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리나라 노인 4명 중 3명이 임종을 맞는 장소, 바로 '병원'입니다. 면회가 제한되는 병실이나 처치실, 중환자실에서 외롭게 생을 마감합니다.

초고령 시대, 가족과 함께 존엄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난해 8월부터 병원 내 '임종실' 설치가 의무화됐습니다.

법 시행 1년이 다 돼가지만, 보건복지부가 전국 상급종합병원 47곳을 조사해 보니, 임종실을 설치한 곳이 27곳에 불과했습니다.(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 제공)

왜 병원들이 설치에 소극적인지, 임종실에서 작별을 경험한 환자 가족들의 반응은 어떤지 알아봤습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일반 병동에 마련된 임종실

■ 8인 병실에서 '임종실'로…"인간적인 보살핌에 감사"

취재진이 만난 한 가족은 지난 3월 아버지를 간암으로 떠나보냈습니다.

아버지는 인천의 한 대학병원 '8인 병실'에서 투병 중이었습니다.

어느 날 의료진으로부터 임종을 준비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같은 병동에 있는 임종실로 아버지를 옮겼습니다.

일반 병실은 보호자 1명만 면회가 가능하지만, 임종실은 면회 시간이나 인원에 큰 제약이 없었습니다.

2인 병실을 1인실로 만들어 공간이 넉넉하고, 창문으로 빛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아버지는 임종실로 옮긴 첫날, 가족들이 있는 단체 대화방에 "이쪽으로 옮겼다" "참 좋다" "고맙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하루 중 30분 정도 잠깐 의식이 깼을 때 카톡을 남긴 겁니다.

환자 보호자인 아들은 "일반 병실에서는 다른 환자가 신경 쓰였지만, 임종실에서는 아버지에게 오롯이 집중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습니다.

보호자(아들)

"사랑한다는 말 같은 걸 평소에 못 했거든요. 낯 간지러워서. 임종실에서는 둘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아무도 안 볼 때라는 핑계로 그런 말을 할 수 있었어요."

"죽음이라는 것들이 사실 환자들은 무섭잖아요. 옆에 계신 다른 분들도 불안하실 텐데. (일반 병실이었다면) 보호자만 옆에서 숨죽여서 상태가 어떤지 정도만 보고 보내드렸을 것 같은데, 그런 것 없이 되게 편안하게 가시는 모습을 마지막까지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임종실은 면회가 자유로워 옛 직장 동료와 친구 등 지인들도 여럿 찾아와 아버지의 마지막을 배웅했습니다.


의료진의 도움도 컸습니다. 통증 완화는 물론, 환자가 마지막까지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치질을 해주고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계속 자세도 바꿔줬습니다.

한은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수간호사는 "환자 표정을 보고 통증을 조절해 드리기도 하고, 주치의 선생님들하고 상의해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보호자(아들)

"돌아가실 분이라고 생각하면 안 해도 될, 그런 '인간으로서의 케어' 있잖아요. 입안이 말라서 갈라지거나 이빨을 닦는 거랄지, 그런 것들에 대해 세심하게 챙겨주셔서 마지막까지 예쁜 모습으로 누워 계실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임종실은 일반 1인 병실에 비해 비용 부담도 적습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돼, 하루 8만 원입니다.

상급종합병원의 1인 병실료가 하루 40만 원인 걸 감안하면, 5분의 1정도입니다.

아들은 "만약에 일반 병실이나 요양원이었다고 하면 지금처럼 아름답게 기억되지 않았을 것 같다"며 "내가 뭘 더 할 수 있었을 텐데라는 생각과 돌아가실 때 얼마나 고통스러우셨을까 이런 죄책감이 있었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임종실에 비치된 안내 책자

■ 임종실 설치율 57%…"수익성 떨어져"

임종실 설치가 의무화된 지 1년이 다 돼 가지만, 병원들은 여전히 소극적입니다.

복지부가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 5월 기준 전국 상급종합병원 47곳 중 임종실을 설치한 곳은 27곳에 불과합니다.

설치율이 57% 에 그쳤습니다.

병원협회는 2023년 300개 병상 이상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 임종실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 당시에도 반대 의견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병상 운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한 병원 관계자는 "별도 공간을 정해 리모델링하고 간호 인력도 배치해야 한다"며 부담이 적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면엔 수익성에 대한 고려도 있습니다.

임종실이 아니라 집중 치료실이나 중환자실에서 각종 처치를 받다가 사망해야 수익이 더 커진다는 겁니다.

지난해 8월 법을 시행하면서 부칙으로 정해놓은 '경과 기간'이 이달 말까지입니다.

