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준, 미래 안 보고 발 끝만 본다” 비판
인플레이션 둔화해 국채 금리 낮아질 것
파월 의장 후임 “연준 내 고려 인물 있어”
외부 지명 시 내년 1월 이사 임기 시작 전망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27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의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이 거센 가운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비판 대열에 동참했다.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이 나타나지 않음에도 연준이 그저 움츠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베선트 장관은 아울러 파월 의장의 후임과 관련 연준 내·외부 인물이 모두 검토되고 있으며, 외부 인물이 지명될 경우 내년 1월 연준 이사로 우선 임명될 수 있다는 구상을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30일(현지 시간) 블룸버그TV인터뷰에서 연준의 금리 관망(wait-and-see) 기조에 대해 “지금 (연준은) 운전대를 잡고 있으면서도 얼어붙어있는 상태인 것 같다”며 “2022년에 미국 국민들에게 실망을 안겼는데, 연준은 (지금도) 앞을 보기보다는 자기 발끝만 내려다 보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관세보다 더 일시적(transitory)인 것은 없다”고 말했다.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지금도 없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는 이같은 판단을 바탕으로 장기 시중 금리도 점점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베선트 장관은 10년물 국채 금리의 연말 께 전망을 묻는 질문에 “인플레이션이 내려가는 것을 보면 금리 곡선 전체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신중한 금리 행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파월 의장에 대해 “어리석고 고집 센 사람”, “직책에 비해 지능이 낮은 사람” 등 강도 높은 비난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그의 후임으로) 3~4명을 살펴 보고 있다”며 의장 조기 지명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내년 5월 의장 임기가 만료된다.

베선트 장관은 파월 의장의 후임 구상에 대해 두 가지 가능한 선택지를 설명했다. 하나는 현재 연준 이사 가운데 한 명을 의장으로 선정하는 방안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와 관련 “분명히 현재 연준에는 후임으로 고려하는 인물이 있다”고 말했다. 월가에서는 7월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차기 의장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또 다른 옵션은 내년 1월 이사직이 끝나는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의 빈 자리에 새 의장이 될 인물을 앉히는 방안이다. 베선트 장관은 “1월에 14년 임기의 자리가 열린다”며 “그 자리에 임명된 인물이 5월에 파월 의장이 물러난 후 의장이 되는 아이디어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할 수 있냐는 질문에는 “그건 트럼프 대통령에 달려 있으며 난 어떤 국가에도 (유예가 가능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우리와 신의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은 만약 우리가 그들의 저항 때문에 결승선을 넘지 못한다면 우리가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08 [단독] 대통령실, 대미협상 '컨트롤타워TF' 만든다... 트럼프 협상 종합관리 랭크뉴스 2025.07.03
50607 美-베트남 무역합의…"베트남산 상호관세 46→20%·미국산 '0%'"(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3
50606 [속보] 뉴욕증시, 미-베트남 무역합의에 상승…S&P 500 최고가 경신 랭크뉴스 2025.07.03
50605 갑자기 찾아온 광복…통합 외친 김구 "친일파 처리는 이렇게" [창간 60년 연중기획③] 랭크뉴스 2025.07.03
50604 2분 고민하고 아빠는 지옥의 2주를 보냈다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3
50603 국회, 오늘 김민석 인준 표결…합의 처리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3
50602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정부, 카드론도 제한 랭크뉴스 2025.07.03
50601 빠르게 문제 해결하는 '행정가 대통령'... "포퓰리즘은 경계를" [이 대통령 취임 1달] 랭크뉴스 2025.07.03
50600 "월급 받으며 회사 탈탈 털었다"…전세계서 2조원 훔친 직원, 누구길래? 랭크뉴스 2025.07.03
50599 [단독] 최상목·이상민 출국금지…한덕수 14시간 소환조사 랭크뉴스 2025.07.03
50598 李대통령, 오늘 '취임 한달' 기자회견…"질문에 겸허히 답할 것" 랭크뉴스 2025.07.03
50597 '카페인' 때문에 숨진 게 아니었다?…30대 호주 여성 사망 사건의 전말 랭크뉴스 2025.07.03
50596 "이스라엘을 위해 일어나라"…과거 SNS 영상에 미스 인도네시아 결국 랭크뉴스 2025.07.03
50595 "스페이스X 우주선 폭발 잔해물, 멸종위기 거북 심각하게 위협" 랭크뉴스 2025.07.03
50594 가상화폐 업체 리플, 은행 인가 신청…"스테이블코인 신뢰 제고" 랭크뉴스 2025.07.03
50593 거짓말 아니었네…"이란, 수중 폭탄 설치해 호르무즈 봉쇄 시도" 증언 나와 랭크뉴스 2025.07.03
50592 감옥에서도 애인 걱정한 '범죄자' 두테르테…"신용카드 많은 딴 남자 찾으렴" 랭크뉴스 2025.07.03
50591 페달 잘못 밟은 80대, 휴게소 덮쳐 10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7.03
50590 김치 14% 커피 12% 라면 7%…6월 물가상승률 올들어 최고 랭크뉴스 2025.07.03
50589 밀레이 견제?…브라질 룰라, '가택연금' 아르헨 前대통령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