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 달 만에 내각 90% 지명…보름 만에 추경 편성하며 긴급처방
'리스크 관리' 본격 시험대 진입…청문정국·부동산 정책 성적표 관건


이재명 대통령 국무회의 발언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첫 한 달은 이전 정부들과 차원이 다른 '속도전'의 연속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외적으로 초고속 정상외교 데뷔전을 치른 것만이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국정 안정 및 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들이 숨 가쁘게 이어졌다.

아직 후보자 신분이긴 하지만 이 대통령 취임 30일을 하루 앞둔 2일까지 정부 1기 내각의 90%가 채워졌다.

이 대통령은 취임 첫날인 지난달 4일 곧바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한 데 이어 23일에는 10개 부처 장관을 지명하고 1개 부처 장관을 유임시켰다.

여기에 29일에는 6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추가로 발표하면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 장관을 제외한 초대 내각 후보자가 모두 지명됐다.

똑같이 인수위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권이 내각 지명 완료까지 54일 걸린 것과 비교해 봐도 속도감이 두드러지는 인선이다.

12·3 비상계엄 이후 장기화한 정부의 리더십 공백을 하루빨리 메워 국정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판단이 이 같은 행보의 배경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무총리를 포함해 8명의 현역 국회의원이 입각하고, 기업 출신을 대거 등용하거나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장관을 유임하는 등 파격 인사도 잇따랐다.

이 대통령 특유의 '일만 잘하면 가리지 않고 적재적소에 쓴다'는 실용주의적 관점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추경 시정연설 하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5.6.26 [email protected]


이 대통령은 민생·경제 정책에서도 가속페달을 밟았다.

당선 당일 1호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하고 같은 날 저녁 바로 첫 회의를 주재했다.

정부는 이 대통령 지시로 곧바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준비에 들어갔고, 보름 만인 6월 19일 30조5천억원 규모의 추경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 역시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로 인한 내수 부진과 미국발 관세 충격 등 대외 불안 요인이 겹치며 한국 경제가 위기라는 진단에 따라 '긴급 처방'에 나선 것이다.

이 대통령은 같은 달 26일 첫 국회 시정연설에서 "지금은 경제가 다시 뛸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설 때"라며 "경제는 타이밍"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 여당 의원들 박수 받으며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위해 본회의장에 입장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박수를 받으며 인사하고 있다. 2025.6.26 [email protected]


이처럼 지난 한 달은 그야말로 '전력 질주'의 시간이었다면, 이젠 '리스크'를 관리하며 내실을 기할 때라는 평가도 대통령실 안팎에서 나온다.

첫 시험대는 조만간 닥칠 청문 정국이 될 전망이다.

소수 야당이 된 국민의힘은 국회에서의 주도권을 상실하지 않기 위해 각 부처 장관 후보자의 능력과 도덕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벼르고 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이 과정에서 '출혈'을 최소화해야만 향후 각종 개혁 과제를 추진할 국정 동력도 배가할 수 있다.

코스피 지수가 3,000선을 돌파하는 등 모처럼 경기에 불어온 '훈풍'을 일회성이 아닌 실제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도 관건이다.

특히 진보 정부의 '아킬레스건'으로 여겨지는 부동산 문제의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진보 정부가 들어서면 집값이 오른다'는 통념 속에 치솟고 있는 서울 부동산 가격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느냐에 따라 이재명 정부 초반 경제정책의 신뢰도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은 그래서 나온다.

이에 대통령실은 지난달 말 금융당국이 '1호 부동산 정책'으로 내놓은 초강력 대출 규제에 따른 집값 추이를 주시하는 등 시장 반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440 안철수 "종기적출" 외치자…나경원 "통합" 윤상현 "뺄셈정치 혁파" 랭크뉴스 2025.07.02
50439 [단독]비비고마저…K브랜드 1만건 도둑 맞았다 랭크뉴스 2025.07.02
50438 내란 특검, 한덕수 안덕근 소환…김건희·순직 해병 특검 현판식 랭크뉴스 2025.07.02
50437 해병특검, 수사 첫날 임성근 4시간 조사…과실치사 혐의 추궁(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36 국힘 "자료미제출·위증 시 형사처벌"‥인사청문회법 개정안 발의 랭크뉴스 2025.07.02
50435 정청래·박찬대 "폭풍처럼 몰아쳐 끝 봐야"…고강도 檢개혁 예고(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34 서민 울리는 라면·달걀 가격… 소비자물가 2.2% 껑충 랭크뉴스 2025.07.02
50433 "부산 싫어? 목포나 울산 어때"‥긴급 진화에도 '거센 역풍' 랭크뉴스 2025.07.02
50432 국힘 송언석 “불법 비상계엄 사과”···혁신위원장엔 ‘탄핵 찬성파’ 안철수 내정 랭크뉴스 2025.07.02
50431 내년 최저시급 1만1260원?···소상공인들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랭크뉴스 2025.07.02
50430 [단독] 연회비 2600만원… 국립대병원의 ‘병실 장사’ 랭크뉴스 2025.07.02
50429 이명현 특검, 임성근 1호 소환... '채 상병 순직 경위'부터 저인망 수사 랭크뉴스 2025.07.02
50428 "전 보고하러" 가려던 유상범, 나경원-與의원 대화 듣더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7.02
50427 여야, '김민석 인준' 일촉즉발…'6억 돈다발'에 맞고발전 비화(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26 내란특검, 계엄 국무회의 재구성…한덕수·안덕근·유상임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425 "심우정, 尹석방 사과 없이 뻔뻔"‥"한덕수, 심각한 범죄 탄로?" [맞수다] 랭크뉴스 2025.07.02
50424 내란 특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423 방탄소년단, 내년 봄 컴백 및 월드투어… 외신도 관심 랭크뉴스 2025.07.02
50422 ‘개 식용 금지법’ 효과?…염소고기, 여름 보양식 새 강자로! [이슈픽] 랭크뉴스 2025.07.02
50421 [단독]김건희 특검팀, 김건희 출국금지···소환조사 일정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