복지부 측은 조만간 임종실 설치를 독려하는 공문을 보낼 예정입니다. 경과 기간이 지나면 시정명령을 할 수 있습니다.

■ 설치해도 이용률 '저조'..."의료 문화가 바뀌어야"

물론, 단순히 임종실 늘리기에만 급급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병원에 임종실이 있어도 환자 가족이나 의료진이 잘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복지부가 서울 지역 상급종합병원 중 임종실을 설치한 7개 병원을 대상으로 이용 실적을 조사한 자료를 보면 지난 5월의 경우, 서울대병원은 이용자가 한 명도 없었습니다.(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이대목동병원과 고대구로병원, 중앙대병원이 각 1명, 고대안암병원이 2명, 세브란스 병원이 3명이었습니다.

환자 1명이 임종실에서 보통 2~3일 머문다는 걸 감안하면 거의 비어 있었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용률이 낮은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나옵니다.

우선 연명치료를 받는 경우 인공호흡기나 혈액 투석 장치 등을 유지한 채 임종실로 옮기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이런 장치를 유지할 만한 시설 여건이나 간호 인력이 임종실에는 없습니다.

임종실에 대한 오해나 거부감도 큰 편입니다.

의학적으로 더는 치료 효과가 없지만 그럼에도 마지막 순간까지 강도 높은 치료를 계속해야 자식으로서 도리를 다하는 거라는 인식이 여전합니다.

한은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수간호사는 "임종실에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냐고 걱정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절대 아니"라며, "오시면 보호자분들을 불러 병실의 사용이나 환자의 상태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설명해 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한 대학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의는 "우리나라 의료 문화상 주치의가 임종기 판단을 최대한 늦추는 경향이 있다"며 "환자가 존엄하게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적기에 임종기 판단과 통보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772 최대 45만 원 민생 소비쿠폰, 21일 지급 시작‥대형마트 등 제외 랭크뉴스 2025.07.05
51771 ‘가상자산 현물 ETF’ 법제화 시작됐는데... 운용업계, 스터디만 하는 까닭 랭크뉴스 2025.07.05
51770 韓유튜버, 봉사한다며 후원받고 14세 필리핀 소녀와 동거·출산 랭크뉴스 2025.07.05
51769 박찬대 “검찰 개혁, 9월 안에 마무리될 것” 랭크뉴스 2025.07.05
51768 필리핀 14세 소녀 성착취한 50대 한국인… '빈민 지원' 유튜버의 두 얼굴? 랭크뉴스 2025.07.05
51767 “빈곤 아동 공부방이라더니”…필리핀서 14세 소녀와 동거·출산한 한국 유튜버 체포 랭크뉴스 2025.07.05
51766 5kg 빠졌다는 강훈식… "李대통령 일하는 모습에 감탄했다" 랭크뉴스 2025.07.05
51765 尹 점심에 '설렁탕', 저녁엔 '김치찌개'…역대 대통령 검찰 조사 단골 메뉴는 랭크뉴스 2025.07.05
51764 길거리서 대변 보고 버스에서 흡연까지…망가지는 제주도, 초등학생들도 나섰다 랭크뉴스 2025.07.05
51763 내란 특검, 尹 오후 1시 7분 조사 재개... 점심은 설렁탕 랭크뉴스 2025.07.05
51762 추경, 3개월내 88% 집행…기재차관 “속도가 핵심가치” 랭크뉴스 2025.07.05
51761 신동주, 日서 신동빈 등 롯데 경영진에 1천억원대 손배 소송(종합) 랭크뉴스 2025.07.05
51760 尹 친필 표지석에 '내란' 글자 새겼다...민노총 조합원 40대男 결국 랭크뉴스 2025.07.05
51759 김건희-건진·통일교 연루 의혹 캄보디아 원조 예산…민주 “전액 삭감” 랭크뉴스 2025.07.05
51758 2차 추경, 3개월 내 88% 집행…"소비쿠폰 이달 1차 지급" 랭크뉴스 2025.07.05
51757 신동주, 日 법원에 신동빈 등 롯데홀딩스 경영진 상대 1000억원대 손배 청구 소송 랭크뉴스 2025.07.05
51756 오늘 '대지진 괴담' 그날…日전문가 "도카라 지진 계속 세져" 경고 랭크뉴스 2025.07.05
51755 '실업급여' 18만 7천 명 추가‥노동부, 추경 1조 5837억 원 확보 랭크뉴스 2025.07.05
51754 내란특검, 尹 '체포방해' 조사 마무리…오후 국무회의·외환 혐의 볼 듯 랭크뉴스 2025.07.05
51753 국힘, 이재명 정부 첫 추경 비판 “선거용 돈풀기, 나라 곳간 거덜”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