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 탓… 평년比 13.4% 올라
고물가에 당장 제품 출고가 인상 가능성은 작지만
업계 “쌀값 상승 추이 예의주시”

최근 쌀값 상승률이 평년 대비 13%를 넘어섰다.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로 인한 물량 부족 탓이다. 3월부터 이어지는 쌀값 고공행진에 쌀 소비량이 많은 식품·주류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물가 기조가 여전해 당장 원가 인상분을 제품 출고가 등 가격에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쌀값 오름세가 계속될 경우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손민균

2일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20㎏ 기준 쌀값(소매가격)은 지난달 30일 기준 5만9059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10.16%, 평년 대비 13.38% 각각 오른 수치다.

쌀값은 지난 3월 이후 오름세가 이어져 왔다. 지난 2월 기준 쌀값은 5만4438원으로 전년 대비 2.5% 하락했지만, 3월 5만5237원으로 4.5% 올랐다. 이후 4월에는 전년 대비 7.9% 오른 5만4831원, 5월엔 4.1% 오른 5만6178원이었다. 5월 23일부터 한 달 넘게 쌀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5만9000원대를 넘겼다.

이는 지난해 날이 더워 쌀 생산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KREI)가 최근 발표한 ‘6월 쌀 가격 강보합세 전망’에 따르면 지난 3~4월 산지 유통업체의 벼 매입량은 8만5000톤(t)이다. 전년 대비 5000t 늘었다. 상대적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이 감소해 쌀 공급 부족 인식으로 가격이 오르는 구조가 형성된 셈이다.

산지 유통업체의 보유 재고도 예년에 비해 적은 편이다. 지난 4월 말 기준 전체 쌀 재고는 71만2000t으로 전년 대비 21만t 감소했다. 쌀 생산·유통 판매업체 대표 A씨는 “작년에 날이 너무 더워서 쭉정이가 많더니 결국 쌀 물량이 모자라서 함평·목포·영암·나주 등 산지를 직접 내려가서 쌀을 구해야 할 지경”이라며 “계속 이 상태로 가다가는 제일 싼 등급의 쌀도 20kg 당 5만원을 넘길 것”이라고 했다.

그래픽=손민균

이런 상황에서 쌀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전통주 제조업체는 쌀값 인상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쌀 가공협회로부터 할당받는 쌀 물량과 금액의 변동이 관건”이라며 “지금 당장 원가 부담을 제품 출고가에 반영할 가능성은 낮지만, 인상분에 따른 영향을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6~7년 전에 쌀값 폭등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한 적이 있다. 현재 상황을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제품 가격을 올리는 건 최후의 보루인 만큼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즉석밥·급식업계도 쌀값 동향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 실제 급식업체 등에 가장 많이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북 정읍산(産) 쌀이 5만원 안팎까지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즉석밥 생산 기업에 쌀을 납품하는 B씨는 “쌀값이 오른 상황이라 공급가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 회사와 조율해서 쌀 20㎏ 기준 2000원 정도 올렸다”며 “원가가 부담이 되니까 어쩔 수 없었던 결정”이라고 말했다. 급식업체 관계자는 “쌀값 상승으로 재료비 부담이 커진 건 사실”이라며 “통상적으로 고정가 계약을 하는 만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대부분의 업체가 산지와 연간 계약 재배로 농산물을 공급받고 있어 당장의 쌀값 인상으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쌀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만큼 향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쌀값이 언제까지 오를지가 관건”이라며 “오는 10월 추석 전까지 쌀값이 계속 오른다면 정부 차원에서 비축미를 푸는 등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도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쌀값이 오르면 농가 가계 소득에는 도움이 된다. 소비자와 생산자, 중간 유통·제조업체가 적정한 균형가(價)를 고민해봐야할 때”라며 “쌀값 인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제품 출고가 인상 혹은 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473 [속보]8조5000억원 규모 K2 전차 폴란드 계약…이재명 정부 첫 대형 수출 랭크뉴스 2025.07.02
50472 ‘최태원 어깨동무’ 장남, SK 떠나 ‘경영 수업’ 컨설팅 회사로 랭크뉴스 2025.07.02
50471 “반려견은 재산 아닌 가족”···법원 ‘개 물림 사고’ 위자료 전액 인정 랭크뉴스 2025.07.02
50470 무인기 침투·계엄 사후문건... 특검, 尹 2차 소환 앞두고 광폭 수사 랭크뉴스 2025.07.02
50469 "99%가 물" 가짜 휘발유에 車 10대 멈췄다…그 주유소의 진실 랭크뉴스 2025.07.02
50468 ‘신지 예비 남편’ 문원, 돌싱 고백… “딸도 1명 있어” 랭크뉴스 2025.07.02
50467 [단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안 뗀다… 에너지 이관은 복수안 보고 랭크뉴스 2025.07.02
50466 김건희 특검 수사 개시‥"여러 의문에 제대로 된 답 내겠다" 랭크뉴스 2025.07.02
50465 국가별 주문에 맞춰 변신하는 K2 전차… 韓방산, 40년 연구의 결과물 랭크뉴스 2025.07.02
50464 [속보] "신도 100여명 대피" 구리시 교회서 화재 발생…소방 대응 1단계 랭크뉴스 2025.07.02
50463 내란특검, 한덕수 10시간 가까이 조사 중 랭크뉴스 2025.07.02
50462 윤석열 법무 측근들, 계엄 이튿날 안가에서 ‘사후 문건’ 짜맞췄나 랭크뉴스 2025.07.02
50461 “반려견은 재산 아닌 가족”···법원 ‘개 물림 사고’ 위자료 지급 인정 랭크뉴스 2025.07.02
50460 "침 뱉고, 머리채 잡고"…'전 남편 살해' 고유정 근황 전해졌다 랭크뉴스 2025.07.02
50459 “솔직히 한심” “이재명 정부 인사 맞나”···검찰 인사 비판 수위 높이는 혁신당 랭크뉴스 2025.07.02
50458 민중기 특검팀, 김건희 여사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7.02
50457 충실 의무·전자 주총에 ‘3%룰’ 더한 진전된 상법···이재명 정부 한 달 만에 성과 랭크뉴스 2025.07.02
50456 차량 10여대 멈추게 한 '가짜 휘발유' 의심 주유소…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5.07.02
50455 K2 흑표 전차, 폴란드에 9조원 수출…K방산 사상 최대 계약 랭크뉴스 2025.07.02
50454 ‘신지 예비남편’ 문원, 돌싱 고백… “딸도 1명 있어“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