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윤 정부 인사 논란 반면교사로
오광수·이승엽 등 과감히 뜻 접어
‘즉시 전력감’ ‘무더기 인선’도 특징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와 취임 후 첫 통화를 하고 있다. 양 정상은 올해 한·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뜻을 모았다. 대통령실 제공

‘안 되면 어쩔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한 달 동안 보인 용인술은 이렇게 한 줄로 요약된다. 임명 인사에 대한 논란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고집부리지 않고 과감하게 정리하고 넘어간다는 것이다. 여론에 민감한, 고집 없는 스타일이 뜻밖이란 정치권 평가가 적지 않게 나온다.

이 대통령은 사법연수원 동기(18기)이자 ‘검찰·사법 개혁’이란 주요 국정과제를 이끌 첫 민정수석으로 오광수 변호사를 발탁했지만, 재산 관련 의혹이 커지자 임명 5일 만에 사표를 수리하며 논란을 정리했다. 이 대통령은 여권 일부가 오 전 수석의 ‘검찰 특수통’ 출신을 문제 삼자 직접 설득에 나서기도 했었다. 하지만 여러 의혹이 추가 제기되자 민심의 선을 넘었다고 판단하며 뜻을 거둬들였다.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최종까지 유력 거론됐던 이승엽 변호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 변호사는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위증교사,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 등을 변호했던 이력으로 논란이 됐다. 본인이 고사하자 대통령실도 뜻을 굽히고 임명을 포기했다.

이 대통령은 인사 대상자와 관련해 논란이 불거질 경우 국민 눈높이에서 벗어나는지를 주변에 폭넓게 물어보며 의견을 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재명정부가 표방하는 국민주권정부의 특징은 끊임없이 주권자 의사를 묻고 반영하는 것”이라며 “타운홀미팅을 주재하고 SNS를 적극 활용하는 것처럼 항상 소통한다는 점에서는 인사행정 영역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정권 초반 인사 논란으로 조기에 국정 동력을 상실했던 과거의 실기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실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자녀 입시비리’ 의혹 등 논란에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을 고수했다가 역풍을 맞아 지지율이 급락했다. 그렇게 임명한 조 전 장관도 결국 재임 36일 만에 사퇴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역시 여소야대 상황에서 여러 인선을 자기 뜻대로 밀어붙이다 정권에 독선적인 이미지만 누적시켰다는 평가다.

‘무더기 인사’도 특징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지난 29일 6명, 지난 23일 11명의 장관 후보자를 한꺼번에 지명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인사가 만사”라고 강조해온 만큼 인사청문회 생존율을 높이고 잡음을 최소화해 인선의 신속한 완료를 꾀하는 전략이란 분석이다.

여권 관계자는 “문재인정부 때 3명씩 찔끔찔끔 인사 발표를 해 ‘한 명만은 낙마시키자’는 식으로 접근하는 야당에 무방비로 당했다”며 “이번엔 그런 전례를 반면교사 삼아 여유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인식도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정부인 만큼 바로 실무에 투입할 ‘즉시 전력감’ 인선을 진행했다는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인 경제·산업 영역엔 기업인·관료 출신이, 정권 차원의 각종 개혁을 추진해나갈 정무적 영역엔 현역 의원들이 대거 배치됐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971 李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통화…방산협력 강화(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970 "이제 바가지 안 씌워요"…믿어달라는 제주도, '회심의 카드' 또 내놨다 랭크뉴스 2025.07.03
50969 李대통령 "24시간이 모자라"…참모진 '체념' 표정 화제 랭크뉴스 2025.07.03
50968 분당·평촌 아파트값만 올랐다… 1기신도시 선도지구 지정 후 희비 갈려 랭크뉴스 2025.07.03
50967 "맨날 이렇게 자는데"…충전기 꽂은 휴대폰, 여기 두면 '큰일' 난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3
50966 “경제위기 극복이 최우선 과제” 김민석 신임 총리 임명 랭크뉴스 2025.07.03
50965 도봉구 사거리서 택시 인도로 돌진…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3
50964 이상민 전 장관 자택서 돈다발 발견?…"에르메스 가방 안에 놀랄 만큼 거액이" 랭크뉴스 2025.07.03
50963 김건희 특검, 도이치·명태균 제치고 ‘삼부부터’ 왜? 랭크뉴스 2025.07.03
50962 "60% 지지율 높은 숫자 아냐‥'여대야소' 지형은 국민의 선택" 랭크뉴스 2025.07.03
50961 교사가 초등학생과 사랑? 논란의 웹툰, 결국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7.03
50960 이 대통령 "독도는 대한민국의 명확한 영토"‥"관세 협상, 쉽지 않아" 랭크뉴스 2025.07.03
50959 이진숙 장관 후보자, 교수 재직 시절 논문 2편 ‘판박이’ 논란 랭크뉴스 2025.07.03
50958 취임 30일 기자회견…“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957 [영상] 두 딸 두고 일 나간지 고작 30분…8살, 6살 자매 불길에 '또' 랭크뉴스 2025.07.03
50956 "23억 네이버 주식 다 판다"…한성숙, 중기부 장관 위해 결단 내렸다 랭크뉴스 2025.07.03
50955 도봉구서 택시가 인도 덮쳐 보행자 1명 사망… 또 '닮은꼴' 사고 랭크뉴스 2025.07.03
50954 “비상계엄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던 김용원, “권력 남용이다” 입장 선회 랭크뉴스 2025.07.03
50953 ‘오징어 게임’ 이정재가 말하는 “마지막 끝맺지 못한 대사의 의미는…” 랭크뉴스 2025.07.03
50952 "맥주 4캔 만원 아니라 6캔에 만원?" 주문 폭주하자…CU, 파격할인 하루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