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가 미국, 일본, 러시아, 유엔,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에 주재하는 공관장에게 이임 지시를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교체된 뒤 재외 공관장에 대한 재신임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이를 고려해도 속도감 있는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 뉴스1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은 30일 중앙일보에 “주요국에 나가 있는 일부 공관장에 대해 2주 정도 내에 준비를 마무리하고 이임하라고 지시가 내려왔다”고 말했다. “특임 공관장 전부, 정년퇴직 연령이 지났거나 임박한 공관장도 대상으로 알고 있다”면서다. 지시가 내려진 시점은 지난 27일 무렵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조현동 주미·박철희 주일·이도훈 주러 대사와 황준국 주유엔대표부 대사가 포함됐다. 정재호 전 주중 대사는 이미 올 초 이임하고 귀국해 대상에서 빠졌지만, 사실상 미·중·일·러와 유엔, 이른바 5강 대사 전원이 대상인 셈이다. 윤여철 주영국 대사와 문승현 주프랑스 대사도 이임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또다른 소식통은 “지시를 받은 공관장들은 현지 사정에 따라 7월 초순에서 중순 사이에 귀국할 예정”이라며 “정년을 채운 일부 공관장은 귀임 지시를 받고 이미 국내에 들어온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외교부는 대사관·영사관·대표부 등 총 171개의 재외공관을 운영하고 있다.

통상 새 정부가 출범하면 1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들에 대해 재신임 절차를 진행하곤 한다. 재외 공관장 역시 마찬가지다.

이재명 정부와 마찬가지로 조기 대선으로 지난 2017년 5월 10일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경우 한 달 여 지난 2017년 6월 20일 재외공관장 전원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하라고 했다. 다만 당시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취임한 뒤 강 장관의 지시에 따라 이뤄진 조치였다. 이번에는 속도가 다소 빠르다는 이야기도 그래서 나온다.

2주라는 시한은 이임 준비에 촉박한 측면도 있다. 재외공관장은 각국에서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만큼 떠날 때도 주재국 주요 인사들을 만나 적절한 형식을 갖춰 ‘고별’하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 대상이 된 공관장 상당수는 한국의 주요한 외교 상대국에 주재 중이라 접촉할 대상도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일정도 잡히기 전 주요 공관장 이임 조치가 이뤄지는 건 비상 계엄 사태로 얼룩진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공관장이 주재국에서 이재명 정부를 대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에는 1급 이상 일괄 사표 제출 지시도 아직 없고, 공관장에 대해서만 이임 조치를 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새 정부의 장·차관급 인사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을 공유하는 인사들로 주요국 공관장을 채울 필요성도 작용했을 수 있다. 5강 대사는 장관급 직위로 본다. 다만 대통령이 임명하는 특명전권대사는 아그레망(주재국의 임명 동의)을 받는 데 다소 시일이 소요된다. 이번에 이임 대상이 된 공관장이 이끌던 대사관에서는 상당 기간 대사대리가 업무를 대행하는 체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바뀌어도 이른바 ‘늘공’에 해당하는 공관장은 일정 기간 직을 유지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특임 공관장은 여지 없이 교체되곤 한다. 현재 미·러·유엔 주재 대사는 모두 직업 외교관 출신이지만, 현직에서 퇴임한 이후에 대사로 임명됐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특임 공관장으로 분류된다. 영국과 프랑스 대사 역시 마찬가지다. 박철희 주일 대사는 교수 출신으로 특임 공관장에 해당한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43 10년 뒤 북극 얼음 녹아도···이재명 정부 ‘북극항로’ 구상 앞의 삼중벽[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7.02
50142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 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41 [단독]안동 병산서원 ‘윤석열 기념식수비’ 감쪽같이 사라졌다 랭크뉴스 2025.07.02
50140 '영끌' 틀어막기…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랭크뉴스 2025.07.02
50139 '심정지 1시간' 아빠, 간호사 자매는 연명의료를 선택했다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2
50138 자영업자 소득, 월급쟁이와 다른데…국민연금 재정전망 착시우려 랭크뉴스 2025.07.02
50137 [단독]기재부 ‘예산처·재경부’로 쪼갠다···국정기획위, 분리안 사실상 확정 랭크뉴스 2025.07.02
50136 군함도 세계유산 10년에도…日, '강제노동 설명' 약속 지속 외면 랭크뉴스 2025.07.02
50135 '윤 석방·비화폰'의 주역‥결국 '법복' 벗었다 랭크뉴스 2025.07.02
50134 [2025 중앙재테크박람회] "서울 집값 초과열 상태…고강도 대출 규제로 빠르게 식을 것" 랭크뉴스 2025.07.02
50133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2 '시청역 참사' 꼭 1년 만에 또…전기차 돌진에 울타리 뽑혀나가 랭크뉴스 2025.07.02
50131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고려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0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랭크뉴스 2025.07.02
50129 그들에겐 수도권이 천국이었다…마침내 드러난 러브버그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128 李 "주택이 투자·투기수단 됐다"…대안으로 '주식' 꺼낸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127 법사소위, 오늘 상법 개정안 심사…여야 합의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2
50126 사랑의 묘약? 미의 표현?…15세 신라여인은 왜 ‘비단벌레 금동관’ 썼나[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2
50125 尹이 박박 기던 무명검사 때, 조은석은 펄펄 날던 스타였다 [특검 150일 ①] 랭크뉴스 2025.07.02
50124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