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새벽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마련된 내란 특검팀 사무실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마친 뒤 귀가하고 있다. 뉴스1

조은석(60‧사법연수원 19기)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이 1일 추가 소환 일정에 응하지 않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향해 “오는 5일 오전 9시에 출석하라”며 ‘최후통첩’을 보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마지막 출석 통지”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 측도 의견서를 통해 5일 이후에는 출석에 응하겠다고 했다”며 “출석에 응하지 않는다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한 차례 특검팀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은 만큼 피의자 조사 목적의 강제수사 착수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로 예정된 특검팀의 추가 소환 조사 일정에 응하지 않았다. 박 특검보는 전날에도 “윤 전 대통령이 출석에 응하지 않는다면 형사소송법이 정한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하겠다”라며 “체포영장이 될 수도 있고, 그다음 단계가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28일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해 첫 피의자 조사를 진행한 뒤 “30일 오전 9시에 출석하라”고 통지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 측은 기일 변경을 요청했고, 특검팀은 일부 수용해 ‘1일 오전 9시’로 일정을 다시 통지했다.

조은석 내란 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서 추가 조사를 위해 출석하라고 지정한 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 앞에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자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전날 오후 4시쯤 특검팀에 의견서를 제출해서 “1일에 특검팀에 출석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 지귀연) 심리로 오는 3일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이 열리는 만큼 오는 5일이나 6일로 출석 일정을 변경해 달라는 것이다. 변호인단은 의견서에서 “3일 열릴 재판은 온종일 증인 신문이 진행될 예정이고, 윤 전 대통령의 건강상 문제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의 소환 일정 변경 요청을 거절했다. 이에 따라 이날 소환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출석하지 않은 건 정당한 이유 없는 ‘소환 불응’으로 봤다. 특검팀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번에도 나오지 않으면 바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특검팀의 출석 통지에 응할지 논의를 거듭하고 있다. 체포영장 등 강제수사 상황은 피해야 한단 기류도 흐른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은 “특검팀의 무리한 수사와는 별개로 전직 대통령에 대한 강제수사는 최대한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지난달 30일 내란 특검팀 소환 조사를 받은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특검팀은 전날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진술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강 전 실장은 특검팀 조사에서 비상계엄 선포 이틀 뒤인 지난해 12월 5일 새로운 계엄 선포문을 작성하고, 기존에는 없었던 국무총리‧국방부 장관의 서명란을 추가한 정황을 진술했다. 강 전 실장은 윤 전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한 측근으로 분류된다.

특히 특검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새로 만들어진 계엄 선포문 문건에 서명했다가 이후 ‘없던 일로 하자’고 요청했고, 해당 문건이 폐기된 정황을 포착했다. 특검팀은 강 전 실장 진술 등을 토대로 비상계엄 계획에 실패한 윤 전 대통령 측이 계엄 선포 과정의 절차적 흠결을 지우고, 처벌을 피하기 위해 사후 문서를 만들려 했는지 의심하고 있다. 또한 한 전 총리가 앞서 국회‧수사기관에서 “비상계엄 관련 서명을 하지 않았다”고 발언했던 만큼 한 전 총리를 소환해 진술 신빙성 및 당시 선포문 서명 경위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82 반려견 건강검진 270만원···'서울대' 내건 검진센터의 법 취지 위반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81 ‘미성년자와 성관계’ 혐의 현직 경찰관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80 9급 공무원 시험, 과목당 문항 20→25개로 늘어난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9 [단독] 심우정, 대통령실에 전화해 사의표명…'신중한 검찰개혁' 의견 전달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8 "편히 가려고 왔는데"...60일마다 '병원 찾아 삼만리' 떠나는 까닭은 [유예된 죽음]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7 내란 특검, “북 무인기 침투, 윤석열 지시” 녹취록 확보…외환 혐의 수사 본격화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6 심우정, 퇴임사로도 검찰개혁 딴지…“정상적 역할 폐지 옳은 길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5 "헌법84조 적용 李대통령 재판중단 위헌" 헌법소원 잇단 각하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4 “70세 이상도 회원권 살 수 있어야” 인권위, ‘노시니어존’ 골프장에 권고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3 尹 혐의 다지는 내란특검…국무위원 줄소환·평양무인기도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2 ‘혁신위원장’ 안철수 “코마 상태 국민의힘…여전히 자연치유 믿어”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1 나무 140그루 껍질 벗겨간 50대 검거… 박피된 나무는 ‘치료중’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70 내란 특검, 한덕수 전 총리 소환…내란 방조 물음에 침묵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9 김병기 "이제 검찰개혁의 시간‥심우정, 개혁 대상이 개혁 걱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8 김병기 “윤석열 탈옥 도운 심우정…개혁 대상이 개혁 걱정, 뻔뻔”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7 정성호 “검찰 개혁 공감대 있어”…‘사의’ 심우정 “신중한 논의 필요”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6 코스피, 美 기술주 하락·관세 우려 재부각에 장중 1% 약세… 외인 ‘팔자’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5 [단독]국방부, 채상병 특검에 박정훈 재판 이첩 완료···특검, 항소취소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4 김건희 특검팀 현판식, 본격적인 수사 개시…“여러 의문에 답할 것”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7.02
50263 라면·달걀값 줄줄이 급등… 체감 물가 자극하는 ‘밥상 물가’ new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