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첫 고위 당정협의회…추경 조기집행 "9월까지 85%"
"풍수해 꼼꼼히 대비…쉼터 야간운영 등 폭염·온열 환자 대처 강화"


발언하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6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황윤기 안정훈 기자 = 정부와 여당은 6일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당정은 또 소비 진작과 내수 안정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조기에 신속하게 집행하고 풍수해·폭염 대책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 후 국회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의 당정 협의 결과를 소개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물가 수준이 높아 생계 부담이 지속되는 만큼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은 식품, 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업계 등과 긴밀히 소통해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소비자 부담 경감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고, 정부도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정은 지속해서 소통·협력해 가용한 수단을 총동원해 물가 민생 안정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당은 경기 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르게 (2차 추경)예산을 집행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며 "정부는 집행 관리 대상 예산 중 85%를 9월 말까지 집행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이는 1차 추경예산 집행 목표보다 15%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당정은 풍수해·폭염 대책도 논의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정부는 풍수해에 촘촘하게 대비하겠다고 보고했다"며 "당정은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증가하는 온열 환자를 줄이기 위해 폭염에 대한 대처를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특히 과거 인명 피해가 빈번했던 산사태·하천 재해·지하공간 관리는 물론 산불 피해지역 등 지역별 위험 유형을 발굴해 정비하고, 빗물받이와 우수관에 대한 정비도 신속히 추진하는 등 풍수해에 촘촘하게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또 과거 폭염 인명피해 분석을 통해 취약 계층 유형을 세분화하고 맞춤형으로 안전 관리를 실시하기로 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정부는 열대야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쉼터 운영시간을 야간까지 연장하는 공공시설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보고했다"며 "무더위 쉼터 확대, 그늘막 등 폭염 저감 시설 설치 지원, 살수차 물뿌리기 확대 등 폭염 피해 최소화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고위 당정협의회는 지난 3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국회 인준을 거쳐 정식 임명됨에 따라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열렸다.

당에서는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김윤덕 사무총장,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김 총리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우상호 정무수석 등이 각각 자리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고위 당정 협의회 정례화와 관련한 취재진 물음에 "정례화는 원래 하도록 돼 있다"며 "어떻게 하면 (고위 당정을) 체계화할지 비공개 회의 자리에서 얘기가 나왔다"고 답했다.

참석자들은 비공개 회의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당과 정부, 대통령실의 원활한 소통을 강조했다.

김병기 직무대행은 "당과 대통령실, 당과 정부는 운명공동체로 원팀이 돼야 한다"며 "당은 정부와 대통령실을 든든하게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도 "대통령실을 포함한 당정은 한 몸"이라며 "당원 주권과 국민주권 철학을 공유하고 내란 극복과 경제회복·성장의 비전을 공유하는 운명 공동체"라고 말했다.

강 비서실장은 "대통령 비서실도 대통령의 국정철학, 특히 경제회복과 사회통합에 대한 메시지를 당과 정부에 전달하고 소통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576 "1000년에 한번 있을 괴물폭우"…통곡의 텍사스, 최소 82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5 “성신여대에 다이너마이트 설치”...테러 협박에 경찰 수색 중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4 특검 "尹구속영장, 변호인 통해 전부 유출…중대 범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3 [속보] ‘방송 3법’ 과방위 전체회의 통과…민주당 주도 처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2 [속보]‘방송 3법’ 과기정통위 통과…민주당 주도 속전속결 처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1 인천 맨홀 사망 부른 5가지 ‘안전 구멍’…전부 인재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70 낮 최고 37도…오늘 ‘작은 더위’ 소서, 절기 무색한 불가마 더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9 김건희 특검팀, 삼부토건 주가조작 핵심 인물들 줄소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8 제4인뱅 표류에 MG손보 재매각… 李정부 출범 후 금융정책 ‘혼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7 박수영 "부산 원하는 건 25만 원 아냐"‥민주당 "국힘, 민생회복지원금 입장 밝혀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6 [단독] 국민대, 박사 취소 절차 돌입했지만… 김건희 '연락 두절'로 난항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5 中 국방무관·SNS 총동원 '프랑스 라팔 깎아내리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4 넷플 1위 영화 나온 ‘神라면’…농심, 제니 ‘바나나킥’ 이어 두 번째 행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3 "이걸 서울에서 또 보게 될 줄은"…58년 만에 부활한다는 '이것'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2 치맥 먹다 떼창 불렀다…100만명이 달군 '대프리카' 이 축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1 "동물은 감응력 있는 생명체"… 민법·동물보호법 개정안 발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60 "김계환은 진실을 말하라!"‥특검 출석에 '아수라장'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59 작업자 숨진 인천 맨홀 현장, ‘2인1조’ 안전수칙 안 지켰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58 [속보] 특검 "尹구속영장, 변호인 통해 전부 유출…중대 범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57 김건희 특검, ‘주가조작 의혹’ 삼부토건 이일준 회장·정창래 전 대표 소환 예정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