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분기 유의·부실우려 2조6000억원 정리했는데
같은 기간 2조7000억원 늘어 부실 규모 확대
부동산PF 연체잔액도 1분기만에 1조원 증가
토담대 연체잔액 7400억 증가, 연체율 30% 육박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 /뉴스1

건설·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으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도 쌓이고 있다. 금융권이 부실채권을 상각·매각해 정상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더 많은 부실이 새롭게 발생하며 전체 부실 규모가 커지고 있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4.49%로, 직전 분기보다 1.07%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수치를 공개한 이후 최고치다. 증권업권 연체율은 같은 기간 5.49%포인트 상승한 26.14%로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은 7.7%였고, 여신전문업권은 5.4%, 은행·보험은 1~2% 수준이다.

연체율이 증가한 이유는 부실 자산을 없애는 속도만큼 새로운 부실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3월까지 부동산PF 부실채권 매각·상각 규모는 저축은행 3조원과 상호금융 3조2000억원이었는데, 같은 기간 신규 연체액은 각각 6조8000억원과 15조6000억원이었다.

금융권은 올해 1분기 2조6000억원의 유의 부실우려 등급 사업장을 정리·재구조화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유의·부실우려 여신은 직전 분기보다 2조7000억원 늘어난 21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PF 연체 잔액도 같은 기간 1조원 이상 늘어난 5조3900억원으로 집계됐다.

뉴스1

특히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연체율은 올해 1분기 28.05%로 상승했다. 토담대는 부동산 사업 초기 땅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상품이다. 건물은 없지만 미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다. 당장 수익성이 없는 만큼, 한번 부실이 발생하면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

토담대를 가장 많이 보유(9조9000억원)한 상호금융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6.62%로 금융권에서 가장 높았다. 토담대 5조3000억원을 보유한 저축은행은 25.62%다. 토담대 잔액은 올해 1분기 16조9000억원으로 직전 분기(18조4000억원)보다 줄었지만, 연체 잔액은 같은 기간 약 7400억원 늘어난 4조74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PF 부실이 계속되는 것은 건설·부동산업 경기가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개발에 나섰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속출하면서 대출금을 갚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은행이 연체율 상승으로 기업대출을 조이면서, 건설사가 자금을 융통하지 못해 부실 규모가 커진 것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종합건설업체는 529곳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5월에는 214곳이 문을 닫았다. 이 추세라면 올해 폐업한 건설사 규모는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2금융권 전반에 적용됐던 한시적 부동산PF 규제 완화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는 한편 2차 추경을 통해 마련한 5조4000억원을 중소건설사 비은행권 PF 특별보증 등으로 사용하며 유동성을 공급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부동산PF 유동성 지원 방안이 중소건설사의 리스크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66 “전 국민 64만 원, 노인 85만 원”…싱가포르, 바우처 지급 이유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7.03
50665 李, 오늘 '취임 한달' 기자회견…"사전 조율 없이 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7.03
50664 미·베 무역합의 도출…“베트남산 상호관세 46→20%·미국산 ‘0%’” 랭크뉴스 2025.07.03
50663 “성심당 싼데 숙소도 이렇게 싸다고?”…‘초가성비’ 인정받은 대전 랭크뉴스 2025.07.03
50662 이 대통령 숨가쁜 30일…실용 내걸고 ‘일하는 정부’ 신호탄 랭크뉴스 2025.07.03
50661 부산 아파트서 불…부모 외출한 사이 어린 자매 참변 랭크뉴스 2025.07.03
50660 내년 최저임금 얼마?...결정 임박 랭크뉴스 2025.07.03
50659 李대통령, 대통령 가족 감시하는 '특별감찰관' 임명 절차 지시 랭크뉴스 2025.07.03
50658 뉴욕증시, 미·베 무역합의에 상승 마감…S&P500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3
50657 오늘 첫 기자회견‥"주권자 질문에 겸허히 답" 랭크뉴스 2025.07.03
50656 [샷!] "오징어게임 줄넘기 너무 힘들어!" 랭크뉴스 2025.07.03
50655 차량서 여성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 40대 남성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7.03
50654 [투자노트]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고집… 日, EU 이어 韓도 긴장 랭크뉴스 2025.07.03
50653 미국-베트남 무역협정 체결…중국산 우회 수입 막는 고율관세 도입 랭크뉴스 2025.07.03
50652 홈플러스 매각 본격화… 통매각·분할매각·청산 시나리오 ‘삼중 전개’ 랭크뉴스 2025.07.03
50651 100년 후 한국 인구, 최악의 경우 홍콩만큼 쪼그라든다[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3
50650 "러브버그? 국민이면 좀 참을 줄 알아야"…심경 토로한 인천 계양구청장, 왜? 랭크뉴스 2025.07.03
50649 버스 출입문 닫을 때 뒤늦게 타다 사고 랭크뉴스 2025.07.03
50648 "한덕수 왜 저러지?"‥풀려가는 '내란 대행' 행적 랭크뉴스 2025.07.03
50647 이 대통령, 오늘 첫 기자회견···사전 조율 없다는데 ‘누가, 가장 먼저, 무슨 질문’ 할까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