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폐업률 9%…절반이 '사업부진' 탓
내수밀접 업종多, 14분기 연속 소매판매 감소
"내수침체 극복하려면 구조적 해법 마련해야"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6일 서울 명동 거리의 한 점포가 텅 비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폐업 신고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폐업 신고자 2명 중 1명은 '사업부진'을 폐업 이유로 꼽았고, 내수 업종인 소매업자 비중이 가장 컸다. 정부가 소비쿠폰 지급과 자영업자 채무 탕감 등 긴급 처방에 나섰지만, 땜질 처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한 사업자(개인·법인)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100만 명을 넘어선 것은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2019년 폐업 신고자는 92만2,159명으로 2022년(86만7,292명)까지 3년 연속 줄었다가 2023년(98만6,487명) 급증한 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폐업률은 9.04%로 전년(9.02%)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사업자(해당 연도 폐업자 포함) 가운데 약 9%가 그해에 문을 닫았다는 의미다.

뿌리 깊은 내수침체 어쩌나



폐업 사유로는 '사업부진' 비중이 전체의 50.2%(50만6,198명)를 차지했다. 사업부진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이후 처음이다. '기타' 사유가 44만9,240명으로 뒤를 이었고 양도·양수(4만123명), 법인 전환(4,471명), 행정처분(3,998명), 해산·합병(2,829명), 계절 사업(1,089명) 순이었다.

내수 밀접 업종의 폐업 신고가 두드러졌다. 전체 52개 업종 중 소매업이 29만9,642명(29.7%)으로 가장 많았고 음식점업(15.2%)이 뒤를 이었다. 둘을 합하면 전체의 약 45%에 이른다. 지난해 건설경기 불황에 폐업을 신고한 건설업 사업자도 4만9,584명(4.9%)에 달했다.

6일 서울 송파구의 한 종합상가 점포 앞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폐업 신고가 속출하는 이유는 수년간 지속되고 있는 '내수부진' 탓이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소비가 급감했고, 고금리 장기화로 전반적인 내수 소비는 위축됐다. 또 12·3 불법계엄 사태 등 국내외 불확실성 확대는 소비자의 지갑을 더 닫게 했다. 소매판매는 2022년 2분기(-0.2%)부터 지난 1분기까지 14개 분기 연속 단 한번도 플러스(+)를 기록하지 못했다.

지난달 출범한 이재명 정부도 31조8,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경기 살리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내수 회복의 마중물이 될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했지만, '돈 풀기' 정책만으로는 역부족이라는 시각이 많다. 최근 내수 부진은 인구 감소와 잠재성장률 정체 등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와 얽혀 있기 때문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결국 경제 성장률을 높여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게 핵심"이라며 "성장이 멈춘 사회에선 생계형 자영업으로 몰릴 수밖에 없는데, 이를 막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산업정책을 육성하는 등 구조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30 트럼프 “머스크 신당? 걱정 안 해... 오히려 도움될 것” 랭크뉴스 2025.07.09
53329 尹 4개월 만 재구속되나…이르면 오늘밤 결정 랭크뉴스 2025.07.09
53328 자정 넘긴 최저임금 협상‥내일 재논의 랭크뉴스 2025.07.09
53327 [단독]'n잡러' 권오을 또 위장취업 의혹…건보료 냈는데 소득신고 없다 랭크뉴스 2025.07.09
53326 트럼프 “한국, 주한미군 방위비 거의 안 내”…‘한국 때리기’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9
53325 '양치기 노년'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시장 반응 '미지근'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7.09
53324 비트맥스, 코인투자사 변신 후 420% 폭등했지만… 빚 내서 산 비트코인 이자 ‘눈덩이’ 랭크뉴스 2025.07.09
53323 주 4.5일제·정년 연장 놓고 현대차 노조 ‘세대 차’ 랭크뉴스 2025.07.09
53322 李 대통령 “지역주택조합 문제 심각” 지적에…국토부, 제도 수술 예고 랭크뉴스 2025.07.09
53321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오늘 영장심사 랭크뉴스 2025.07.09
53320 "밥통에 밥 있어야 하는 은퇴자 위한 요리"... 류수영 요리책 벌써 3만 부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9
53319 세월호 기록 22건 공개된다…박근혜 지정기록물 7784건 해제 랭크뉴스 2025.07.09
53318 트럼프 "한국, 방위비 100억 달러 지불해야‥너무 적게 내" 랭크뉴스 2025.07.09
53317 “구리 50%·의약품 200%·반도체도 곧…상호 관세 연장 없어” 랭크뉴스 2025.07.09
53316 트럼프, 푸틴 향해 “온갖 헛소리를 한다” 맹비난…전쟁 장기화에 격분 랭크뉴스 2025.07.09
53315 제주도 놀러갔다 병원 간 관광객…해수욕장에 나타난 '이것' 때문이라는데 랭크뉴스 2025.07.09
53314 [속보] 트럼프 “한국, 미군 주둔비 1년 100억 달러 내야…구리 관세 50%” 랭크뉴스 2025.07.09
53313 “엄마 곁 지켰는데, 왜 똑같이 나눠?”…기여한 자녀 울리는 '유류분의 덫' 랭크뉴스 2025.07.09
53312 막판 관세 협상 속 주한미군 방위비 카드… 트럼프, 또 "너무 적다" 랭크뉴스 2025.07.09
53311 “여고생 사망 전 괴소문 돌았다” 부산 브니엘예고엔 무슨 일이 [부산 브니엘예고 의혹 ②]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