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정부 고강도 대출 규제
서울서 거래 취소 속출
서울 시내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물 안내문이 붙여져 있다. 사진=뉴스1

과열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섰다. 정부가 지난달 27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규제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직전 일주일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거래량이 급감할 만큼 빠르게 움츠러들었다.

대출이 막히자 계약 취소도 속출하는 모양새다.

이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계약일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3일까지인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중 계약 해제 사유 발생일이 27일 이후인 사례는 125건으로 집계됐다.
일자별로는 대출규제 발표 당일(27일)이 사유 발생일인 거래가 39건으로 가장 많았다. 발표일 이전인 6월20∼26일 계약됐다가 이후 계약이 깨진 65건 중에도 25건이 규제 발표일을 사유 발생일로 명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이 집값 지속 상승을 예상하고 대출을 큰 규모로 끌어당겼다가 고강도 대출규제 시행으로 추세가 반전돼 투자 손실이 발생할까 우려한 나머지 손실을 감수하고 급히 거래를 취소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대출 규제 발표 되자마자 영끌 계획 있던 매수자들은 억대 계약금도 포기하고 그냥 돌아갔다”고 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집값이 계속 오를 것으로 보고 대출을 15억∼20억원씩 무리하게 받은 일부 매수자들이 규제 시행으로 집값이 우하향으로 돌아설지 모른다고 우려한 것일 수 있다"며 "자신이 과도한 레버리지를 동원해 꼭짓점에서 집을 샀다는 공포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집값이 진정되지 않으면 더 강한 규제 카드가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 것도 한몫 했다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수요 억제책은 아직도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다"고 한 이 대통령은 앞서 발표한 대출규제책을 "맛보기 정도"로 표현했다.

추가로 시행 가능성이 있는 수요 억제책으로는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강화하고, 전세대출·정책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 확대도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세법을 건드리지 않고도 사실상 세금을 중과하고 대출을 조일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가 내년 5월 9일까지 유예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더 연장하지 않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최근 집값 상승이 가팔랐던 서울 마포구, 성동구, 양천구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 과천시 등이 신규 규제지역으로 묶일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정부는 이르면 이달 중 주택 공급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 신도시 조성보다는 기존 신도시를 활용한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면서 공공 주도로 도심 고밀 개발을 추진한다는 게 공급 대책 기조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서초 서리풀, 김포한강2 등 윤석열 정부에서 발표한 신규 택지 중 입지가 좋은 곳의 용적률을 높이고, 공공기관·기업이 보유한 도심 내 유휴부지나 청사를 주거·업무시설로 고밀 복합개발하는 방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3기 신도시 용적률을 높여 공급 물량을 늘리는 방안도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된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451 [단독] “지게차 업체까지 소환”…김건희 후원 21그램만 봐준 감사원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50 [속보] 김계환 전 해병사령관, 특검 출석…‘VIP 격노설’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9 [속보] 安 "비대위, 인적쇄신안 받지 않겠다고 해…혁신위원장 사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8 [단독] 이 대통령, 미국 특사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낙점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7 韓 잠재성장률 첫 1%대 추락…英·伊에도 밀릴 판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6 폭염에 해발 1000m 등산한 50대 사망…체온 40.5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5 “국민연금처럼?” 퇴직연금 대수술, 방향이 잘못됐다! [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②]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4 김계환 前사령관, 순직해병특검 출석…'VIP 격노설' 집중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3 [속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도전…날치기 혁신 거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2 대동강 한가운데서 보트 타고 불고기 구워… 北 관광상품 눈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1 이재명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 62.1%···민주당 53.8% 국민의힘 28.8%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40 野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출마 선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9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하고 당 대표 출마‥"날치기 혁신위 거부한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8 안철수 “날치기 혁신위에 깊은 자괴감, 당대표 도전”···혁신위원장 사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7 [속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인적쇄신 수용 어렵다 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6 李대통령 국정지지율 60% 돌파… 국힘은 30% 아래로[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5 [속보]김민석 총리 "국정 챙기는 '국가 종합상황본부장' 될 것"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4 검문받고 들어가는 ‘북한뷰 스타벅스‘… 7개월 새 이용객 12만명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3 [속보] 野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출마 선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432 ‘2.31%’ 당신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낮은 이유 [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①]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