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한국을 향해 다음달 1일부터 25%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최후통첩을 날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본인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보낸 서한을 공개하며 “한국과 무역 관계는 오랜 기간 공정하지 못했다”고 불만을 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4일 금요일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 있는 모리스타운 시립공항으로 향하는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25%라는 숫자는 무역 적자 격차를 해소하기에 필요한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라고 주장하며 추가 압박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한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할 경우, “당신들이 올리기로 선택한 만큼 우리가 부과한 25%에 추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약 12개국에 동시 통보됐다. 이 가운데 유독 한국과 일본 정상에게 보낸 서한만 소셜미디어에 전문을 공개하는 방식을 택했다.

백악관은 ‘왜 두 나라를 특별히 지목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통령의 전권”이며 “대통령이 그 나라들을 선택했다”고만 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알리는 서한을 공개했다. /트루스소셜

일부 전문가들은 그 배경에 명확한 경제적, 정치적 계산이 깔려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에 한국과 일본은 상당한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는 대표적인 교역 상대국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은 대한국 상품 무역적자 660억달러, 대일 무역적자 694억달러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한에서 ‘불균형’과 ‘상호주의’를 유독 강조한 이유다.

동시에 두 나라는 트럼프 대통령 핵심 지지 기반과 직결된 자동차 산업 강국이다.

트럼프는 재집권 직후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25%, 철강·알루미늄에 50%라는 품목별 관세부터 부과했다. 이번 25% 상호 관세는 이와 별개로 모든 한국산 제품에 추가로 적용된다. 미국 자동차 산업을 억제할 수 있는 요소를 전방위적으로 압박해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선 공약을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우리 정부는 관세 부과 시점이 다음달 1일로 정해진 것을 “사실상 시한이 연장된 것”으로 보고 남은 기간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물리적 시간이 부족했다는 점을 인정하며, 미국이 주로 관심을 갖고 있는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국내 제도 개선 등을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캐럴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이 2025년 7월 7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보낸 서한을 보여주고 있다. /연합뉴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 시한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약 3주간 숨 가쁜 추가 협상이 이어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국이 무역 장벽을 없애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것”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한미 두 나라는 지난 90일 유예 기간 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자동차 관세 등 관세 정책이 여러겹으로 이미 시행 중이기 때문에 섣불리 추가 양보안을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 협상을 더디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 부회장은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에 대한 관세 인상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면서도 “아직 게임이 끝난 것은 아니다”라며 협상 타결 가능성을 열어뒀다.

조시 립스키 애틀랜틱 카운슬 석좌 고문은 “3주 동안 시간을 더 줬다는 것은 트럼프가 관세 문제에 대해 진지하고, 단순한 협상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802 “세 번째 결혼도 당연해진다” AI시대, 대세 된다는 이 직업 랭크뉴스 2025.07.10
53801 尹, 넉 달 만에 다시 에어컨 없는 '3평 독거실' 수감 랭크뉴스 2025.07.10
53800 “거북선에 새겨진 일장기?”…서경덕 “있을 수 없는 일, 전량 폐기하라” 랭크뉴스 2025.07.10
53799 “밤에도 땀 범벅, 얼음물로 버텨”···열대야 속 짐 나르는 하역 노동자들 랭크뉴스 2025.07.10
53798 윤석열 전 대통령 넉 달만에 재구속…이 시각 서울구치소 랭크뉴스 2025.07.10
53797 [단독]‘최후 20분’에도 즉흥발언한 윤석열 “‘계엄 선포문 표지’ 폐기, 사후에 보고받아” 랭크뉴스 2025.07.10
53796 우주전략사령부 창설?…軍 조직법에 ‘우주작전’ 단어부터 넣자[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10
53795 시작부터 ‘내란수괴 겨냥’···조은석 특검의 ‘22일 속전속결’[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94 [더버터] 마다가스카르에 보낸 400만원, 1000명 삶을 바꿨다 랭크뉴스 2025.07.10
53793 김계환 ‘VIP 격노’ 진술 회피, ‘허위보고 의혹’ 부인…특검 추가 조사 방침 랭크뉴스 2025.07.10
53792 [단독]"김건희 '집사 게이트' 수익 취득 가능성"…압색영장 적시 랭크뉴스 2025.07.10
53791 ‘재구속’ 윤석열, 3평 남짓 독방 수용… 경호 중단 랭크뉴스 2025.07.10
53790 [단독]제자 논문 베끼고도 이름은 뺐다, 이진숙 가로채기 의혹 랭크뉴스 2025.07.10
53789 [영상] "갤럭시 카메라가 알고보니 까치 눈이었다고?"…삼성 티저에 '관심 폭발' 랭크뉴스 2025.07.10
53788 [속보]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11만2천달러 첫 돌파 랭크뉴스 2025.07.10
53787 “브니엘예고, 날 향한 추문은…” 44세 N강사 직접 입 열었다 [부산 브니엘예고 의혹 ③] 랭크뉴스 2025.07.10
53786 [단독] 권오을 배우자, 남편 측근 회사서 급여 수령… 野 "사후 공천헌금" 랭크뉴스 2025.07.10
53785 “반응 이 정도일 줄은” 약사도 놀랐다…국내 첫 ‘창고형 약국’ 실험 랭크뉴스 2025.07.10
53784 “미국에 통상·투자·안보 패키지 협의 제안” 랭크뉴스 2025.07.10
53783 "장기 구금 가능성 열렸다"…주요 외신 '尹 재구속' 긴급 보도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