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돌발 홍수 가능성 수시간 전 경고…대피 조치 시간 충분했다"


폭우에 범람한 미 텍사스주 샌 가브리엘 강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미국 텍사스 폭우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행정 당국의 늑장 경고와 안이한 대처가 인명 피해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AP,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전날 텍사스주 중부 지역 커 카운티 등에서 발생한 홍수로 인한 사망자는 51명으로 늘었다.

실종자 수색이 진행되면서 사망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기독교단체가 이 지역에서 개최한 여름 캠프 '캠프 미스틱'에 참가한 여자 어린이 27명의 행방도 확인되지 않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은 실종자가 총 몇 명인지에 대해서도 밝히지 못하고 있다.

미 언론들은 당국이 홍수로 인한 급류 위험이 높은 지역에 있던 캠프와 주민들에게 적절한 경고를 했는지, 충분한 대피 준비를 했는지에 대한 의문도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커 카운티에서 시작돼 샌안토니오 쪽으로 흐르는 과달루페 강은 폭우로 인해 45분 만에 26피트(약 8m) 높이만큼 불어나 범람했는데, 강 언덕 캠핑장은 독립기념일(7월 4일) 연휴를 맞아 인파가 가득한 상황이었다.

특히 여자 어린이 750명이 백 년 이상의 역사가 있는 유서 깊은 '캠프 미스틱'에 참가 중이었다.

현장에서 구조된 13세 소녀는 "캠프가 완전히 파괴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날씨 데이터를 제공하는 민간기업 아큐웨더는 자사와 국립기상청(NWS)이 폭우가 오기 수 시간 전에 돌발성 홍수 가능성을 경고했다고 밝혔다.

아큐웨더는 성명에서 "이 경고는 당국자들이 캠프 미스틱과 같은 캠프를 대피시키고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충분한 시간을 제공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 회사는 특히 폭우가 쏟아진 힐 컨트리 지역은 지형적 특성과 다수의 수로로 인해 미국에서 돌발 홍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힐 컨트리는 텍사스 중부의 20개 이상의 카운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아우르는 지역이다.

폭우 잔해 위로 걸어가는 텍사스 주민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당국과 공무원들은 해당 지역에서 수개월 분량의 비가 한꺼번에 내릴지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커 카운티의 최고위 선출직 공무원인 롭 켈리 판사는 "우리는 비가 오는 것도, 강이 불어나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아무도 이 정도일지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커 카운티가 6∼7년 전 토네이토 경보 시스템과 유사한 홍수 경보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자금 문제로 계획이 착수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칩 로이 텍사즈주 연방 하원의원은 이번 홍수를 '100년에 한 번 있을법한 홍수'라고 표현하면서, 사람들이 책임을 물을 사람을 찾으면서 사후 비판과 비난이 이어질 것이라고 인정했다.

텍사스주는 많은 도로가 침수된 상황에서 헬리콥터, 보트, 드론 등을 동원한 수색에서 현재까지 850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NWS는 이 지역에 추가 폭우와 급류가 발생할 수 있다며 주민들에게 고지대로 대피할 것을 권고했고, 오스틴과 샌안토니오 일부 지역을 포함한 중부 지역에도 홍수 주의보와 경보를 발령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84 이 대통령, 이진숙 겨냥 “비공개회의 왜곡해 개인 정치 말라” 질책 랭크뉴스 2025.07.08
53183 퇴근길 ‘기습 폭우’에 서울 곳곳 침수…1호선 운행 차질 랭크뉴스 2025.07.08
53182 "전자담배는 괜찮지 않아?"…12살부터 피운 20대 청년, 폐는 이미 70대였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1 "행복하고 싶냐? 식세기 사라" 서울대 심리학 교수의 비결 랭크뉴스 2025.07.08
53180 박찬대 “내란특별법” 정청래 “국립의대”… 당권주자들 호남 구애 랭크뉴스 2025.07.08
53179 수업 중 스마트폰 ‘법적으로’ 못 쓴다…내년 1학기부터 랭크뉴스 2025.07.08
53178 [단독] "V 말려야 하지 않냐"했다던 노상원‥메모엔 "대통령 최후 수단 밖에" 랭크뉴스 2025.07.08
53177 내년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서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3176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 결정된다 랭크뉴스 2025.07.08
53175 "방어 쉽지 않다"...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74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심의촉진구간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173 노상원 수첩에 담긴 '계엄의 전말'‥친필 메모에도 랭크뉴스 2025.07.08
53172 최저임금 공익위원, 노사에 ‘1만210~1만440원’ 수정안 제안 랭크뉴스 2025.07.08
53171 尹 정부 '실세' 김태효, 피의자 신분 소환‥'VIP 격노'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08
53170 김건희 특검, 윤상현 첫 압색‥'尹부부 공천개입 의혹'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8
53169 폭염 식중독 주범은 달걀 ‘살모넬라균’… 식약처, 음식점 3700여곳 위생 점검 랭크뉴스 2025.07.08
53168 ‘국민투표법 개정’ 논의…국정기획위, 선관위와 다음 주 간담회 랭크뉴스 2025.07.08
53167 [단독] '삼부 키맨' 연일 소환‥"원희룡 장관이 치고 나갔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6 7월 초에 닥친 40도 ‘살인 폭염’…일하다 픽, 픽 쓰러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5 대통령 ‘경고’ 먹고, 감사원 ‘주의’ 받고… 속타는 이진숙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