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이재명의 사람들 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열렸습니다. 새로운 정권이 시작되면 권력의 지도가 바뀝니다. 이재명의 옆에는 어떤 실세들이 포진하고 있을까요. 그들은 어떤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까요.

이재명 정권의 키맨을 한명씩 해부합니다. 각자 어떤 분야를 책임지고 어떤 권한을 갖고 있는지, 대통령과 그들의 인연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얼마나 끈끈한지 알려드립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이재명의 사람들’ 시리즈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의 사람들⑧
경제정책 브레인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코로나란 이름의 역병(疫病) 확산으로 신년회 자리도 취소하던 2021년 초 어느날, 하준경 한양대 에리카 경제학부 교수에게 대뜸 문자 메시지로 대면 요청이 왔다.

" 만나 뵙고 싶습니다. "
발신자는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였던 이재명 경기지사. 당시 이 지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긴급 재난지원금에 반대하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반년 넘게 날 선 공방을 이어가던 중이었다. 이 과정에서 “창고지기(홍남기)는 곳간을 여닫을 권한이 없다”(2020년 6월 이재명)→“철이 없다”(8월 홍남기)→“이 나라가 기재부의 나라냐”(9월 이재명)는 등의 거친 언사도 오갔다.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연합뉴스
정권 교체 여론이 스멀스멀 올라오던 시기에 중앙 정부와 각을 세우는 건 이 지사에게 차기 주자의 입지를 공고히 할 좋은 기회였다. 이를 위해선 정부 재정 정책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수였다. 그러던 중 하 교수의 칼럼을 발견했다. 확장재정정책에 대한 얘기였다. 하 교수는 2019년 한 언론 기고문을 통해 “IMF 총재가 한국을 다녀가면서 ‘집단자살 사회’라고 한탄했다. 젊은이들이 결혼·출산을 포기하는 모습에 충격을 받은 모양”이라며 “자살을 방치하는 재정 건전성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적었다. 그러면서 “과감한 정책전환 없이는 대한민국 이를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본 이 지사는 바로 하 교수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던 하 교수는 이 지사가 성남 시장 시절 무상 교복 정책을 펼쳤던 점을 선명히 기억하고 있었다. 이는 “이재명은 일 하나는 잘 한다”는 이미지를 그에게 심어줬지만, 그를 도와 정치에 발을 담글 생각은 전혀 없었다. 하지만 이 지사와 하 교수는 만난 자리에서 서로의 경제관을 공유하고, 대한민국 경제의 고질적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확인했다. 만족한 이 지사는 하 교수에게 이같이 같이 말했다.

" 어, 우리 같은 과(성향)인데요? "
경쟁 주자였던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그를 영입하기 위해 눈독 들이던 시기였다. 하지만 이날의 만남을 계기로 하 교수는 이 지사를 물밑에서 돕게 된다. 이후 홍 부총리와의 토론에서 하 교수의 논리는 이 지사에게 치트키 같은 역할을 했다. 이 지사는 하 교수 칼럼을 페이스북에 인용하며 홍 부총리를 겨냥해 “반박할 수 있으면 해보시죠”라고 쏘아붙이기도 했다.

2021년 10월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도전한 이 지사는 경선 기간 내내 전화·문자·텔레그램 등을 가리지 않고 시도 때도 없이 하 교수에게 연락을 했다. 부동산 가격 등 현안 관련 궁금한 점을 꼬치꼬치 물었다. 하 교수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내용들까지 물으니, 수백 명 앞에서 하는 강의에 익숙했던 그도 종종 긴장하곤 했다고 한다.

