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국 이어 두 번째 타결···아시아 국가 중 첫 무역 합의
중국 겨냥 ‘제3국 환적 제품’엔 40% 고율 관세 부과 방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의 유예기간 만료(현지시각 9일 0시)를 앞두고 미국은 베트남과 관세율을 낮추는 대신 시장 개방을 유도하는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를 나눈 후 베트남과 막 무역 합의를 했음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 내용과 관련해 미국 영토로 들어오는 모든 베트남산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환적 상품에 대해서는 4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대신 베트남은 전례 없는 조치를 취해 미국에 자국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했다”며 “미국산 제품은 베트남 시장에서 ‘무관세’로 판매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했는데, 양국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이를 20%로 대폭 인하하기로 한 것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또는 대형 엔진 차량이 베트남으로 수출될 것이라는 기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환적 상품’에 대한 40% 관세는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제품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자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고율 관세를 피하고자 베트남을 경유지로 삼아 우회 수출해 온 ‘원산지 세탁’ 관행을 차단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 시점을 협상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조정, 무역 불균형 해소,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놓고 무역 협상을 벌여왔으며 베트남에 앞서 지난달 영국과 최종 합의를 타결했다.

미국 폴리티코에 따르면 양국이 작성한 공동성명 초안에는 베트남이 미국 보잉사 항공기 50대를 80억달러(약 11조원)에 도입하고 29억달러(약 3조9000억원)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한 양해각서(MOU)를 포함한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에 따르면 이날 양국 정상 간 통화에서 람 서기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이 베트남을 조속히 시장경제국으로 인정하고, 특정 첨단기술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럼 서기장은 향후 양국의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주요 조치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 시점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으며 베트남에 앞서 영국과 지난달 최종 합의를 했다.

트럼프 “일본에 30~35% 부과할 수도···일부 국가 미국과 무역 못할 수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율(24%)보다 높은 30~3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과 무역협상이 잘 풀리지 않자 관세율을 높여 부르며 압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에서 워싱턴으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https://www.khan.co.kr/article/202507020735001

트럼프, 4월 상호관세 유예 후 처음으로 영국과 새 무역협정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만나 미·영 간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지난 4월9일 90일간 상호관세 유예를 선언한 이후 처음으로 특정 국가와 맺은 새로운 무역협정이다. 이번 협정에 따라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 연간 10만대를 할당량(쿼터)으로 설정하고, 트럼프 행정부가 ...https://www.khan.co.kr/article/20250617163001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62 국힘 내 인적 쇄신 요구 분출 “중진 총선 불출마, 2선 후퇴 선언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1 李 "새 신도시 건설? 목 마르다고 소금물 계속 마시는 격" [취임 한달 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0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에 불과…부동산 정책 엄청 많아"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9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 구속…"도주 우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8 이 대통령 “눈치가 좀 보이지만, 하루가 30시간이었다면…”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7 자매 숨진 아파트 합동 감식 "발코니 에어컨 쪽 많이 그을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6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표결 불참…상법 처리는 참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5 “고등어 가격 보고 장보기 겁나네” 가공식품 값도 슬쩍 인상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4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민생 회복 전력…통합의 국정”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3 내란 특검, 계엄 다음날 ‘안가 회동’ 김주현 전 민정수석 소환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2 [속보]이 대통령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부동산 정책 많다” [취임 첫 기자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1 [속보] 이 대통령 “관세협상 8일까지 어려워…원하는 것 정리 안돼”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0 [속보] 이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수요 억제 등 부동산 정책 많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9 [르포] 홍대 앞 일본풍 ‘메이드 카페’ 논란… 식품위생법으로 단속한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8 李 "이번 대출규제는 맛보기 불과…부동산 투기 흐름 바꿀 것" [취임 한달 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7 늘 취해 있던 아빠의 죽음에 서명했다 [유예된 죽음]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6 [속보]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본회의 불참키로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5 [속보]이 대통령, ‘압도적 권력’ 우려에 “그게 국민의 선택”[취임 첫 기자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4 스위스, ‘부자 상속세 50% 부과’ 국민투표로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43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김건희 특검 첫 압수수색 대상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