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상 콘텐츠를 2배속 이상 빠른 속도로 시청하는 습관이 뇌 건강과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4월 캐나다 워털루대의 티판 타루말링감 교수와 미국 시카고대 브래디 로버츠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영상 재생 속도와 인지 기능 상관관계'를 다룬 전 세계 실험 논문 24편을 분석해 학술지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을 ▲일반 속도 ▲1.25배속 ▲1.5배속 ▲2배속 ▲2.5배속 등 다섯 그룹으로 나눠 영상 시청 후 인지 능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2배속을 초과할 경우 전 연령에서 기억력과 이해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5배속 이하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했다.

다만 연령대에 따라 차이는 존재했다. 고령층(61~94세)은 1.5배속만으로도 기억력 손실과 이해력 저하가 뚜렷했다. 젊은층(18~36세)은 2배속 시청에서도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지만, 연구진은 "복잡하고 생소한 영상을 빠르게 시청할 경우 젊은층도 충분히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 점수가 75점인 학생 그룹이 1.5배속으로 시청했을 때 평균 점수는 2점 낮아졌고, 2.5배속 시청 시에는 17점 하락했다.

연구는 또한 생소한 정보 콘텐츠를 빠른 속도로 반복 시청하면 뇌의 시각 피로와 정보 과부화가 증가하고, 장기적으로는 뇌 회백질 감소 등 신경학적 손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불안, 불면, 두통 등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런던 퀸 메리 대학교 인지과학 연구원 마커스 피어스는 The Conversation에 “우리 뇌의 작업 기억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이라며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면 인지 과부하와 장기 기억으로 옮기는 데 실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배속 시청은 Z세대 젊은층 사이에서 일상 습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Gen Z 콘텐츠 이용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응답자의 27%가 1.5배속 이상, 24%가 2배속 시청을 한다고 답했다. 이는 전 세대 중 가장 높은 수치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64 리박스쿨 대표 “백골단 뭐가 문제냐”···윤석열 정부·리박스쿨 ‘극우화 교감’ 있었나 랭크뉴스 2025.07.10
49163 李대통령, RE100 산단 ‘규제제로’ 지시… ‘에너지 신도시’ 만든다 랭크뉴스 2025.07.10
49162 여중생 나체 찍고 성폭행한 10대 남녀…7년만에 죗값 치른다, 왜 랭크뉴스 2025.07.10
49161 보수마저 등 돌렸다…지지율 '19% 추락' 부른 국힘의 삼재 랭크뉴스 2025.07.10
49160 "먹고살기 힘든데 여행은 무슨"…고물가에 여름휴가 포기하는 직장인들 랭크뉴스 2025.07.10
49159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통령 살해 협박 암시글‥경찰 "작성자 추적" 랭크뉴스 2025.07.10
49158 "지금도 더워 죽겠는데 더 더워진다고?"…7말8초 '더 센' 폭염 온다는데, 왜? 랭크뉴스 2025.07.10
49157 RE100 산단 특별법 연내 추진... 이 대통령 "파격 전기료 감면, 규제 제로 검토" 랭크뉴스 2025.07.10
49156 특검, 구치소서 버티는 윤석열에 “내일 출석 불응시 강제구인 검토” 랭크뉴스 2025.07.10
49155 표절부터 갑질까지 다음주 청문 정국 격돌... 與 '약한 고리' 이진숙을 어찌할꼬 랭크뉴스 2025.07.10
49154 "수영선수도 거긴 못 나와"…20대 4명 숨진 금강 상류, 어땠길래 [르포] 랭크뉴스 2025.07.10
49153 "가뭄에 단비" 하루 5000명 줄섰다…민생지원금 벌써 풀린 이곳 [르포] 랭크뉴스 2025.07.10
49152 리박스쿨 대표 "전두환 명예회복 돼야…백골단이 뭐가 문제냐"(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10
49151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 "앞에선 '약자보호' 뒤에선 '갑질'‥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7.10
49150 ‘윤석열 사단은 하나회’ 발언 이성윤…법원 “해임 정당” 랭크뉴스 2025.07.10
49149 [단독] ‘수인번호 3617’, 구치소 독방 수용…1차 구속 때와 다른 점은? 랭크뉴스 2025.07.10
49148 [단독] “통일교 간부가 건진에 ‘김건희 선물’ 준 시기는 윤석열 취임 전후” 랭크뉴스 2025.07.10
49147 “김포~청량리 33분”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예타 통과 랭크뉴스 2025.07.10
49146 8m 빙하 아래 추락한 반려인, 치와와가 구했다…바들바들 떨며 “왈왈” 랭크뉴스 2025.07.10
49145 ‘VIP 격노설’ 피의자 김태효, 성균관대 교수 복귀···학생들 “‘구속종강’?”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