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7일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80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경기 중 한 선수가 이동식 에어컨 앞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다. 장종우 기자

체감 기온이 33.6도까지 치솟은 지난 7일 오후 1시께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 투구를 마친 앳된 얼굴의 고등학생 선수가 공을 던진 팔을 ‘코끼리 에어컨’ 송풍구에 쑥 집어 넣었다. 다른 선수들은 금세 미지근해진 휴대용 얼음 주머니에 새 얼음을 채워 넣기 바빴다. 천연 잔디 대신 넓게 깔린 인조 잔디에서 넘어지면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선수들 모두 유니폼 안에 긴 팔 운동복까지 입은 채였다. 수비를 마치고 더그아웃(대기 구역)으로 돌아온 덕수고 중견수 이채훈(18)군이 기진맥진한 표정으로 전했다. “달궈진 아스팔트 위에서 야구 하는 것 같아요. 아지랑이까지 보여서 순간 집중력이 흐려졌어요.”

서울에 올해 첫 폭염 경보가 내린 이날 한겨레가 찾은 목동야구장에선 제80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청룡기 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16강 경기가 한창이었다. 올해 청룡기 대회(6월28일~7월12일) 경기는 16강까지 오전 9시와 11시30분, 낮 2시에 열렸다. 7월 초 이른 폭염과 무더위가 당연해진 가운데, 햇볕마저 쨍쨍한 시간대에 경기가 치러진 것이다.

한여름, 그것도 대낮에 국내 대표 고교 야구 경기가 치러지는 데는 여러 사정이 있다. 우선 9월 초 시작되는 대학 입시와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일정에 맞추려면 여름 경기가 불가피하다고 한다. 청룡기 대회에 출전할 권역별 학교는 여름에 임박해 정해진다. 같은 이유로 대통령배와 봉황대기 등 다른 주요 대회도 7~8월에 열린다. 그렇다고 대회를 가을로 옮기면 학생 선수들의 대학 입시와 프로야구 선수 선발 절차에 문제가 생긴다. 한 고교야구 감독은 “입시와 드래프트를 미루지 않는 한, 한여름 경기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야간 경기 또한 쉽지 않다. 서울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사업소) 관계자는 “목동야구장의 경우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야구장 소음과 야간 조명에 민원을 제기하고 있어 저녁 6시 이후 경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사업소는 2023년 경기를 주최하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 오후 6시 전에 경기를 끝내 달라고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실제 이날 경기장 곳곳에도 “소음(응원·함성 등) 공해 이제 그만! 인접한 아파트 주민들이 힘들어합니다”라고 적힌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 평일 오후 6시30분부터 프로야구 생중계가 이뤄지는 탓에 고교 야구는 낮에 생중계돼야 그나마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 안에 붙어있는 안내문. 장종우 기자

사정이 이렇다 보니 주최 쪽 고민도 크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쪽은 급한 대로 더그아웃마다 벽걸이 선풍기를 5대에서 9대로 늘리고 경기 감독관의 판단으로 3이닝마다 휴식 시간(쿨링타임)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오는 9일 이후 예정된 8강과 준결승 경기 중 오후 3시10분 예정 경기를 5시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다만 야간 경기 민원 우려가 해소된 것은 아니다. 협회 관계자는 “민원이 오면 학생 선수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경기 무료 초청 등 상생안도 마련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학생 선수의 안전을 위해 야구계 전체가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고교야구 해설위원인 이재국 스포팅제국 대표는 “지난해 폭염으로 울산 문수야구장 프로야구 경기가 취소된 기간, 포항에서는 고교야구 대회가 강행됐다”며 “프로선수에 준하는 혹서기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황승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성장하는 중·고등학교 선수들은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도 성장 중이라 성인보다 온열 질환에 취약하다”며 “프로야구 구단이 원정을 떠날 때 프로야구 경기장을 빌려 야간 경기 위주로 편성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269 [현장+] “BTS 컴백하는데”…방시혁 오너 리스크에 흔들리는 하이브 랭크뉴스 2025.07.11
54268 논문 표절에 중학생 자녀 조기 유학…여당 ‘이진숙을 어쩌나’ 랭크뉴스 2025.07.11
54267 열 받은 판자촌, 창문도 없다…손선풍기로 버티는 쪽방촌 눈물 랭크뉴스 2025.07.11
54266 에어컨 없는 2평대 독방 수감된 尹···수용번호는 '3617' 랭크뉴스 2025.07.11
54265 "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똥내 군복남 '100번째 신고' 랭크뉴스 2025.07.11
54264 [단독]재개발앞둔 ‘미아리텍사스촌’ 철거현장 가보니…성매매여성들 여전히 “생계 막막” 랭크뉴스 2025.07.11
54263 [단독]평양 무인기 침투 증거인멸? 드론통제車, 폐차 직전 막았다 랭크뉴스 2025.07.11
54262 [속보] 비트코인 급등, 11만6천 달러선도 돌파 랭크뉴스 2025.07.11
54261 내년 최저임금 1만 320원…올해보다 2.9% 인상 랭크뉴스 2025.07.11
54260 다음은 한덕수·이상민‥'외환' 규명도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11
54259 尹 수용번호 '3617'‥서울구치소 일반수용동 2평대 독방으로 랭크뉴스 2025.07.11
54258 [Why] “언론사 떠안기 싫다”...더존비즈온 PEF 매각 속도 안나는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11
54257 순식간에 26% 폭락한 이 종목…바이오株 긴장감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7.11
54256 [샷!] "밥 리필에 고기반찬이니 '혜자'" 랭크뉴스 2025.07.11
54255 韓·유럽 우주 동맹 맺는다…“다양성이 한국 우주의 강점” 랭크뉴스 2025.07.11
54254 조기경보기 도입 유례없는 ‘4차 재공고’…‘총사업비관리제’에 발목 잡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11
54253 [단독]'김건희 집사' 회사서 사라진 92억…김건희 비자금 빼돌렸나 랭크뉴스 2025.07.11
54252 수용번호 3617, 에어컨 없는 3평 독방… 첫날 찐감자·된장찌개·불고기 식사 랭크뉴스 2025.07.11
54251 롤러코스터 전력수요…전력망 4일 중 3일이 ‘비상’[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7.11
54250 "너, 한밤중에 왜 이렇게 짖어?"…불난 아파트서 가족들 살린 반려견 '몽실이'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