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2차 출석 실제 조사 시간 '8시간 30분'
尹 측 "변호사 4명이 정독... 큰 이의 없어"
"검사 출신 '조서 전문가'... 책 잡히지 않게"
역대 대통령 조서 열람 최장은... 朴 '7시간'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12·3 불법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2차 조사를 받은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불법계엄 사건 관련 2차 조사를 받은 뒤 자신의 진술 내용이 담긴 조서를 열람하는 데 5시간이 걸렸다. 저녁식사까지 거르면서 서울고검 청사에 머무른 15시간 중 '3분의 1'을 조서 검토에 쏟아부은 셈이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의 2차 피의자 조사는 5일 오전 9시 4분쯤 시작돼 같은 날 오후 6시 34분 마무리됐다. 점심식사 시간을 빼면 실제 조사 시간은 약 8시간 30분이었다. 특검팀은 이날 준비한 질문을 모두 소화했고 윤 전 대통령도 진술거부권 없이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를 마치면 질문과 답변이 기재된 피의자신문조서에 서명날인하기 전에 일일이 살펴보는 '조서 열람·검토'가 이어진다. 발언 취지와 다르면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통상 2, 3시간 정도 걸리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5시간 동안 조서를 열람했다. 그는 사전에 '저녁식사를 하지 않고 조서 열람 후 귀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예상보다 열람 시간이 길어지면서 윤 전 대통령 측이 자신의 진술 내용에 대해 거듭 수정을 요구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다만 윤 전 대통령 측은 한국일보에 "조서 내용에 크게 이의제기한 건 없었다"면서 "(윤 전 대통령뿐 아니라) 입회한 변호사 4명이 모두 천천히 조서를 정독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조사에는 송진호·채명성·배보윤·김홍일 변호사가 2명씩 번갈아 입회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비해 조서 내용을 숙지하는 데 공을 들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방검찰청의 한 부장검사는 "질문 내용을 통해 특검이 쥐고 있는 증거나 수사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자세히 살폈을 수 있다"고 짚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1차 조사 때도 실제 조사 시간(5시간)에 비해 장시간(3시간) 조서를 살폈다.

전직 대통령들 사례에 비교해 열람 시간이 이례적으로 긴 건 아니란 시각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관련 검찰 조사 뒤 7시간 10분 동안 조서를 열람했다. 수사기관 조사를 받은 전직 대통령 다섯 명 중 최장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15시간 검찰 조사 뒤 6시간 동안 조서를 살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회의원 시절이던 2023년 '백현동 개발 비리 의혹' 관련 조사 당시 10시간 30분 동안 조사를 받은 뒤 조서 열람에 3시간을 썼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조서 열람에 공을 들인 것을 두고, '검사 출신' 윤 전 대통령이 조서의 중요성을 잘 아는 만큼 향후 재판에 철저히 대비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물론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 신문조서는 피고인이 법정에서 동의하지 않으면 원칙적으로 증거로 사용하지 못한다. 차장검사 출신 변호사는 "공소유지 단계에서 책 잡히지 않으려고 최대한 빈틈없이 봤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33 "가자지구 문제 해결 없는 중동 아브라함 협정 확장은 위험" 랭크뉴스 2025.07.07
52332 두 달 가입자 50만 잃은 SKT, '위약금 면제' 여파는? 랭크뉴스 2025.07.07
52331 위성락 "무역협상 중요 국면…루비오와 협의, 협상에 도움 기대" 랭크뉴스 2025.07.07
52330 [단독] 아동·청소년 노린 성착취 느는데… 직원 셋뿐인 피해 지원센터 ‘허덕’ 랭크뉴스 2025.07.07
52329 中 트립닷컴. 블랙핑크 노렸다…한국 OTA '비상' 랭크뉴스 2025.07.07
52328 'AI 의수' 끼고 피아노 친다…장애인에 자유 준 '中 AI쇼크' [창간기획-평화 오디세이] 랭크뉴스 2025.07.07
52327 [단독] 삼부토건 ‘우크라 재건 테마주’로 뜬 시기, 기업보고서엔 사업 언급 전무 랭크뉴스 2025.07.07
52326 [오늘의날씨] '소서' 낮 최고 37도…곳곳 천둥·번개 동반 소나기 랭크뉴스 2025.07.07
52325 폐업자 100만 시대…"소비쿠폰만으론 내수 못 살린다" 랭크뉴스 2025.07.07
52324 [단독] 특검 "尹이 체포영장 저지 지시" 진술 확보...경호처 강경파 진술도 바뀌었다 랭크뉴스 2025.07.07
52323 특검 "尹, 유죄 선고돼도 결과 승복할지 불투명…도망염려 높아" 랭크뉴스 2025.07.07
52322 관세 데드라인 코앞…위성락 방미, 정상회담 조율도 '최우선 미션' 랭크뉴스 2025.07.07
52321 "위험해요, 얼른 길 건너세요" 걱정한 아이들에 욕설 퍼부은 60대 결국 랭크뉴스 2025.07.07
52320 HD현대, 인도 최대 조선소와 맞손…기술력 키워 글로벌 시장 공략 랭크뉴스 2025.07.07
52319 중국 휴가 갔던 천안 구청장, 호텔서 숨진 채 발견…사망 경위 '미궁' 랭크뉴스 2025.07.07
52318 트럼프측, 머스크에 견제구…"테슬라이사회 정치활동 싫어할 것" 랭크뉴스 2025.07.07
52317 ‘6억 대출제한’ 효과 강했다, 1주새 주담대 신청 반토막 랭크뉴스 2025.07.07
52316 ‘트럼프 레터’ 초읽기…통상·외교핵심 방미 총력전 랭크뉴스 2025.07.07
52315 '콜롬비아 野 대선주자 암살미수' 10대에 총 쥐여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7.07
52314 AI가 만든 ‘현대차 주차 로봇 영상’ 화제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