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이 국방부에 경기북부 미군 반환기지 처리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해 보고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 이들 지역에 대한 개발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수십 년간 반환기지 개발의 발목을 잡아온 비용, 행정 절차 등의 문제를 중앙 정부가 앞장 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 1일 국무회의 뒤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이 비공개회의에서 국방부에 경기 북부 지역의 미군 반환 공여지 처리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미는 2002년 10월 발효된 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LPP) 따라 전국 50여개 미군기지를 평택 캠프 험프리스 등 5곳으로 통폐합하기로 합의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해당 협정으로 국방부로 관리 주체가 바뀐 경기북부의 미군기지 공여지는 22개소 1억390만㎡(3142만 9750평)이다. 반환이 약속된 미군기지 대부분 경기북부 지역에 몰려있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이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매각이 완료된 곳은 10개소 7775만㎡(2351만 9375평)로 추산됐고, 12개소 2618만㎡(791만 9450평) 땅은 여전히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매각이 완료된 미군기지는 ▶파주 불스아이 훈련장(일부) ▶의정부 캠프 라과디아 ▶동두천 캠프 님블 ▶의정부 캠프 에세이욘 ▶의정부 캠프 홀링워터 ▶의정부 캠프 시어즈 ▶양주 캔사스 사격장 ▶파주 오클라호마 사격장 ▶파주 텍사스 사격장 ▶파주 와그너 사격장이다.

반면 매각이 진행 중인 미군기지는 ▶동두천 짐볼스 훈련장 ▶포천 와킨스 훈련장(일부) ▶양주 모빌 훈련장 ▶파주 캠프 하우즈 ▶파주 캠프 스탠턴 ▶파주 캠프 자이언트 ▶파주 캠프 에드워즈 ▶파주 캠프 게리오웬 ▶의정부 캠프 카일 ▶동두천 캠프 캐슬 ▶의정부 캠프 잭슨 ▶의정부 캠프 레드클라우드다. 이 중 가장 오래 전 반환된 미군 기지는 짐볼스 훈련장, 와킨스 훈련장, 모빌 훈련장으로 2005년 9월 이후 20년 넘게 빈 땅으로 방치돼왔다.

지난 1일 오후 경기도 의정부시 반환미군기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에 수풀이 무성히 자라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국방부에 경기북부지역 미군 반환 공여지 처리 방안 검토를 지시했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반환 미군기지의 매각 지연 사유로 ▶인허가 절차 장기간 소요 ▶매각 전 환경오염정화 필요 ▶사업성 부족에 따른 매입자 유치 제한 등을 꼽았다. 예컨대 도시개발사업 취소 관련 민간 사업자와 지자체 간 행정소송, 또는 발전종합계획 변경 등으로 인허가 절차에 수년이 소요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악지형, 도로 부지 등 개발 제한 요인으로 지자체나 민간 사업자가 매각에 관심을 갖지 않는 기지도 있다. 의정부 캠프 레드클라우드의 경우 환경오염 정화가 완료돼야 한다는 점 때문에 매각 시기가 2029년으로 밀린 상태다.

경기북부 지역 주민의 숙원사업인 미군 반환기지 개발 문제는 이 대통령의 오랜 관심 사안으로 분류된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접경지에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하고 미군 반환 공여지와 주변 지역도 국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공언한 적이 있다. 또 경기지사 시절이던 2019년에는 국회 토론회에 참석해 “미군 공여지를 지자체에 무상 임대하고, 일정 기간 개발 뒤 후불 지급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자체의 공여지 매입에 국비 지원 또는 중앙 정부 주도의 공여지 개발 방식도 이재명 정부가 추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589 밀레이 견제?…브라질 룰라, '가택연금' 아르헨 前대통령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3
50588 한덕수 전 총리, 내란특검 조사 13시간 40분만에 귀가… 질문에는 침묵 랭크뉴스 2025.07.03
50587 美하원의원 43명, 美정부에 "무역협상서 韓 플랫폼법 해결하라" 랭크뉴스 2025.07.03
50586 뉴욕증시, ‘민간 고용 쇼크’에 장 초반 약세 랭크뉴스 2025.07.03
50585 신용대출·카드론 합쳐 연소득 이내로 제한…주담대 금리도 재상승 랭크뉴스 2025.07.03
50584 공영방송 이사, 국회도 추천할 수 있는 방송3법…여당 강경파 주도로 과방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7.03
50583 식당서 주문 후 휴대폰 '슥'…수상한 손님, 절도전과 27범이었다 랭크뉴스 2025.07.03
50582 "4명 예약인데 2명 늦는다고? 기분 나빠 못팔아"…냉면집서 쫓겨난 가족,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3
50581 "탈출하면 악어밥?"…트럼프표 '불법이민자 수용소'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7.03
50580 한덕수 겨눈 특검…윤석열 직권남용 피해자-내란범 ‘양립 가능’ 랭크뉴스 2025.07.03
50579 EU 지도부-中왕이, 수교 50주년 정상회담 준비 논의 랭크뉴스 2025.07.03
50578 트럼프, 베트남과 두 번째 무역합의…상호관세율 46→20%로 인하 랭크뉴스 2025.07.03
50577 'AI 투자' 늘린 MS, 올해 2차 대규모 인력 감원…9천명 해고 랭크뉴스 2025.07.03
50576 트럼프 “일본, 관세 30~35% 내야”…협상 정체에 압박 강화 랭크뉴스 2025.07.03
50575 ‘검찰개혁 속도전’ 힘 실은 정청래·박찬대…“9월까지 완수”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3
50574 “내년이면 한 마리도 없다니”’…판다가족 中 반환에 일본 팬들 '엉엉' 랭크뉴스 2025.07.03
50573 [사설] ‘평양 무인기’ 북한 격한 반응에 좋아했다니, 기가 찬다 랭크뉴스 2025.07.03
50572 고개 숙이고 안철수 앞세운 ‘송언석 비대위’, 국힘 바꿀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7.03
50571 한덕수, 내란 특검 조사 13시간 40분 만에 귀가…침묵 일관 랭크뉴스 2025.07.03
50570 남미공동시장·유럽자유무역연합 FTA 합의…"GDP 6천조원"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