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가 오늘(6일) 오후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렸습니다. 추경의 신속한 집행, 폭염 등 여름철 재난 안전 대책, 물가 안정 방안 등을 논의합니다.

오늘 고위당정 협의회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김병기 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 당·정·대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모두발언에서 "빛의 혁명으로 탄생한 이재명 정부의 처음 고위당정협의회에 함께하게 돼 뜻깊다"면서 "대통령실을 포함한 당정은 한 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내란 극복과 경제 회복, 성장의 비전을 공유하는 운명공동체로 고위 당정은 국정과제를 취합하고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성과를 만들어가는 조율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추경과 민생지원 효과를 신속히 극대화하는 방안, 폭염 등 여름 재난의 철저 대비 방안부터 논의를 할 것"이라며 "당정이 하나가 돼 국정을 살리고, 국민을 살린다는 각오로 함께 전력투구하는 시작이 되길 기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병기 "국민 체감할 성과 보여줘야…추경 신속 집행 요청"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는 지난 한 달 동안 유능한 대통령, 유능한 정부의 모습을 국민에게 잘 보여줬다"면서 "이제는 국민이 체감할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김 직무대행은 추경의 신속한 집행을 요청하며, "본격적인 휴가철 전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을 집행해야 소비 진작과 소득 지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근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물가 등이 상승하고 있다며 "혹서기에는 농산물 가격의 변동폭이 클 수 있다. 물가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속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김 직무대행은 ▲장마·폭염 대책의 효과적 집행 ▲저소득 취약계층 등 폭염 사각지대 대책 ▲현장·이동노동자 휴식시간 보장 위한 관계기관 감독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김 직무대행은 "이야기 하다보니 할 일이 참 많은 것 같지만, 그래도 반드시 해야 하는 일들"이라며 "당과 정부는 운명 공동체로 당과 정부, 대통령실은 원팀이 돼야 한다. 고위당정협의회가 중요한 이유로 당의 역할이 필요하면 언제든 말해달라"고 했습니다.

■ 강훈식 "경제는 타이밍, 힘 합쳐야…당에서 내각 구성 신경 써주길"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민생이라는 절박한 과제가 여당과 내각, 대통령실 앞에 놓여있다"면서 "이런 시점에 민생회복 지원금은 서민들의 소비 여력을 보강하고 내수시장을 활성화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강 실장은 "대통령이 말하신 것처럼 경제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민생회복 지원금의 신속한 집행을 위해 우리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오늘 논의 사항인 물가와 재난안전 대책도 국민 삶에 밀접한 주제"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강 실장은 조속한 내각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강 실장은 "첫 고위당정협의를 빌려 여당과 정부에도 요청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서 "이재명 정부는 출범 한 달 만에 간신히 총리만 취임하게 됐는데, (장관 후보자) 청문 절차가 지연되면 이후 일정도 예측이 불가하다는 걱정과 두려움을 안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당에서 신경을 써주셔서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줬으면 하는 요청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비서실은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경제 회복, 사회통합 메시지를 당과 정부에 전달하고 소통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76 트럼프 “머스크 신당 창당, 말도 안 돼” 랭크뉴스 2025.07.07
52375 트럼프 측, 머스크에 “정치 손 떼고 회사 경영 충실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374 ‘3000피’ 못 따라잡는 삼성전자… 9년 만에 시총 비중 최저 랭크뉴스 2025.07.07
52373 해송 뿌리째 뽑히고 지반 붕괴…폭탄 맞은 듯 참혹한 서해안, 왜 랭크뉴스 2025.07.07
52372 "윤, 결과 승복할지 불분명‥총기 노출 지시" 랭크뉴스 2025.07.07
52371 ‘골든타임 6분의 기적’…신호가 멈추고, 길이 열렸다 랭크뉴스 2025.07.07
52370 美텍사스 홍수로 71명 사망…트럼프, 재난지역 선포 랭크뉴스 2025.07.07
52369 소년범이 내 아이 주변에? 이곳을 방치하면 안전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7.07
52368 “무서워서 어떻게 가요”…‘7월 대지진설’ 퍼지자 5조 증발한 日 관광업계 랭크뉴스 2025.07.07
52367 [속보] 트럼프,머스크 신당 창당 “터무니없는 일…12∼15개국에 7일 관세 서한 발송” 랭크뉴스 2025.07.07
52366 ‘마동석 근육’ 이유 있었다, 찐 운동권 정성호의 속사정 [이재명의 사람들⑨] 랭크뉴스 2025.07.07
52365 미 재무장관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관세 시한 사실상 미뤄 랭크뉴스 2025.07.07
52364 李 "입법은 국회 몫" 말하자…그 틈 파고든 與 강경파의 독주 랭크뉴스 2025.07.07
52363 대선 때 '옷차림 정치색 논란' 카리나 "너무 무지했다" 해명 랭크뉴스 2025.07.07
52362 특검 “비화폰 삭제 시도는 내란죄 연속선상에 있는 범죄”…윤석열 구속영장청구서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7.07
52361 대출 규제 열흘만에…호가 하락하는 서울 아파트[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7
52360 "북한 보이는 스타벅스"…7개월새 김포 애기봉공원점 12만여명 랭크뉴스 2025.07.07
52359 ‘자사주 소각’ 논의 본격화… 與·국정위 논의 ‘속도’ 랭크뉴스 2025.07.07
52358 “엑스포도 말아먹더니”···‘해수부 이전 촉구 부결’에 부산이 부글부글[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7
52357 “USDT 90% 미국 밖에서 사용”…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 패권’ 강화한다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