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주가지수가 큰 폭 상승하고 있지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셀트리온 주가는 박스권에 머물면서 시가총액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특히 셀트리온은 주가 부양을 위해 올해에만 7차례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지만, 주가에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례적인 상승장에 셀트리온이 소외된 모습을 보이자 소액 주주들은 단체 행동을 예고하며 서정진 회장 일가에 화살을 돌리고 있다. 셀트리온의 주가가 낮은 이유는 2세 승계 작업 때문이라며 소액 주주들이 규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30일 셀트리온 주가는 15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정규장 기준). 이달 코스피 지수가 10% 넘게 오르는 동안에도 셀트리온은 16만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최근 6개월로 시계를 넓혀보면 코스피 지수가 28% 오르는 사이 셀트리온 주가는 오히려 11% 하락했다.

바이오 업종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셀트리온이 주가 부양을 명목으로 올해에만 7차례에 걸쳐 약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걸 고려하면 회사의 주가 부진은 유독 두드러진다.

인천시 연수구에 있는 셀트리온 공장 모습./뉴스1

소액 주주들은 주가 부진의 화살을 서정진 회장 일가의 승계 문제로 돌리고 있다. 서 회장이 최근 공식 석상에서 승계를 언급하자 소액 주주의 불만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서 회장은 지난 5월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유고 시 “회사 절반은 국가가 가져가고 절반은 2세에게 갈 것”이라며 과도한 상속세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동시에 상속 계획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회사가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자사주 매입과 관련해서는 “주가 방어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며 “상속세는 어차피 내야 하는 것이고, 오너 2세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게 하는 방법이 제 지분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했다. 회사가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하면 기존 주주의 지분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것을 언급한 것이다.

앞서 서 회장은 2년 전 기자회견에서 “자사주 취득과 승계는 연결고리가 없다”면서 “증여세로 몇조원은 내야 할 것이기에 승계할 방법이 없다. 이렇게 회사가 성공할 줄 몰라서 상속 준비를 안 했다”고 했었다. 지난 2년 동안 승계, 상속과 관련해 상당한 태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셀트리온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서 회장이 있다. 서 회장이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 지분을 98.1% 보유하고 있고,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 주식 22.9%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서 회장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승계할 경우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이 핵심인데,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가치는 보유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소액 주주들이 셀트리온의 낮은 주가와 승계를 연결해 생각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지난해 다수 주주의 반대로 한차례 무산됐지만, 셀트리온이 셀트리온제약과 합병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주주들에게 부담 요인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023년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한 데 이어 지난해 셀트리온제약의 합병을 추진했다. 하지만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비율을 놓고 셀트리온 주주의 반대가 거셌고, 주주 반대로 합병은 무산됐다.

증권 업계에서는 아직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셀트리온 2024회계연도 연결기준 실적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성적표였다. 지난해 셀트리온 매출액은 3조5573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전년대비 24%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적었던 이유는 판관비 때문”이라며 “당초 합병효과로 PPA 상각비용이 제거되면 판관비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신약 연구개발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판관비가 기대보다는 감소하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88 "바닥에 물 흘러내려 깜짝"… 보령해저터널 4년째 축축, 왜 [르포] 랭크뉴스 2025.07.02
50287 태양광 힘입어…국내 화석연료 발전 비중 첫 50% 밑으로 랭크뉴스 2025.07.02
50286 “신용도 줄하향” 美 관세·中 공급과잉에 흔들리는 석유화학업 랭크뉴스 2025.07.02
50285 심우정 검찰총장 오늘 사퇴‥"검찰 본연 역할 변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2
50284 11세 어린이, 장기 기증으로 3명 살려 랭크뉴스 2025.07.02
50283 내란 특검, 한덕수 안덕근 소환…김건희·순직해병 특검 현판식 랭크뉴스 2025.07.02
50282 반려견 건강검진 270만원···'서울대' 내건 검진센터의 법 취지 위반 논란 랭크뉴스 2025.07.02
50281 ‘미성년자와 성관계’ 혐의 현직 경찰관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7.02
50280 9급 공무원 시험, 과목당 문항 20→25개로 늘어난다 랭크뉴스 2025.07.02
50279 [단독] 심우정, 대통령실에 전화해 사의표명…'신중한 검찰개혁' 의견 전달 랭크뉴스 2025.07.02
50278 "편히 가려고 왔는데"...60일마다 '병원 찾아 삼만리' 떠나는 까닭은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2
50277 내란 특검, “북 무인기 침투, 윤석열 지시” 녹취록 확보…외환 혐의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2
50276 심우정, 퇴임사로도 검찰개혁 딴지…“정상적 역할 폐지 옳은 길 아냐” 랭크뉴스 2025.07.02
50275 "헌법84조 적용 李대통령 재판중단 위헌" 헌법소원 잇단 각하 랭크뉴스 2025.07.02
50274 “70세 이상도 회원권 살 수 있어야” 인권위, ‘노시니어존’ 골프장에 권고 랭크뉴스 2025.07.02
50273 尹 혐의 다지는 내란특검…국무위원 줄소환·평양무인기도 수사 랭크뉴스 2025.07.02
50272 ‘혁신위원장’ 안철수 “코마 상태 국민의힘…여전히 자연치유 믿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2
50271 나무 140그루 껍질 벗겨간 50대 검거… 박피된 나무는 ‘치료중’ 랭크뉴스 2025.07.02
50270 내란 특검, 한덕수 전 총리 소환…내란 방조 물음에 침묵 랭크뉴스 2025.07.02
50269 김병기 "이제 검찰개혁의 시간‥심우정, 개혁 대상이 개혁 걱정"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