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갈치시장 노점상이 300m 가량 줄지어 있다. 부산시는 현대식 건물인 '자갈치아지매시장'을 지난해 완공했지만 상인들의 입점 반대로 개장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이은지 기자
“하루 5만원치 팔아서 만원도 채 못 버는데 월세 80만원을 우째냅니꺼. 못 드가예.”


지난 1일 부산 중구 남포동 자갈치시장에서 만난 이모(86)할머니의 한탄이다. 52년째 노점상을 하는 그는 “사람들 눈에 띄는 길바닥에 있어도 하루 5만원치 파는데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장사가 더 안될 게 뻔하다”고 했다.

부산시가 불법 노점(露店)을 정리하기 위해 2014년부터 235억원을 들여 지난해 말 자갈치아지매시장 신축건물(1동 면적 2441㎡·2동 면적 1827㎡, 각 3층)을 완공했지만, 노점 상인 200여명은 입점을 거부하고 있다. 매장 면적은 좁아지고, 월세를 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6월말 개장하려던 계획은 무산됐고, 올해 추석 연휴 전 개장도 물 건너간 상태다. 2015년 노량진 현대화 수산시장에 상인들이 입점을 거부하며 4년 넘게 수협과 갈등을 빚었던 상황과 비슷하다.

부산시가 상인회와 지난 4월부터 ‘소통 TF’를 구성하고 4차례 회의를 한 결과 시설 문제는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 유재인 자갈치아지매시장 상인회장은 “해수 수압 상승, 화장실과 화물용 엘리베이터 추가 설치 등 상인회 요구사항이 대부분 받아들여졌다”며 “지난 4월 입점 추첨에 아무도 응하지 않자 부산시가 많이 양보한 결과”라고 말했다.
자갈치아지매시장 상인회를 맡고 있는 정재우 회장(좌)과 유재인 회장(우)이 시설 개선 사항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사진 이은지 기자


‘인심 야박’ 소문난 자갈치시장…입점하면 월 납부액 10배 이상↑
사용료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자갈치시장 노상 약 300m 구간에서 영업하던 상인들은 한 달 전기사용료로 5만원 정도 내는 게 전부였다. 자갈치아지매시장에 입점하면 사용료와 관리비로 월 53만원~180만원을 납부해야 한다. 30년째 꼼장어집을 운영하는 오모(72) 할머니는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국내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며 “자갈치시장 전성기 때와 비교하면 매출이 10분의 1로 줄었는데 월세를 낼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이날 30도가 넘는 더운 날씨와 부둣가에 정박한 선박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캐한 매연 냄새 탓에 자갈치시장은 한산했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도 구경만 할 뿐 생선을 사거나 꼼장어 포장마차에서 음식을 먹는 손님은 드물었다. 40년간 노점을 한 강모(83)할머니는 “자갈치시장 인심이 야박하다는 인식과 제사를 안 지내는 문화 등이 겹쳐 생선을 사 가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며 “월세를 낮춰주지 않으면 입점을 포기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입점하면 ‘원산지 표시의무’까지 생겨 입점을 꺼리는 상인들이 많다.

상인회는 노점상인의 20%가량이 입점을 포기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 다른 자갈치아지매 상인회를 맡은 정재우 회장은 “노점상인 200여명 중 40여명은 입점을 포기할 것 같다”며 “상인 70%가 70대 이상인데, 장사를 포기하고 기초생활수급비를 받는 게 낫다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지난 1일 찾은 자갈치시장에 손님이 없어 한산한 모습이다. 한 상가 건물에는 '임대' 간판이 걸려져 있다.사진 이은지 기자


부산시 “내년 초 개장 예정…도로정비 후 관광명소 만들 것”
부산시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부산시 수산진흥과 관계자는 “사용료를 낮추려 해도 다른 상가와의 형평성 문제, 노점 상인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 수 있다”며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사용료를 낮춰도 될지 인근 상인들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자갈치아지매시장 시설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어 입점을 마냥 연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유 회장은 “배수관로에 녹이 슬고, 보일러 등 기계 부식이 시작됐다”며 “사용을 안 하니 부식이 더 빠르다”고 말했다. 부산시와 상인회는 올해 말 입점 추첨을 마무리하고, 내년 설 연휴 전에는 개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부산시는 내년 초 자갈치아지매시장이 개장하면 홍보를 강화하고, 주변 도로 정비사업으로 상권 활성화를 꾀할 방침이다. 부산시 수산진흥과 관계자는 “위생과 안전관리를 하면서 크루즈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것”이라며 “정비된 도로에 버스킹 공연 공간을 마련하는 등 자갈치아지매시장이 관광명소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81 5년 동안 25억8000만원···회삿돈 빼돌려 쓴 40대 경리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80 "화장실에서 휴대폰 만지다가 '큰일'…손 씻어도 소용 없어" 전문가 경고보니 랭크뉴스 2025.07.06
51979 "더워 죽겠는데 이걸 산다고? 대체 왜?"…매출 5억 '대박' 터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1978 尹 3차 소환? 구속영장 청구?…2차조사 마친 내란특검 고심 랭크뉴스 2025.07.06
51977 참아라? 스폰지밥? 먹방? 러브버그가 부른 각양각색 '민낯들' 랭크뉴스 2025.07.06
51976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6
51975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74 납북자가족모임, 8일 임진각서 “대북 전단 살포 전면 중단” 공식 선언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
51963 “상반기 주인공 나였는데”… 증권가 하반기 금 가격 전망은 엇갈려 랭크뉴스 2025.07.06
51962 ‘라면 사무관’ 대신 ‘원가 분석’?···심상찮은 물가, 정부 대책은[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