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4월 16일 베트남 하이퐁항에서 한 컨테이너가 화물선에 실리고 있다. 하이퐁/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오는 9일까지 무역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다음달 1일 발효’를 조건으로 하는 관세율을 일방 통보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이후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관세율 통보’를 최대 압박 수단으로 삼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몇몇 국가들에게는 협상 기간 연장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데, 한국이 이에 포함될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각) 뉴저지주 일정을 마치고 워싱턴으로 향하기 전 기자들에게 관세 인상을 알리는 서한이 12~15개국을 대상으로 7일부터 발송되기 시작하며 “일부는 8일 또는 9일에 발송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2개국’을 서한 발송 대상국으로 언급한 바 있다. 3개국 정도가 추가될 수 있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몇몇 국가들과는 합의가 이뤄졌다. 9일까지 대부분의 국가와는 서한이든 합의든 어떤 형태로든 정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한에 담긴 관세율 발효일은 오는 9일이 아닌 다음달 1일이다. 트럼프 대통령 옆에 있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기자들에게 “관세는 8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한다.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과 협정 내용을 최종 결정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주요 무역상대국 중 9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국가 12~15개국에 ‘다음달 1일 발효’ 조건을 달아 관세율을 일방 통보함으로써 압박 수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시엔엔(CNN)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8월 1일부터는 4월 2일의 관세 수준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무역 파트너들에게 보낼 예정”이라며 “많은 협상이 빠르게 마무리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8월 1일이 새로운 마감일은 아니다”라며 “그저 그날이 실제 발효일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서한을 받는 국가들이 협상에 속도를 내 합의할지, 기존 상호관세율로 돌아가는 걸 선택할지는 그들의 몫이라면서 이를 “최대 압박을 가하는 전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미국과 무역량이 적은 약 100개국에도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베센트 장관은 “이들 국가 대부분은 현재 기본 10% 관세만 적용받고 있다”며 “이들 국가 다수는 우리한테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자) 연락조차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협상 기한 연장 가능성도 거듭 언급됐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미국 시비에스(CBS)와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와 협상이 9일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를 연장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시한이 있고, 거의 (합의에) 가까워진 사안들이 있다. 따라서 아마도 이 사안들은 시한을 넘길 수 있다”고 답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에이비시(ABC) 뉴스에 출연해 “성실히 협상하고 합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국가들이 있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와)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 예상에는 그런 국가들은 일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425 ‘부동산 쏠림’ 지적하더니…한은 직원들 저리로 46억 주택대출 랭크뉴스 2025.07.07
52424 광양 계곡서 다이빙 20대, 돌에 머리 부딪쳐 하반신 마비 랭크뉴스 2025.07.07
52423 25% EU 관세 피하러…수출국 표기 위조 업체 적발 랭크뉴스 2025.07.07
52422 'DB형, DC형도 모르는' 당신을 위한 퇴직연금 A to Z[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④] 랭크뉴스 2025.07.07
52421 특검 “尹, ‘경찰에 총 보여라’ 체포저지 지시”…한덕수도 “공범” 적시 랭크뉴스 2025.07.07
52420 [팩트체크] 서울서 비둘기 먹이 줬다간 과태료…다른 지역·동물은 괜찮나 랭크뉴스 2025.07.07
52419 캠핑 소녀들 삼켰다…"상상 못한 비극" 괴물 폭우에 美 발칵 랭크뉴스 2025.07.07
52418 "이재용 회장 참석" 말에‥"다른 데 가세요" 랭크뉴스 2025.07.07
52417 평양 대동강에 보트서 식사하는 상품 등장…휴대폰으로 예약도 랭크뉴스 2025.07.07
52416 '어닝 서프라이즈' LG에너지솔루션, 장초반 3%대 급등[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7.07
52415 성추행 신고 직원 19개 사유로 징계한 종교재단…법원이 제동 랭크뉴스 2025.07.07
52414 폭싹 속았수다·사랑의 불시착… K드라마 속 사랑의 순간 랭크뉴스 2025.07.07
52413 트럼프 “9일까지 관세 서한이든, 합의든 마무리 될 것”…막판 압박 계속 랭크뉴스 2025.07.07
52412 대선 때 '옷차림 정치색 논란'… 카리나 "너무 무지했다" 해명 랭크뉴스 2025.07.07
52411 트럼프 "12개국 또는 15개국에 '관세레터'…9일까지 협상 마무리" 랭크뉴스 2025.07.07
52410 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2.4%p 상승…첫 60%대 돌파[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7.07
52409 진안 구봉산서 50대 등산객 숨져… 열사병 추정 랭크뉴스 2025.07.07
52408 與 "재개발·재건축으론 불충분…5년내 공급가능 토지 찾아야" 랭크뉴스 2025.07.07
52407 정주영 내걸고 “사고 책임 다하겠다”던 현대산업개발의 돌변 랭크뉴스 2025.07.07
52406 李대통령 국정지지율 첫 60% 돌파…민주 53.8%·국힘 28.8%[리얼미터](종합)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