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올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집중된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소비자물가에 반영된 영향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2020년=100)로 전년 동월보다 2.2% 상승하며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2.0%)를 웃돌았다. 상승률은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은 더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품목(458개) 가운데 일반 소비자가 자주 사는 144개 품목만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2.5% 오르며 전달(2.3%)보다 오름 폭이 확대됐다.

가공식품이 1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4.6%)을 나타내며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73개 품목 중 62개가 올랐다. 오징어채(48.7%)와 양념소스(21.3%)·차(20.7%)·초콜릿(20.4%)·유산균(14.5%)·고추장(14.2%)·잼(12.0%)·시리얼(11.6%)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한 개에 2000원’이라고 콕 집은 라면(6.9%)은 2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이른바 ‘커피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커피(12.4%), 배추 가격 폭등의 영향을 받은 김치(14.2%) 등도 많이 올랐다.

농축수산물 중에선 수산물이 수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7.4% 올랐다. 세부적으로 고등어(16.1%)·굴(12.7%)·조기(10.6%)·새우(10.5%)·김(10.4%) 등이 많이 뛰었다. 축산물을 보면 달걀(6.0%)·닭고기(5.4%)·꿀(5.0%)·수입쇠고기(4.5%)·돼지고기(4.4%) 등 순이었다. 달걀의 경우 3년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찍었다.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는 산지 가격 담합에 따른 가격 급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벌이는 중이다. 농산물 가운데선 마늘(24.9%)·호박(19.9%)·오이(19.1%)·미나리(15.8%)·가지(10.3%) 등이 크게 상승했다. 이상기후와 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신재민 기자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등 중동 사태의 여파로 지난 4~5월 연속해서 떨어졌던 석유류가 지난달 상승 반전(0.3%)한 점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밀어 올렸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는 3.1% 올랐다. 개인서비스를 보면 외식(3.1%)과 외식제외(3.5%) 모두 3%대 상승률을 보였다.

긍정적인 면도 있다. 올해 들어 기조적인 소비자물가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지수(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월부터 3월까지 1%대 후반, 5월과 지난달 모두 2.0%로 안정세를 이어갔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달(7월)은 국제유가·환율 안정세가 이어질 경우 소비자물가 오름 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향후에도 2%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등을 지속하고,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복잡한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먹거리 수입 문턱을 더 낮추는 등 공급 경로를 다변화할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현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가 과도하면 물가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405 걸스데이 민아·온주완 열애 끝 결혼…10살차 연예인 부부 탄생 랭크뉴스 2025.07.04
51404 SKT, 올해 매출 8천억원 감소 전망…“실적 저하 감내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403 어린이 4명 앗아간 아파트 화재…‘간이형 스프링클러’가 대안? 랭크뉴스 2025.07.04
51402 할인마다 다른 SKT 위약금…"결합할인 면제 대상 아냐" 랭크뉴스 2025.07.04
51401 與, ‘檢 특활비’ 부대의견 달아 추경 의결할 듯… “野 기다릴 것” 랭크뉴스 2025.07.04
51400 ‘아열대’ 러브버그, 2070년 한반도 뒤덮나 랭크뉴스 2025.07.04
51399 이 대통령 "장기 채무 싹 정리하는 게 모두에게 좋다" 랭크뉴스 2025.07.04
51398 '외환 의혹'의 핵심, 평양 드론 침투 작전 랭크뉴스 2025.07.04
51397 "김건희 모녀, 돈 되면 양잿물도 먹을 사람들"…박지원, 尹 부부 구속 '시간문제' 랭크뉴스 2025.07.04
51396 "주차장서 성폭행"…'나솔' 출연자, 결국 준강간 혐의 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7.04
51395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소래터널서 차량 화재…인명피해 없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4
51394 “윤석열 죽는다” 시위대 선동한 사랑제일교회 전도사…검찰 징역 4년 구형 랭크뉴스 2025.07.04
51393 ‘소비쿠폰 1.9조’ 추경안, 예결소위 통과… 국힘 퇴장 랭크뉴스 2025.07.04
51392 식단만 바꿔도 치매 위험 최대 28% 뚝…비결은 ‘○○○식’[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7.04
51391 폭염에 장시간 노출돼도 땀 안난다면…빨리 119 신고하세요 랭크뉴스 2025.07.04
51390 이상민 ‘5만원권 돈다발’ 채운 에르메스 백…현금신고 0원 해놓고 랭크뉴스 2025.07.04
51389 “이분이 그분입니다”…이 대통령 ‘6억 대출규제’ 만든 국장 칭찬 랭크뉴스 2025.07.04
51388 "25만원 받아서 소고기 먹어야지"…'민생지원금' 신청하기 눌렀다가 "이럴수가" 랭크뉴스 2025.07.04
51387 윤석열 내일도 ‘공개 소환’…김건희·해병 특검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4
51386 수도권1순환도로 소래터널서 차량 화재…한때 전 차로 통제(종합)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