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일 오후 불이 난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의 아파트 내부 모습. [사진 부산소방재난본부]
부산에서 9일 만에 또다시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어린 자매가 화재로 목숨을 잃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거실에 있던 에어컨 전원선이 연결된 멀티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3일 경찰·소방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58분쯤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한 아파트 6층에서 불이 났다. 아파트 맞은편 빌라 주민이 검은 연기를 목격하고 119에 신고했다.

신고 접수 후 7분 뒤 화재 현장에 도착한 소방 구조대가 집 문을 열고 들어가 현관문 바로 앞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6세 동생을 발견했다. 이어 비상시 옆집으로 탈출할 수 있는 베란다 경량벽(칸막이) 인근에서 9세 언니가 쓰러진 채 발견됐다. 소방당국은 자매를 인근 대학병원으로 옮겼지만 이날 오후 11시 36분 숨졌다.

당시 두 자매의 부모는 아이들을 재우고 불이 나기 약 30분 전쯤 집에서 나간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에 따르면 부부는 아파트에서 600여m 떨어진 곳에서 치킨 가게를 운영하고 있었다. 평소 자매는 부모와 함께 가게에서 오후 8시까지 있다가 어머니와 함께 먼저 집으로 가고, 이후 남편이 혼자 자정 무렵까지 남아 일을 했다. 불이 난 2일에는 오후 9시30분쯤 가게 문을 닫고, 부부가 집에 들어갔다가 잠시 외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게 인근에서 자동차정비소를 운영하는 김모씨는 “보통 저녁 7시쯤 치킨을 먹으러 가보면 자매가 가게에서 함께 다정하게 놀고 있었다”며 “가게 한쪽에 자매가 놀 수 있도록 조그마한 공간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불이 나기 5시간 전인 오후 6시30분쯤 가게 인근 공터에서 아빠와 두 딸이 배드민턴 치는 걸 봤는데 이런 사고가 터져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번 화재로 이 아파트에 사는 주민 100여 명이 대피했다. 불은 35분 만에 꺼졌지만, 아파트 내부 84㎡ 대부분이 불에 타거나 그을려 2800여 만원(소방 추산)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거실과 베란다 앞쪽이 심하게 불에 탔다. 2007년 3월 준공돼 150여 가구가 사는 이 아파트는 지하 1층, 지상 13층 규모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진 않았다. 화재 발생 2시간 전 아파트 정전 신고가 다수 접수됐다.

경찰과 소방은 3일 오전 10시30분부터 합동 감식한 결과 거실에 놓인 에어컨 전원선과 연결된 멀티탭에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자매의 어머니가 에어컨과 선풍기를 켜두고 집을 나섰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정확한 원인은 에어컨과 전선 잔해물 등을 추가 정밀 감식해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정밀 감식 결과는 한 달 후쯤 나올 예정이다.

화재 현장을 찾은 박형준 부산시장은 “야간에 아이들만 두고 나가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않아 안타깝다”며 “아이들만 남겨두고 나가는 일이 없도록 돌봄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4일 오전 4시15분쯤 부산진구 개금동의 한 아파트 4층에서도 전기 합선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10살 언니가 사망했고, 중태에 빠져 치료를 받던 7살 동생도 하루 만에 숨을 거뒀다. 이때도 자매 부모가 건물 청소 일을 하기 위해 집을 비운 사이 화재가 발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61 “안그래도 힘든데 관리비 80% 넘게 올라”…자영업자의 눈물 랭크뉴스 2025.07.06
51960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랭크뉴스 2025.07.06
51959 미션 보상받고, 게임하며 저축... 은행에서 '도파민' 채워볼까[내돈내산] 랭크뉴스 2025.07.06
51958 작년 폐업자 사상 처음 100만명…‘사업부진’ 비중 금융위기 직후 수준 랭크뉴스 2025.07.06
51957 ‘평양냉면 맛집 도장깨기’ 무더위에도 줄 서서 대기…“숨은 보석 찾는 느낌” 랭크뉴스 2025.07.06
51956 야간조사 없이 2차 소환 마쳐‥곧 3차 소환 전망 랭크뉴스 2025.07.06
51955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는 ‘차별금지법 제정’ 동의할까요? [뉴스 물음표] 랭크뉴스 2025.07.06
51954 계엄과장도 “이상했다”…‘그날 밤 포고령’ 어땠길래 [피고인 윤석열]⑬ 랭크뉴스 2025.07.06
51953 유네스코 등재 앞둔 '반구천 암각화'…울산 국제관광도시 박차 랭크뉴스 2025.07.06
51952 세계를 흔든 ‘오징어 게임 시즌3’ 황동혁 감독, 서사의 벽을 부쉈다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7.06
51951 서울 부동산 시장 관망세 뚜렷…'상투 잡았나'계약 취소 속출 랭크뉴스 2025.07.06
51950 자취 감춘 '영끌족'...이재명표 '부동산 규제' 통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49 황정민 오른 그 산…‘히말라야’ 16좌 선 엄홍길 “비로소 보이는 건" [김수호의 리캐스트] 랭크뉴스 2025.07.06
51948 "소음에 보수·진보 없다"... 대북확성기 중단, 일상 회복한 접경지 주민들 [르포] 랭크뉴스 2025.07.06
51947 인사청문 정국에 계속되는 전운…與 '능력중시' 국힘 '송곳검증' 랭크뉴스 2025.07.06
51946 로또 1등 인천서 또 무더기?···1등 13명 각 21억원 랭크뉴스 2025.07.06
51945 "현대차는 1년 내내 노사협상 할 판"...더 센 노란봉투법에 떤다 랭크뉴스 2025.07.06
51944 ‘16억 과징금’ 공정위에 맞선 최태원 ‘완승’ 쾌거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7.06
51943 "하루 만 원 벌어 월세 80만원 우째 내노"…자갈치아지매 한숨 [르포] 랭크뉴스 2025.07.06
51942 '안철수 혁신위' 통할까…여론 '기대 반 걱정 반'[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