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코로나19 수혜주 창해에탄올 5000주 보유
코로나 수혜주 분류 2년 전부터 보유해 장투
손소독제 매출 비중 1% 내외에 그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연합

국민의힘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부적격 후보자로 분류하고 국회 인사청문회를 벼르고 있다. 핵심은 정 후보자가 코로나19 방역을 진두지휘할 때 그의 배우자 ㅅ씨의 주식 거래와 관련이 있다. ㅅ씨의 보유 주식 중 코로나19 수혜주가 포함된 게 이해충돌에 해당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정 후보자의 과거 재산신고 내역과 최근 제출한 인사청문회 자료에서 나타난 ㅅ씨의 주식 투자의 적절성을 가늠해봤다. ㅅ씨는 현재 인천의 한 병원에서 근무 중이다.

코로나 2년 전부터 보유…실패한 장기투자?

이해충돌 논란의 핵심은 코로나 수혜주로 분류된 코스닥상장사 창해에탄올 주식을 정 후보자 배우자인 ㅅ씨가 코로나19 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가 해당 주식을 보유한 건 코로나19가 확산한 시점보다 최소 2년 전부터였다. 2017년 11월 관보에는 ㅅ씨가 창해에탄올 주식 1300주(약 2200만원·이하 당월 말 종가 기준)를 보유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코로나19 수혜주로 분류되기 한참 전부터 해당 종목을 ㅅ씨가 들고 있었던 셈이다. 이 회사의 주된 사업은 소주에 들어가는 원료(주정) 제조업체다. 관리감독 기관도 국세청으로 정 후보자가 재직한 복지부와는 무관하다.

네이버 갈무리

ㅅ씨는 해당 주식을 장기 보유했다. 정 후보자의 질병관리청장 퇴임에 따라 마지막 공직자 재산신고가 담긴 2022년 8월 관보에 담긴 ㅅ씨의 창해에탄올 보유주식 수는 5000주(약 6200만원)다. 최소 5년 동안 ㅅ씨는 창해에탄올 주식을 조금씩 사모으면서 장기 투자를 한 셈이다. 해당 기간 동안 보유 가치가 3배 가까이 불어난 것은 주가가 올라서라기보다 보유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해당 기간 창해에탄올의 주가는 27.6% 내렸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재산신고 내역에 담긴 정보만 봤을 땐 성공한 투자는 아닌 것 같다”라고 말했다. ㅅ씨는 현재도 창해에탄올 주식 5000주를 보유하고 있다. 보유기간이 최소 7년인 셈이다.

2019년부터 주식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투자 종목도 우량주로 바꿔간 점도 눈길을 끈다. 2017~2018년 당시엔 코스닥상장사인 창해에탄올과 라임(옛 에프티이앤이·2019년 5월 상장폐지) 두 종목이었으나 2019년부턴 엘지디스플레이·미래에셋증권·엘지유플러스·대동 등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을 주로 거래했다. 라임의 상장 폐지로 손실을 입으면서 안정적인 대형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ㅅ씨의 주식 투자 규모도 1억4천만원(2017년 11월 기준)에서 2억4천만원(2022년 8월 기준)으로 불어났다. 당시 그의 예금·주식 등 총 금융자산은 약 11억원으로 자산의 10% 남짓을 주식에 투자했던 셈이다. 현재 ㅅ씨의 보유주식 총 가액은 약 4억원으로, 이 중 신한지주 비중이 절반이 넘는다.

자료 : 관보 및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자료, 한국거래소

재산 신고 누락 여지 있어…인사청문회 소명 남아

물론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는 건 아니다. 공직자 재산신고는 신고 기간 내에 발생한 거래는 신고 대상이 아니어서다. 가령 정 후보자 배우자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창해에탄올 주가가 일시 급등하던 시기에 단기 매매를 반복하는 투기적 거래를 했다면 논란이 일 수 있다. 창해에탄올은 지난 2020년 3월24일 정관을 바꿔 의약외품(손소독제) 사업에 진출한 이후 두달 간 최대 50% 급등락한 바 있다. 다만 2020~2024년 각연도 사업보고서를 보면, 해당 품목의 매출 비중은 1% 내외에 머문다.

보다 큰 문제는 재산신고 누락 가능성이다. 특히 코로나19 방역 기간 동안 마스크나 진단키트 등을 제조하는 코로나19 관련 종목에 투자한 사실을 신고하지 않았고, 그 규모가 크다면 이해충돌 논란은 일 수 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 쪽은 말을 최대한 아끼고 있다. 정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팀 쪽은 “(제기된 의혹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설명할 상황이 아니다”며 “인사청문회 때 소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의 한 병원에서 근무 중인 ㅅ씨는 근무 중 병원을 통해 주식 투자와 관련한 인터뷰를 거부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51 3주 남기고 한미정상회담 조율‥'속도보다 국익'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3150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8
53149 117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서울, 퇴근길엔 '기습폭우'… 지하차도 곳곳 침수 랭크뉴스 2025.07.08
53148 오늘 날씨 왜 이러지? 폭염인데 우박 쏟아지고 물난리 속출 [제보] 랭크뉴스 2025.07.08
53147 추가 구속 뒤 달라진 여인형 “깊이 후회하고 있다”…증인신문도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46 “1년 기다려야 받는다”…샤오미 YU7 조기 수령권까지 웃돈 주고 산다[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8
53145 서울 서남권에 호우 경보…하천 산책로·지하차도 침수 유의 랭크뉴스 2025.07.08
53144 독버섯 요리로 시댁 식구 몰살한 호주 여성… 배심원단 만장일치 유죄 랭크뉴스 2025.07.08
53143 "3주 연장된 데드라인‥'차·반도체·철강' 주력 수출품 지켜야" 랭크뉴스 2025.07.08
53142 '추락사고 오명'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 사망 랭크뉴스 2025.07.08
53141 기습폭우에 지하철 노량진∼대방·신도림∼구로 한때 운행중단 랭크뉴스 2025.07.08
53140 상가 추락 여성에 깔린 딸 이어 엄마도 숨져... 옥상문 개방 괜찮을까 랭크뉴스 2025.07.08
53139 117년 만의 폭염 오더니…60㎜ 기습폭우에 오목교 동측 지하차도 침수 랭크뉴스 2025.07.08
53138 "8월1일부터 25% 관세"‥"기상천외한 외교서한" 랭크뉴스 2025.07.08
53137 폭염 뒤 퇴근길 폭우…서울 도로 곳곳 침수·교통통제 랭크뉴스 2025.07.08
53136 상가건물 추락 여성에 깔린 10대 딸 이어 40대 엄마도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35 이란휴전·감세법안 성과 속 관세전쟁 다시 불붙인 트럼프 랭크뉴스 2025.07.08
53134 [속보] 기습폭우에 1호선 노량진∼대방역 구간 한때 운행중단 랭크뉴스 2025.07.08
53133 3주 벌었지만... '관세 협상·한미 정상회담' 이중 과제 안은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7.08
53132 내란특검 "尹, 구속심사 뒤 서울구치소서 대기‥재판 중계는 법원 결정 사안"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