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방송 3법 과방위 통과… 공영방송 이사 확대
'거부권 법안' 등 38건 중점 처리 대상
'집중투표제·감사위원 분리선출' 상법 2단계
양곡관리법·노란봉투법도 속도전
6월은 '추경' 9월은 '검찰개혁' 7월이 골든타임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최민희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7월 임시국회가 막이 오른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묵혀둔 개혁 입법을 처리하겠다고 벼르고 나섰다. 당장 윤석열 정부의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됐던 쟁점 법안들을 일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9월 정기국회에서 '검찰개혁'이라는 큰 숙제를 앞두고 있는 만큼 나머지 개혁 법안들은 7월에 선제적으로 매듭짓겠다는 계산이다. 당장 민주당은 7일 '방송 3법'을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에서 통과시키며 개혁 입법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뒤이어 더 센 상법개정안을 비롯해, 노란봉투법, 농업 4법 등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검찰개혁도 '추석 전 처리'로 속도를 높였다.

문제는 거부권 법안을 두고 국민의힘 반발이 여전히 거세고, 일방 강행 처리 부담에 여권 내부에서도 우려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개혁 입법을 밀어붙이려는 여당 일부 강경파의 독주에 정권 초기 민생 안정을 강조해온 이재명 대통령의 협치 불씨가 사그라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최민희 '방송 3법 드라이브'...與 수뇌부는 속도 조절



민주당은 이날 방송 3법을 속전속결로 밀어붙였다. 방송 3법은 KBS·MBC·EBS 등 공영방송 이사 수를 확대하는 동시에, 이사 추천 주체를 기존 국회뿐 아니라 시민단체로 다양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치권의 입김을 최소화해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하자는 취지지만, 국민의힘은 "여권의 방송 장악 시도"라고 반발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소위부터 전체회의까지 강행 처리를 멈추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법안 발의부터 소위, (전체회의) 상정까지 최민희 위원장을 비롯한 몇몇 민주당 의원들이 독단적으로 폭주하고 있다"며 "절차와 내용 모두 퇴행적"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여당과 이재명 대통령이 오히려 (권한을) 내려놓는 법"이라고 뜻을 굽히지 않았다.

최 위원장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지만, 여권 지도부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당장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7월 내 반드시 통과를 위해 무리해서 법안 처리는 하지 않겠다"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 핵심 관계자도 "야당과 달리, 여당 의사 결정은 상임위-원내-당 지도부-용산의 단계가 있다"며 "상임위 혼자 하고 싶다고 다 되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했다.

당장 이 대통령도 거리를 두는 분위기다. 최근 최 위원장과 과방위 간사인 김현 의원이 이 대통령에 방송 3법 관련 대면보고에 나섰는데, 이 대통령은 '대통령이 방송 장악을 위해 법을 만든다는 오해를 피할 방안이 있는지'를 물었다고 한다. 야당의 반발 등을 의식한 발언이다. 이에 과방위 의원들은 문제없다는 입장을 피력하며 방송 3법 처리에 의지를 드러냈고 이 대통령도 더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방송 3법 관련 대통령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국민적 공감대와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방송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원론적 입장을 밝힌 것이지만 "야당과 논의가 좀 더 무르익어야 하지 않겠냐"(원내 관계자)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다만 이 대통령이 개별 법안에 대해서 국회 몫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강경파 입김에 따라 통과 여론이 커지면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7월 임시국회 처리 예상 ‘거부권’ 법안. 김대훈 기자


