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잘못된 법, 산업 어떻게 망쳤나]
양도세·종부세 강화 '풍선효과'
똘똘한 한채 등 양극화만 심화
"공급 대책·건설 규제완화 필요"
서울 아파트 시내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강력한 6·27 부동산 대책 발표와 함께 시장 규제론자인 이상경 가천대 교수가 국토교통부 차관에 임명되면서 이재명 정부에서도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 등 강력한 부동산 규제가 뒤따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문재인 정부 시절 다주택자에 대한 ‘징벌적 부동산 세제’가 똘똘한 한 채로 대표되는 강남 3구의 집값 광풍을 불러온 만큼 새 정부가 현실적인 공급 대책을 겸비한 부동산 복합 처방을 내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일 KB국민은행의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강남 11개 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7억 3223만 원으로 강북 14개 구의 9억 8876만 원 대비 7억 4347만 원 높았다. 강남권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17억 원을 돌파한 것은 KB국민은행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최초다.

전문가들은 집값의 초양극화 현상은 문재인 정부의 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 취득세 인상과 윤석열 정부의 부족했던 공급 시그널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권대중 서강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강남 집중 현상과 더불어 다주택자에 대한 과도한 세제 정책이 주택 양극화 현상의 원인”이라며 “주택 세제 정책의 기초 틀을 다시 세우고 규제 완화와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공급 주체인 건설사에 대한 규제 완화도 필수적이다. 하지만 건설사에 대한 원시 취득세 부과, 제로 에너지 의무화,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등은 건설사의 수익성 악화와 더불어 주택 물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재건축 수익성을 하락시키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역시 서울 내 정비사업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건설 업계 관계자는 “공급의 핵심은 사업성”이라며 “건설사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지 않는다면 선별 수주가 이어지며 강북과 서울 외곽 등의 공급 확대가 요원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32 내란 특검, 김주현 전 민정수석 소환…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4
51131 [속보] 지하철 2호선 운행 지연…서울대입구역 신호 장애 랭크뉴스 2025.07.04
51130 우크라 생명줄 ‘패트리엇’ 끊은 미국… 유럽 부담 커졌지만 대체재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4
51129 ‘신지 예비남편’ 문원, 사생활 의혹 직접 해명 [잇슈 컬처] 랭크뉴스 2025.07.04
51128 ‘배 타고 출·퇴근’ 한강버스, 9월 운항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7.04
51127 [단독]캠코, 서민 채무조정 거부율 민간 카드사들보다 10배 더 높아 랭크뉴스 2025.07.04
51126 [단독] 여야 ‘추경 협상’ 최종 결렬…여당, 오늘 단독 의결할 듯 랭크뉴스 2025.07.04
51125 ‘오겜3’ 중국서 또 불법시청 논란…서경덕 “조치 시급” 랭크뉴스 2025.07.04
51124 어린이체험관 놀러 갔다가... 3세 여아, 직원 차량에 치여 숨져 랭크뉴스 2025.07.04
51123 트럼프 “4일부터 각국에 관세율 적은 서한 보낼 것” 랭크뉴스 2025.07.04
51122 "방 빼달라"…공급 급한 3기 신도시, 공장·군부대 이전 속도낸다 랭크뉴스 2025.07.04
51121 5월 경상수지 101.4억달러…수입감소 등에 25개월 연속 흑자 랭크뉴스 2025.07.04
51120 트럼프 "이르면 4일부터 관세율 적은 서한 각국에 보낼 것" 랭크뉴스 2025.07.04
51119 "매일 이렇게 자는데"…충전기 꽂은 휴대폰, 여기 두면 '큰일' 난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4
51118 설계도엔 버젓이 관저 ‘골프연습장’…“나무로 은폐하라” 랭크뉴스 2025.07.04
51117 3억 원 더 올린다고?…대출 규제 이후에도 “살 사람은 많다?” 랭크뉴스 2025.07.04
51116 트럼프 “4일부터 각국에 관세율 통보”…100개국 10% 적용될 듯 랭크뉴스 2025.07.04
51115 트럼프 “푸틴과 전화 통화, 휴전 논의 진전 없어” 랭크뉴스 2025.07.04
51114 ‘새벽총리’ 김민석의 첫 일정은··· ‘송미령 반대’ 농민단체 농성장 방문 랭크뉴스 2025.07.04
51113 급전 끊길라… 서민상품, 신용대출 한도 제외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