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지옥션 제공
전국 아파트 경매시장이 다시 3000건을 넘어섰다.

8일 경·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5년 6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 수는 총 3013건으로 전월(2,902건) 대비 약 4% 증가했다.

낙찰률은 42.7%로 전달보다 4.0%포인트 상승했으며 낙찰가율은 87.6%로 소폭(0.2%p) 하락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8.5명으로 전월(8.7명)과 유사한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46.5%로 올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낙찰가율은 98.5%까지 올랐다.

강남권은 물론 도봉·노원·구로 등 외곽지역까지 고가 낙찰이 잇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찰 없이 1회차 낙찰된 건수는 전체의 31%에 달해 경쟁 과열 분위기도 엿보인다.

평균 응찰자 수도 9.2명으로 늘었다. 다만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에 따라 대출 한도가 급감한 가운데 향후 낙찰가율 상승세가 꺾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지옥션 제공

경기 지역은 낙찰률 51.2%, 낙찰가율 89.7%로 각각 5.7%p, 2.1%p 상승하며 지난 10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당과 수지 등 주요 지역에서의 고가 낙찰 사례가 전체 지표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응찰자 수도 전월 대비 1.2명 증가한 11.1명으로 집계됐다.

인천은 낙찰률은 상승(40.4%)했지만 낙찰가율은 79.0%로 한 달 만에 다시 80% 아래로 내려갔다. 이는 미추홀구 일대 전세사기 피해주택을 LH가 저가에 매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방 5대 광역시에서는 부산과 광주가 낙찰가율 상승세를 보인 반면 대전은 14.9%p 급락하며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준(67.0%)을 기록했다. 울산 역시 2.0%p 하락했다.

충남·전북·전남 등은 3~4%포인트 이상 하락했으며 세종(92.4%)은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지만 진행 건수는 16건에 그쳤다. 제주는 86.9%의 낙찰가율을 보였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897 임은정 "尹 재구속, 우연 아닌 인과응보 필연…檢후배로서 창피" 랭크뉴스 2025.07.10
53896 윤석열, 호주머니 손 빼고 수의 갈아입어…3평 독방 수감 랭크뉴스 2025.07.10
53895 에어컨 없는 3평 독방 들어간 尹…아침 메뉴는 찐감자·치즈빵 랭크뉴스 2025.07.10
53894 [속보] 한은, 기준금리 동결…연 2.5% 유지 랭크뉴스 2025.07.10
53893 임은정 "尹재구속, 우연 아닌 인과응보 필연…檢후배로서 창피" 랭크뉴스 2025.07.10
53892 [속보] 한은, 기준금리 2.50% 동결… 집값 급등·가계대출 증가에 ‘속도조절’ 랭크뉴스 2025.07.10
53891 [속보] ‘재구속’ 윤석열, 오늘 내란 재판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890 투신 여성이 덮쳐 숨진 모녀…11세 딸은 '테니스 유망주' 랭크뉴스 2025.07.10
53889 한은 기준금리 2.5%로 동결…가계대출∙집값 부담 숨고르기 랭크뉴스 2025.07.10
53888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2.5%에서 동결 랭크뉴스 2025.07.10
53887 [속보] ‘재구속’ 윤 전 대통령, 오늘 오전 내란 재판 불출석 전망 랭크뉴스 2025.07.10
53886 네이처셀 “무릎 줄기세포 치료제 美 생산 위해 4100억여원 투자 유치 계획” 랭크뉴스 2025.07.10
53885 개미를 음식에 넣어 1억2000만원 벌어들인 황당 식당 적발 랭크뉴스 2025.07.10
53884 다시 구속된 尹, 내란 재판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883 [속보] 구속된 尹, 내란재판 첫 불참…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882 [속보] 다시 구속된 尹, 내란 재판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881 [속보] 한은, 기준금리 2.50% 동결… 집값 급등·가계대출 증가에 ’속도조절’ 랭크뉴스 2025.07.10
53880 윤석열, 머그샷 찍고 에어컨 없는 독방에…머리 손질도 직접 해야 랭크뉴스 2025.07.10
53879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 동결 랭크뉴스 2025.07.10
53878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 ① 美 명문대 박사에 전공 무관 업무, 임원은 R&D 프로젝트 이해 못해... ‘삼무원식’ 인사에 삼성 반도체 좌초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