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그럼 먼저 내란특검 연결합니다.
유서영 기자, 한덕수 전 총리가 오늘 오전부터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고 있잖아요?
한 전 총리의 행적도 cctv를 통해 확인이 되고 있는데, 현재 조사 상황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내란 특검팀이 한덕수 전 총리를 조사한 지 10시간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방금 보셨듯 한 전 총리는 내란을 방조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요.
이미 출국금지도 내려진 상태입니다.
오전 10시쯤 이곳 서울고검에 나온 한 전 총리는 취재진의 질문엔 아무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특검팀 수사관 손에 팔을 붙들려 들어가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특검은 한 전 총리를 상대로 CCTV 속 문건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계엄과 관련한 어떠한 서류도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한 이유가 무엇인지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사후에 계엄 선포문에 서명을 했다가 폐기했다는 의혹을 두고 비상계엄에 절차적 정당성을 부여하려 한 건 아닌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
오늘 특검팀에 출석한 관계자 중엔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도 있었습니다.
김 전 실장은 이틀 전 먼저 조사를 받은 강의구 전 부속실장과 함께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위원들을 대통령실로 불러모은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국무회의 소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해 한 전 총리 진술의 신빙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한편 다른 국무위원들에 대한 조사도 이어졌습니다.
오전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오후엔 유상임 과학기술부 장관이 특검에 출석했습니다.
두 장관은 모두 계엄 선포 전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고 계엄 해제 국무회의에만 참석한 국무위원입니다.
당시 계엄 해제는 국회에서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고 3시간이 넘게 지나서야 이뤄졌습니다.
이 때문에 2차 계엄 시도 의혹도 제기된 바 있습니다.
특검의 한 관계자는 해제 국무회의가 늦게 열린 것도 대통령 견제장치인 국무회의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 전 총리와 두 장관의 대질 조사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서울고검에서 MBC 뉴스 유서영입니다.
영상취재 : 장영근 / 영상편집 : 김진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