아도 쳐다만 봐" 랭크뉴스 2025.07.12
49799 실물경제가 아닌 그림자금융 리스크를 경계하라 랭크뉴스 2025.07.12
49798 사회성 제로 ‘전직 천재’, 엄마로 살다 ‘나’를 되찾다[오마주] 랭크뉴스 2025.07.12
49797 “바람 잘 날 없네”...백종원 ‘수난시대’ 랭크뉴스 2025.07.12
49796 '지우학' 주동근 작가 "좀비물 '팬심'서 시작…시즌2 촬영 설레" 랭크뉴스 2025.07.12
49795 '억만장자 모임'서 위기 해법 모색한 이재용…글로벌 경영 향방 17일에 달렸다 랭크뉴스 2025.07.12
49794 폭염 속 일산 대형마트서 숨진 60대…중처법 위반 여부 조사 랭크뉴스 2025.07.12
49793 동해안 몰려든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랭크뉴스 2025.07.12
49792 드론의 등장은 ‘무죄’…드론 잡는 ‘탄약’에 드론 막는 ‘방탄복’까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12
49791 [단독] "이재현 특명" 올리브영, 도쿄 1호점 낸다…日 뷰티시장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12
49790 조사 불응에 "모레 나오라"‥'강제구인' 검토 랭크뉴스 2025.07.12
49789 사진이 8초 영상으로…구글, 동영상 생성 AI에 새 기능 추가 랭크뉴스 2025.07.12
49788 '기생충' 제친 K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장성호 감독 랭크뉴스 2025.07.12
49787 냉방의 역습! 시원할수록 허리 못 편다 랭크뉴스 2025.07.12
49786 [실손 대백과] 의료자문 동의해야 보험금 준다더니… 36% 못 받거나 삭감 랭크뉴스 2025.07.12
49785 조선의 ‘폭싹 속았수다?’…확 달라진 북한 드라마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5.07.12
49784 나쁜 대통령, 이상한 대통령 그리고 바쁜 대통령[신문 1면 사진들]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