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일~9일 15개국에 관세율 통보 서한 발송”
“성실 협상국엔 시한 연장 시사… ‘최종 판단은 대통령 몫’”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착륙한 대통령전용기에서 내리며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무역 협상과 관련해 “9일까지는 대부분의 국가와는 서한이든 합의(deal)든 마무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9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국가에는 상호관세율을 담은 서한을 발송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관세발효 시점은 다음 달 1일로 예고해 추가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에서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대통령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이같이 말하며 “이미 성사된 합의들도 있다. 이번에는 서한과 합의가 혼합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이어 “월요일(7일)에 발송할 무역 관련 서한은 12(개국)나 15 정도가 될 것”이라며 “아마 15(개국) 정도 될 수 있고 월요일에 발송될 것이며, 일부는 화요일(8일)과 수요일(9일)에 발송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서한 발송에도 상호관세가 즉각적으로 발효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옆에 있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것”이라며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협상을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관세율을 담은 서한을 보내겠지만, 발효 시점을 다음 달 1일로 설정한 것은 추가 협상 여지를 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다음 달 1일부터 관세가 부과된다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N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무역 파트너 일부에게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8월 1일부터 다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그래서 난 우리가 많은 합의를 매우 곧 보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서한을 받는 국가들이 협상에 속도를 내 합의할지, 4월에 발표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지를 선택해야 한다며 “최대 압박을 가하는 전술(playbook)”이라고 설명했다. 협상 타결이 임박한 국가가 있느냐는 질의에는 “우리는 몇 개의 합의에 근접했다”면서도 해당 국가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미국과 성실하게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들에는 협상 기한이 연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해셋 위원장은 CBS 인터뷰에서 “미국은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모든 국가와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시한이 있고, 거의 (합의에) 가까워진 사안들이 있다. 따라서 아마도 이 사안들은 시한을 넘길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결국은 대통령이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ABC 뉴스에 출연해 “성실히 협상하고 합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국가들이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 예상에는 그런 국가들은 일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대로 양보를 하지 않거나 성의 있게 협상하지 않는 나라들은 더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84 [속보]김건희 특검팀, 오일록 삼부토건 대표 소환조사 랭크뉴스 2025.07.09
53383 [속보] 정부 "北주민 6명 오늘 동해상 송환…北경비정 인계지점 대기" 랭크뉴스 2025.07.09
53382 미국 여행 간다면 '이 약자' 주의…식당서 모르고 주문했다간 '가격폭탄' 랭크뉴스 2025.07.09
53381 BTS도 '무소용'...'방시혁 리스크'에 하이브 주주들 한숨 랭크뉴스 2025.07.09
53380 [인싸M] 트럼프가 쏘아 올린 명사십리 해안가 단상 랭크뉴스 2025.07.09
53379 윤희숙 신임 혁신위원장 “원내 아닌, 당원 중심 상향식 구조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7.09
53378 “돈 없다” 폭염 특보에 에어컨 끈 초등학교…학부모 항의 ‘폭발’ 랭크뉴스 2025.07.09
53377 이시영 ‘이혼 후 임신’에 법조계·누리꾼 갑론을박 [잇슈 컬처] 랭크뉴스 2025.07.09
53376 애플 60대 경영진 속속 세대교체… 올해 '65세' 팀쿡은?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랭크뉴스 2025.07.09
53375 국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수도권 민심 다가갈 것" 랭크뉴스 2025.07.09
53374 “주식 투자로 생활비”…배당소득 분리과세 시행될까?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09
53373 LH, 이틀 연속 근로자 체감온도 35℃ 이상이면 외부 작업 전면 중단 랭크뉴스 2025.07.09
53372 “노후대책보다 시세 차익?” 집값 상승에 주택연금 외면 랭크뉴스 2025.07.09
53371 ‘탈석탄’ 외치고 500조원 투자 [ESG 뉴스 5] 랭크뉴스 2025.07.09
53370 이 대통령, 오늘 종교계 오찬···불교·천주교·개신교·원불교 등 랭크뉴스 2025.07.09
53369 [단독] "尹 진짜 나쁜 사람이네" 김용태가 혀 찬 '尹탈당' 비하인드 [강찬호의 뉴스메이커] 랭크뉴스 2025.07.09
53368 박은정 "윤석열·김건희 동시 구속 수사해야"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9
53367 [속보]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윤희숙·전대 선관위원장 황우여 랭크뉴스 2025.07.09
53366 우크라포럼 실체는…특검, 삼부토건 가세·주가조작 연관 추적 랭크뉴스 2025.07.09
53365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 일본 전략에 허 찔린 한국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