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일성]
'수사·기소 분리' 재확인하면서도
'국민 눈높이'와 '여야 합의' 강조
검사 사법 통제 기능 등 열어놓고
속도 조절하며 가계 의견 수렴할 듯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일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일 첫 출근길에서 검찰개혁과 관련해 "'검찰 조직의 해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해당사자와 소통 및 여야 합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검찰 조직 자체를 적으로 몰아세우기보다는 적절한 개혁 방안이 무엇인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는 취지다. 여당 내 강경파 주장대로 속도전을 벌이기보다는 각계 의견을 수렴하며 구체적인 방향을 정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쏠린다.

과격 표현엔 선 긋기… 檢과도 소통 강조



정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검찰 체계에 변화를 바라는 기대가 많다"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춘 검찰개혁과 사법체계 변화를 고민해야 할 입장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차분하게 고민하고 준비하겠다"고 후보자 지명 소감을 밝혔다. 정 후보자는 국회 청문회를 통과하면 봉욱 대통령실 민정수석 등과 함께 이재명 정부의 검찰개혁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가 후보자 지명 후 공개석상에서 관련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정 후보자는 과격한 표현에 선을 그었다. 그는 '검찰 해체와는 거리를 둔 조직개편에 중점을 두는 것이냐'는 질문에 "'검찰 조직의 해체' 이런 표현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여권 강경파가 '검찰 해체 수준의 개혁'을 주장하는 것과는 결이 다른 얘기다. 그는 대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수사 기소 분리, 검찰의 집중된 권한 재배분에 대해선 어느 정도 국민 공감대가 있다. 장관에 임명되면 입장을 상세히 말하겠다"고 덧붙였다.

소통도 강조했다. '검찰 내부 반발이 예상되는데 어떻게 소통할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극소수의 정치편향적 검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검사들이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책임감과 자부심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시대 변화에 따른 국민들의 요구를 검사들도 잘 안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국회의원 중 소통을 가장 잘한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관계 당사자들과 소통하면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검찰개혁 법안 신속처리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대해선 "법사위에서 여야 의원들이 차분하게 정해야 하고 이해 당사자들 의견을 취합해야 한다"고 답했다.

'수사 기소 분리' 원칙 두되 세부 내용은 협의 몫으로



정 후보자 발언을 종합하면 '수사·기소 분리'라는 원칙을 내세우되, 그 세부 내용은 시간을 두고 여러 목소리를 들어가며 정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수사·기소 분리 및 기소권 남용에 대한 사법통제 강화'를 내세웠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말을 아낀 것과 일맥상통한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검찰청법 폐지안, 공소청 설치법안, 중대범죄수사청 설치법안, 국가수사위원회 설치법안 등 '검찰개혁 4법'을 발의한 상태지만, 당정 협의 과정에서 내용이 조정될 가능성도 다분하다. 현재 발의된 공소청법 등에 따르면 검사는 직접 수사는 물론 송치받은 사건에 대한 보완 수사나 수사지휘를 통한 수사 관여도 할 수 없다. 하지만 검사의 수사 관여를 완전히 차단하는 게 적절한 개혁 방향인지에 대해선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다. 이진수 법무부 차관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해 "검찰청 업무가 수사와 기소 분리의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점에 대해선 공감한다"면서도 '민주당의 검찰개혁 법안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충실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검찰개혁 논의 과정에서 문재인 정부의 검·경 수사권 조정 때 폐지된 '경찰의 모든 사건 송치' '검사의 수사지휘권' 등이 다시 거론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봉 민정수석은 검사와 변호사 시절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는 대폭 축소해야 한다"면서도 "사법통제 기능은 보장해야 한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검찰 수뇌부 역시 줄곧 '일부 직접수사 기능 유지'와 함께 '사법통제 기능 강화' 필요성을 주장해온 만큼, 당정 간 논의로 의견차를 좁혀야 할 전망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80 태국 ‘늑대소년’ 개 6마리와 자라 “말 못하고 짖기만” 랭크뉴스 2025.07.03
50879 이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878 "연봉 1.6억에 격주 '주 4일제'인데"…'신의 직장' SKT, 퇴사 늘어난 이유가 랭크뉴스 2025.07.03
50877 "남북 대화 단절은 바보짓…한미공조 바탕 관계 개선" 랭크뉴스 2025.07.03
50876 “조국 사면” 요청에 이 대통령 즉답 안 해…비교섭 야5당 회동 랭크뉴스 2025.07.03
50875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검찰개혁 자업자득” 이 대통령, 개혁 드라이브 예고[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874 군 검찰 "박 대령, 항명죄" 의견서‥박 대령 측 "800-7070 확인부터" 랭크뉴스 2025.07.03
50873 "살까? 말까?" 올 2분기 가장 핫한 아파트가 '여기?' 랭크뉴스 2025.07.03
50872 [단독] 삼수 끝에 들어간 '하이브 상장' 압수수색‥논란의 방시혁 4천억 원 [인싸M] 랭크뉴스 2025.07.03
50871 한성숙, ‘23억’ 네이버 주식 전량 매각…이해충돌 선제 차단 랭크뉴스 2025.07.03
50870 이정재 "'오겜3' 결말보고 감독 용기에 놀라…에미賞 기대 안해" 랭크뉴스 2025.07.03
50869 與, 野 반발 속 김민석 단독 인준…野, 상법엔 절반이 반대·기권 랭크뉴스 2025.07.03
50868 장관 자리 위해 '주식 23억' 팔다…한성숙 "네이버 주식 매각" 랭크뉴스 2025.07.03
50867 서울 아파트값 ‘주춤’? 규제 영향은 ‘아직’…전문가에게 물었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3
50866 [속보] 1만1140원 vs 1만130원…최저임금 5차 수정안 랭크뉴스 2025.07.03
50865 [단독] ‘깜깜이’ 국정원 예비비 지출, 작년 한해 6400억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7.03
50864 '李정부 첫 총리' 김민석 인준안 국회 통과…국힘은 표결 거부(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863 국힘, 이재명 대통령 회견에 "현실 진단 부족‥낯 뜨거운 자화자찬" 랭크뉴스 2025.07.03
50862 '조국, 광복절 특사' 野5당 건의 나오자…李대통령 즉답 피했다 랭크뉴스 2025.07.03
50861 ‘삼부토건 주가조작’부터 건드린 김건희 특검팀, 첫 압수수색 의미는?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