하지만, 하 교수는 학자로서 할 말은 해야 했다. 이재명 후보의 “부동산 개발이익을 환수해서 전 국민에 코인으로 배당하겠다”(11월 발언)는 공약에 반기를 들어야 했던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499

대통령 이재명의 삶과 정치 [이재명의 사람들 ▼]
얼굴 없는 李 최측근, 김현지…나이도 대학도 모르는 ‘고딩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047

李 “남준이와 상의해서 하라”…원조 친명도 ‘이 남자’ 찾는다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964

“병상에서 김민석이 보이더라” 이재명 최측근 된 ‘그날 뉴스’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3866

“강 의원 아끼다 똥 되겠어” 강훈식 설득한 이재명 한마디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4760

“민생지원금 현금화? 말 안됨” 이재명 기강도 잡은 ‘교수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576

맞담배 태우며 “날 도와주세요”…이태형이 李에 매료된 그 밤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6605

술먹다 대뜸 전화하는 김남국…그는 어떻게 李 막냇동생 됐나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7525

[이재명, 그 결정적 순간들▼]
“전 퇴근, 시장실 편히 쓰세요” 시위대 당황시킨 이재명 ‘열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6968

서른세끼 굶고 ‘전국구’ 됐다…李 ‘별의 순간’ 쥔 그날 광화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7827

이재명 인생 최대위기 왔다…황당 대형사고에 “사시 탈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040

“이게 다 전두환 장군 덕이다” 중대 법대 간 이재명의 ‘행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3271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김혜경 “하…이혼해야 하나” 이재명 지갑 속 사진 뭐길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65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551 ‘런치플레이션’ 속 사내식당마저 양극화 랭크뉴스 2025.07.03
50550 [사설] 상법·노란봉투법 압박…기업 옥죄기 아닌 공생 방안 찾아야 랭크뉴스 2025.07.03
50549 [단독] 한덕수 “사후 계엄선포문 서명, 최초 문건과 같다는 의미” 랭크뉴스 2025.07.03
50548 트럼프 “베트남과 조금 전 무역합의… 베트남 20% 관세″ 랭크뉴스 2025.07.03
50547 내란 특검, 한덕수 소환…계엄 국무회의 당시 ‘윤석열 직권남용’ 추궁 랭크뉴스 2025.07.03
50546 [속보]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협상 타결…세부 내용 곧 공개” 랭크뉴스 2025.07.03
50545 한국콜마 오너일가 아버지·장녀 VS 장남, ‘3자 경영 합의’ 놓고 법정 맞대결 랭크뉴스 2025.07.03
50544 [속보] 트럼프 “베트남과 조금 전 무역합의… 베트남 20% 관세″ 랭크뉴스 2025.07.03
50543 [속보]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합의 타결"…인태국가 중 처음 랭크뉴스 2025.07.03
50542 [속보]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협정 체결…상호관세 46%→20%" 랭크뉴스 2025.07.03
50541 송언석 비대위, ‘찬탄’ 안철수 혁신위원장에게 국힘 살릴 권한 줄까? 랭크뉴스 2025.07.03
50540 부산 온다는데 '건의안'은 부결‥"부산시민 맞나?" 성토 랭크뉴스 2025.07.03
50539 80대 운전 차량, 휴게소 식당 돌진… 16명 다쳐 랭크뉴스 2025.07.03
50538 "단순 감기 아냐, 죽을 수도"…'사상 최다 환자' 日서 8배 급증한 '이 질병' 랭크뉴스 2025.07.03
50537 한덕수 거부권 때보다 진전…자본시장 선진화 향한 ‘한 걸음’ 랭크뉴스 2025.07.03
50536 휴게소 식당 덮친 SUV‥80대 운전자 "브레이크 대신 가속페달을‥" 랭크뉴스 2025.07.02
50535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합의 타결"…인태국가 중 처음 랭크뉴스 2025.07.02
50534 [속보] 트럼프 “베트남과 조금 전 무역협정 체결” 랭크뉴스 2025.07.02
50533 땡볕 아래서 밭일 하던 80대 여성 숨져…열사병 추정 랭크뉴스 2025.07.02
50532 ‘기내 난동 여성’ 승객들이 막았다…항공사 대응 논란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