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5월 30일 금요일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일론 머스크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한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불렸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트럼프에 맞서며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여러분들은 새 정당을 원하며, 그것을 갖게 될 것”이라며 “오늘‘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이 여러분들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고 밝혔다.

이어 “낭비와 부패로 우리나라를 파산시키는 일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제’ 속에 살고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과 민주당을 동시에 비판하며 신당 창당 취지를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X 캡처

앞서 머스크는 미국의 독립기념일이었던 지난 4일에는 창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 창구를 띄우며 창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 머스크는 “독립기념일은 양당체제(일각에서는 일당체제라고도 한다)로부터 독립을 원하는지 스스로 묻기에 딱 맞는 날”이라며 ‘아메리카당’ 창당에 대한 찬반 투표를 올렸다.

머스크는 이후 게시한 추가 글에서 “이것을 실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상원 의석 2∼3석과 하원 선거구 8∼10곳에 집중하는 것”이라며 “매우 근소한 의석수 차이를 고려할 때, 그것은 논쟁적인 법안에 결정적인 표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며 진정한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제3당을 조직해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표결에서 가부 동수가 나왔을 때 결정권을 갖는 의장 또는 제3세력)를 쥐겠다는 취지였다.

지난 1월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행사에서 마주보며 웃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EPA/=연합뉴스

지난해 대선 때 트럼프 대통령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신흥 최측근으로 부상했던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및 국경보안 강화책 등 국정 의제를 두루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에 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트럼프 대통령에 각을 세운 바 있다.

이와 관련 머스크는 지난달 30일 X에 “이 미친 지출 법안이 통과되면 다음 날 신당이 결성될 것”이란 글을 올렸다. 당시“사상 최대 폭의 재정 적자 증가를 찬성하는 의원들은 목을 매달아야 한다”는 거친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머스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집권 2기 국정과제 실현의 핵심 내용이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은 지난 5월 22일 미 연방 하원을 통과했으며, 상원에서 지난 1일 수정안이 가결 처리된 뒤 지난 3일 하원에서 재의결됐다.

지난 5월 22일 하원 표결에서는 찬성 215표, 반대 214표, 기권 1표로 단 한 표 차이로 통과됐고, 상원 표결에서는 50대 50으로 찬ㆍ반이 동수였으나 상원의장을 겸직하는 JD 밴스 부통령이 캐스팅 보트를 행사해 가까스로 가결됐으며 하원 재의결 표결에선 찬성 218표, 반대 214표로 최종통과됐다.

이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인 2017년 시행해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각종 감세 조처를 영구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뤄 이른바 ‘감세 법안’으로도 불린다.

감세 규모는 4조5000억 달러(약 6134조원)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팁과 초과근무 수당에 대한 면세 내용도 들어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906 트럼프 "마음에 들면 관세 기한 조정 가능"… '한국·일본 불공정' 불평도 랭크뉴스 2025.07.08
52905 [속보] 트럼프 “맘에 드는 제안하면 8월 1일 관세 부과일 조정 가능” 랭크뉴스 2025.07.08
52904 “난파선에서 또 계파 싸움”…판 흔드는 安, 전대 화두된 ‘인적 청산’ 랭크뉴스 2025.07.08
52903 ‘지방 임대아파트’인데 경쟁률 13.05대 1…눈길 사로잡은 흥행 비결은? 랭크뉴스 2025.07.08
52902 “좋은 조건 오면 변경 가능”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 시사 랭크뉴스 2025.07.08
52901 이 대통령, 최민희 만나 "방송3법, 내 뜻과 부합‥알려지길 바라" 랭크뉴스 2025.07.08
52900 탈세계화 속 공급망관리 경쟁력, 기업의 생존전략이 되다 [IGM의 경영정략] 랭크뉴스 2025.07.08
52899 라면·빵·아이스크림 반값‥마트·편의점 할인 행사 랭크뉴스 2025.07.08
52898 삼성전자, 3.9조원 규모 자사주 추가 취득…2.8조원 소각 예정 랭크뉴스 2025.07.08
52897 위성락, 미국 현지서 루비오 국무장관 회동 "관세 부과 8.1일까지 긴밀히 소통" 랭크뉴스 2025.07.08
52896 “완전히 탈선” 트럼프 한마디에 테슬라 6.8% 폭락... 머스크 정치 활동 우려 랭크뉴스 2025.07.08
52895 대출전쟁 시작…건설사 '추가 이주비' 공약 판친다[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8
52894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000억원, 전년 대비 55.94% 감소···반도체 부진 지속 랭크뉴스 2025.07.08
52893 페루서 3천500년 된 ‘잃어버린 고대 도시’ 일반 공개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7.08
52892 “주가 높이자”…삼성전자, 3.9조 규모 자사주 사들인다 랭크뉴스 2025.07.08
52891 충격에 휩싸인 삼성전자 반도체… ‘HBM’ 성적은 최하위, ‘비메모리’ 적자는 눈덩이 랭크뉴스 2025.07.08
52890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내달 1일까지 연장 행정명령 랭크뉴스 2025.07.08
52889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반도체 부진 지속(종합) 랭크뉴스 2025.07.08
52888 [속보] 삼성전자, 3.9조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2887 트럼프 "마음에 들면 관세 기한 조정 가능"… '한국은 불공정' 불평도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