상법 최우선 과제... 양곡법 노봉법 줄줄이 대기



민주당은 방송법 이외에 거부권 법안에 대해선 보다 적극적이다. 당장 더 센 상법개정안에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6월 국회에서 여야 협상을 거쳐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강화,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를 제외한 상법개정안을 통과시켰는데, 두 가지 조항을 추가한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양곡관리법 등 ‘농업 4법’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도 이번 임시국회 처리 대상이다. 양곡관리법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사전 수급 조절 조치 후에도 과잉 생산이 발생하면 쌀을 매입하는 절충안을 제안하는 등, 합의점을 찾고 있다. 농업 4법은 7월 국회, 늦어도 8월 ‘수확기 전’에는 처리를 한다는 방침이다. 노란봉투법도 환경노동위원회 논의를 거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문 수석부대표는 "중점 추진 법안이 40개가 있었는데, (6월 국회에서) 2개를 통과시켜 38개가 남았다”며 “가장 중요한 건 전 정권에서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을 집중 처리하겠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렇게 속도를 높이는 데는 7월이 민생 개혁 입법의 마지노선이기 때문이다. '추석 전 검찰개혁'을 예고하고 있는 만큼, 9월 정기국회 시선은 여기에 쏠릴 공산이 크다. 민주당 한 지도부 의원은 "이 대통령은 취임 후 3, 4개월 안에 못다 한 일을 처리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했다.

진성준(왼쪽)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7일 국회에서 김정재(왼쪽 두 번째)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진 의장, 김 의장,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이정문 정책위수석부의장. 고영권 기자


與 "7월은 '민생 전면전'"… 野 "일방 통과 안돼"



문제는 이 같은 개혁 입법 드라이브로 모처럼 조성된 협치 정국이 빛이 바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여야 첫 정책위 상견례에서 "이견이나 논란이 있는 법은 일방적인 통과가 아니라, 여야가 머리를 맞대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가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쏘아붙였다. 7월 중순부터 이재명 정부 첫 내각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줄줄이 예고돼 있는 상황에서, 여야 대치가 격화하는 것도 여권으로선 부담일 수밖에 없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619 "죽인 건 맞지만 병원 가라고 했다"…살인 인정한 차철남, 살인 미수는 부인 랭크뉴스 2025.07.09
53618 "대장암 피하려면 절대 먹지 말라"…하루 한 개만 먹어도 위험하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9
53617 尹 구속심사 6시간 넘게 진행중…휴정후 재개 밤늦게 끝날 듯 랭크뉴스 2025.07.09
53616 "할머니 힘드실까봐요"…폭염 속 노점상에 3만원 비상금 건넨 중학생 랭크뉴스 2025.07.09
53615 이번엔 취소 빌미 없다‥구속 가를 쟁점은? 랭크뉴스 2025.07.09
53614 "분변·악취에 도저히 못 살겠다"…1000마리 백로떼 점령한 아파트 주민들 '멘붕' 랭크뉴스 2025.07.09
53613 [속보] 윤석열 구속심문 저녁식사 뒤 8시 재개 랭크뉴스 2025.07.09
53612 윤희숙 野혁신위원장 “재창당 수준의 혁신안 마련할 것” 랭크뉴스 2025.07.09
53611 [단독] 세 번 연속 ‘산재 대책’ 지시한 李… 與 입법 TF 만든다 랭크뉴스 2025.07.09
53610 [속보] 美 국무장관 “관세 서한은 일률발송된 것…내달 1일까지 긴밀 합의” 랭크뉴스 2025.07.09
53609 "李 대통령 재판중단 위헌" 헌법소원 4건 모두 각하 랭크뉴스 2025.07.09
53608 수상한 김건희 측근 렌터카 업체…자본 잠식됐는데 윤 정권서 184억 유치 랭크뉴스 2025.07.09
53607 [속보]위성락, 미국에 “통상·투자·구매·안보 패키지 협의” 제안···루비오도 공감 랭크뉴스 2025.07.09
53606 [속보] 위성락 “통상·투자·안보 전반 패키지로 관세 협의 진전시킬 것…미국 측 공감” 랭크뉴스 2025.07.09
53605 '김건희 일가 집사' 해외 도피… 법원서 압수수색 영장 기각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9
53604 [속보] 위성락 “美에 통상·투자·안보 패키지 협의 제안” 랭크뉴스 2025.07.09
53603 ‘일장기 단 거북선 간식상자’ 제공…SR “깊이 사과, 전량 폐기” 랭크뉴스 2025.07.09
53602 위성락 “조속한 시일 내 한미회담 할 것… 美도 공감 표해" 랭크뉴스 2025.07.09
53601 ‘폭염’ 노점 할머니께 “콩, 저 주세요”…전재산 5만원 14살의 마음 랭크뉴스 2025.07.09
53600 [속보] 윤석열 구속심문 8시까지 휴정…저녁식사 뒤 재개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