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가 지난 5일(현지시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8일, 현지시간)이 카운트다운 국면에 들어간 가운데 미국과 각국의 협상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한국 정부는 5일과 6일 통상, 외교안보 핵심라인 인사가 잇따라 미국을 방문해 관세 문제와 한·미 정상회담 추진 등 현안 조율에 나서는 등 총력전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협상과 관련된 질문에 “7일 발송할 서한 몇 통에 서명했다. 아마 12통이 될 것”이라며 “금액도, 관세율도 다르고 내용도 조금씩 다를 것이다. 7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상호관세가 부과되는 시점은 8월 1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상호관세율이 발표되더라도 추가 협상 시간이 3주 정도는 주어질 거란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과 관련해서는 “최종적으로 15%, 20%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5일부터 각국에 적용 중인 기본관세 10%에서 적어도 5~10%포인트가 상향된 상호관세를 적용한다는 계산이 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일부터 각국에 서한을 보내고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은 10%, 20%나 60%, 70% 등으로 다양할 것이라고 했는데, 관세 협상이 지지부진한 국가를 상대로 한 압박용이란 해석이 나온 바 있다. 다만 관세 협상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판단되는 국가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호관세율을 매길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한구·USTR 대표, 제조업 협력 등 논의
6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관세 협상과 정상회담 등 현안 논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모습. [연합뉴스]
상호관세 유예 종료일을 사흘 앞둔 5일 다시 미국을 찾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관세와 양국 간 제조업 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여 본부장은 이번 만남에서 ‘상호호혜적 제조업 협력 로드맵’을 제안했다. 미국과의 제조업 공급망을 강화하고, 조선·반도체·배터리·전기차 등 첨단 제조업 분야에서 협력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이다. 또 자동차, 철강 등 품목별 관세는 철폐 또는 완화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6~8일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워싱턴DC를 방문한다. 여 본부장은 통상 협상 실무를 책임지고, 위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최종 합의를 위한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여 본부장이 방미 중인 가운데 안보 수장인 위 실장이 추가로 등판한 것은 통상과 안보를 연계해 압박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정면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란 분석이다. 통상 수장인 여 본부장이 관세 관련 기술적 협의를 맡고 위 실장이 큰 틀에서 안보 분야 합의를 조율하며 현지에서 담판을 짓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한국에 적용되는 미국 관세 그래픽 이미지.
여 본부장은 5일 워싱턴DC 유니언 스테이션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통상, 외교안보 핵심 인사들이 나란히 미국을 찾는 이례적 상황과 관련해 “지금 상황이 계속 급진전되기 때문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통상과 안보 쪽에서 힘을 합칠 부분은 합치고 각자 역할 분담할 부분은 분담해서 ‘올코트 프레싱’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하게 압박하는 디지털 교역 분야 장벽은 최대 쟁점 중 하나다. 특히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온라인 플랫폼법의 시정이 미국의 핵심 요구사항이라고 한다. 미국은 해당 법안이 구글, 애플, 메타 등 자국의 디지털 기업에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디지털 무역장벽이라며 문제 삼고 있다. 캐나다도 국내외 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세 도입을 추진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강하게 문제 삼아 무역 협상 중단을 선언하자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미국,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도 요구
한국 정부는 또 협상 과정에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환경 규제 등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안을 제시했다고 한다. 미국산 자동차 품질에 대한 한국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보고 꺼내 든 협상안이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가 이해와 요구를 반영해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일본에 공개적으로 요구한 쌀 시장 개방 문제에 대해서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41 “간도 크지”…단속차량 동선 파악 위해 ‘위치추적기’ 붙인 불법 마사지 업소 결국 랭크뉴스 2025.07.09
53240 아차 싶었나…트럼프 “상호관세, 8월 1일서 재연장 없다” 랭크뉴스 2025.07.09
53239 “주4.5일제? 하루라도 쉬고 싶다”… 택배기사엔 딴 나라 얘기 랭크뉴스 2025.07.09
53238 인류의 희망, 믿습니까?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9
53237 윤석열, 에어컨 없는 구치소 가나…“내 집이다 생각하면 살 만” 랭크뉴스 2025.07.09
53236 트럼프 "8월 1일부터 관세 부과…연장 허용되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7.09
53235 트럼프 “한국, 8월1일부터 25% 관세” 랭크뉴스 2025.07.09
53234 소득 늘었지만 돈 안 썼다… 1분기 가계 여윳돈 93조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7.09
53233 여혐론자 협박메일에 여대 발칵… 학내 보안 강화 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9
53232 채 상병 특검, 11일 김태효 첫 소환…‘VIP 격노설’ 밝힌다 랭크뉴스 2025.07.09
53231 과거와 다른 무대응 기조… ‘내로남불’ 지적받는 민주 랭크뉴스 2025.07.09
53230 [사설] 여당의 이 대통령 재판 뒤집기 시도, 국민이 납득하겠나 랭크뉴스 2025.07.09
53229 LG전자 ‘AI 열’ 식히는 액체냉각 승부수 “엔비디아와 공급 협의” 랭크뉴스 2025.07.09
53228 [속보] 트럼프 “8월 1일부터 관세 부과…연장 허용 안 될 것” 랭크뉴스 2025.07.09
53227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우려·협상 기대 엇갈리며 혼조세 출발 랭크뉴스 2025.07.09
53226 전력 수요량 심상찮다, 폭염에 이틀째 올 최고…예년 같으면 7월말 수준 랭크뉴스 2025.07.09
53225 안철수가 쏘아올린 공…국힘, 혁신위 비관 속 ‘전대 모드’ 급선회 랭크뉴스 2025.07.09
53224 여객기 엔진에 빨려 들어간 남성…이탈리아 공항서 끔찍한 일 랭크뉴스 2025.07.09
53223 [속보] 트럼프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부과…연장 허용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7.09
53222 “기사님, 사고 났어요!” SUV 추돌 버스 150m ‘뺑소니’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