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보다 6분의 1 수준 급감
비아파트 시장 공급절벽 심화
비아파트 시장 공급절벽 심화
서울 시내 빌라 밀집 지역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연합뉴스
올해 1~5월 서울의 비(非)아파트 준공 물량이 약 1800가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사기 피해가 빌라 등 비아파트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면서 수요가 크게 줄어든 탓이다.
6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 실적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서울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준공 건수는 1813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2945가구)보다 38.4% 줄었다. 전세사기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2021년 1~5월(1만517가구)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서울의 비아파트 준공 물량은 2020~2022년에는 매년 2만2000~2만5000가구 수준이었지만 2023년에는 1만4124가구, 지난해 6512가구로 급감했다. 반면 올해 1~5월 서울 아파트 준공 물량은 2만70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1876가구)보다 74.5% 증가해 비아파트 물량과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정부는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 매입임대’ ‘6년 단기임대 제도’(1주택자가 다세대·연립주택 등을 매입해 6년간 임대 시 1가구 1주택 특례를 부여)를 도입했지만 회복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향후 1~2년 비아파트의 준공 물량을 가늠해볼 수 있는 서울의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인허가 건수는 올해 1~5월 209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6% 늘었지만 여전히 2022년(8549가구)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김진유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2022∼2024년 연평균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이전 10년(2012∼2021년) 평균과 비교해 77.8%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