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미 관세 협상의 주요 의제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Liquefied Natural Gas) 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내걸지만 정보 부족으로 기업들이 불만이 커지고 있다.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마감을 앞두고 있지만, 프로젝트 참여를 결정하는 수익성 계산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알래스카 주(州)정부에서 제공한 자료가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기업과 관계 기관은 정부가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결정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답답함을 호소한다.
2일 한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주정부에서 제공한 자료 중 구체적인 수치가 담겨있는 것이 없다”며 “사업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주관사인 글렌파네(GLENFARNE)그룹에 자료를 요청했지만, 받은 것이 없고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공유받은 자료도 없다”고 전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알래스카 북부 해안가 프루도베이, 포인트톰슨 지역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남부 니키스키 지역까지 운송한 뒤,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약 1300㎞에 달하는 가스관과 액화플랜트 등 설비 구축이 필요하고 총사업비만 약 440억 달러(약 약 59조 8488억 원)로 추정된다.
앞서 여한구 통상본부장은 지난달 29일 “미국 측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이 참여하길 바라고 있다”며 “상업성이나 기술적 요인 등을 심도있게 논의하며 사전에 협의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여 본부장은 6월 22일부터 27일까지 워싱턴 DC를 찾아 통상 당국과의 협상 외에도 미 의회 관계자와 싱크탱크 등 30여 차례의 면담 일정을 소화하고 귀국했다.
한국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가스전이나 LNG 인프라 사업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에 SK이노베이션 E&S, 포스코인터내셔널, GS에너지 등 에너지 사업을 하는 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거론된다.
또한 가스관 건설, LNG 수입에 필요한 LNG선 건조가 필요하기에 철강·건설·조선 관련 기업도 프로젝트 참여 후보군이다.
다만, 참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기업 관계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높은 개발 비용과 한·미 정권 교체에 따라 LNG 정책이 변할 경우, 사업이 중단돼 투자비를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극지방이라는 특성상 계절에 따라 건설 기간이 한정되고, 건설 자체도 어렵다. 앞서 글로벌 석유·가스 기업인 엑손모빌, BP 등은 2016년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의사를 거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LNG 사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는 최종 투자 결정, 구속력 있는 기본 합의서를 쓰는 데만 2~3년이 걸린다”며 “기업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 손해배상 등 법적 장치를 마련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래스카 주(州)정부에서 제공한 자료가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기업과 관계 기관은 정부가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결정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답답함을 호소한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천연가스 액화 시설 조감도. /알래스카 LNG 제공
2일 한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주정부에서 제공한 자료 중 구체적인 수치가 담겨있는 것이 없다”며 “사업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주관사인 글렌파네(GLENFARNE)그룹에 자료를 요청했지만, 받은 것이 없고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공유받은 자료도 없다”고 전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알래스카 북부 해안가 프루도베이, 포인트톰슨 지역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남부 니키스키 지역까지 운송한 뒤,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약 1300㎞에 달하는 가스관과 액화플랜트 등 설비 구축이 필요하고 총사업비만 약 440억 달러(약 약 59조 8488억 원)로 추정된다.
앞서 여한구 통상본부장은 지난달 29일 “미국 측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이 참여하길 바라고 있다”며 “상업성이나 기술적 요인 등을 심도있게 논의하며 사전에 협의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여 본부장은 6월 22일부터 27일까지 워싱턴 DC를 찾아 통상 당국과의 협상 외에도 미 의회 관계자와 싱크탱크 등 30여 차례의 면담 일정을 소화하고 귀국했다.
한국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가스전이나 LNG 인프라 사업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에 SK이노베이션 E&S, 포스코인터내셔널, GS에너지 등 에너지 사업을 하는 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거론된다.
또한 가스관 건설, LNG 수입에 필요한 LNG선 건조가 필요하기에 철강·건설·조선 관련 기업도 프로젝트 참여 후보군이다.
다만, 참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기업 관계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높은 개발 비용과 한·미 정권 교체에 따라 LNG 정책이 변할 경우, 사업이 중단돼 투자비를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극지방이라는 특성상 계절에 따라 건설 기간이 한정되고, 건설 자체도 어렵다. 앞서 글로벌 석유·가스 기업인 엑손모빌, BP 등은 2016년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의사를 거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LNG 사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는 최종 투자 결정, 구속력 있는 기본 합의서를 쓰는 데만 2~3년이 걸린다”며 “기업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 손해배상 등 법적 장치를 마련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