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란 현지 청년 인터뷰]
“공습 멈췄지만 언제든 또 공격 올 듯
피난 가려면 돈 필요…갈 곳도 없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에서 장사를 다시 시작한 상인과 장을 보는 사람들 모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종일 울리던 굉음이 멈췄고, 사람들은 다시 테헤란으로 돌아오고 있어요. 하지만 새벽에 터지던 폭탄 소리는 여전히 생생해요.”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나고 자란 자흐라 호세이니(가명·25)는 이스라엘과의 ‘12일 전쟁’ 뒤 테헤란의 분위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8일 테헤란에서는 이스라엘과 교전 때 숨진 군 장성과 핵 과학자 등 희생자들의 장례식이 국장으로 열리는 등 이스라엘과의 전쟁 여파는 수습 중이지만, 불안한 공기는 여전히 시민들을 감싸고 있다. 자흐라와의 인터뷰는 휴전이 시작된 24일부터 26일까지 소셜미디어를 통해 했다.

자흐라는 이스라엘의 첫 공습이 있던 지난 13일 새벽을 여전히 또렷하게 기억한다. “새벽 3시쯤이었어요. 자고 있는데 동생이 폭발음을 듣고 저와 가족들을 깨웠고, 그 후에도 몇 번 더 큰 소리를 들었어요. 모두 심하게 긴장을 했죠.” 그 뒤로도 “하루걸러 폭탄 소리가 4∼5번씩 기본으로 들렸고, 정말 많이 쏟아지는 날에는 7∼8번씩도 굉음이 울리고, 집 전체가 흔들렸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지난 24일 이스라엘과 이란은 휴전에 합의했지만, 직후 이날 새벽 사이에도 양쪽은 미사일 공격을 이어갔다. 당시 기자와 소셜미디어로 소통하던 자흐라의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 “주택 인근 폭발로 정신이 없다”는 등의 답변은 테헤란 도심 내 위험한 상황을 가늠케 했다.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으로 이스라엘 대이란 교전이 시작되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테헤란을 떠났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더 많았다. 자흐라 가족도 현실적인 이유로 수도에 남게 됐다. 자흐라는 “피난을 가려면 돈이 필요한데 비용이 없어서 못 갔다. 어차피 지금 살고 있는 여기(테헤란)가 아니면 갈 곳도 없다”며 “많이 불안했지만, ’죽음을 피할 수 없다면, 일상을 이어가는 수밖에 없다’는 아버지 말에 진정하고 상황을 받아드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영국 가디언은 테헤란에 남아 있는 사람은 떠날 수 없는 처지인 경우가 많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동 수단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등 피난을 갈 경제적 여력이 없거나, 정부가 휴가를 내주지 않는 공무원 등이 해당한다.

사람들이 떠나면서 상점도 문을 많이 닫았지만, 여전히 도시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필요한 식료품을 사고 은행 업무도 보며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또, 해외와의 소통은 쉽지 않았지만, 자국 내 전화나 문자는 할 수 있어 소통에 문제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자흐라는 “인스타그램이나 엑스, 왓츠앱, 유튜브 등 대부분 앱이나 누리집 차단돼 있지만, 다들 우회접속(VPN)을 쓰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휴전 이후 현재 왓츠앱은 차단이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시 이란 정부는 주민 동요를 막기 위해 강하게 언론 통제를 했다. 당시 국제 모니터링 단체인 넷블록스는 이란 내 인터넷 트래픽이 50%가량 급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란 당국은 ‘왓츠앱’ 등 외산 메신저를 이용하면 이스라엘에 정보가 넘어간다며 차단하기도 했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을 걷고 있는 사람들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휴전 선언 이후 수도를 떠났던 사람들도 돌아오고 있지만, 자흐라는 “그들은 언제든 다시 공격할 수 있다”며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깊은 불신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솔직히 이스라엘이 왜 이란을 공격했는지, 그런 복잡한 얘기는 잘 모르겠다”고 말하면서도 “이스라엘은 늘 상대국에 ‘대화하고 싶다’, ‘지지한다’며 평화를 말해놓고는 결국 죄 없는 민간인을 공격해왔다. 이스라엘과 미국 언론을 믿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때문에 “망가진 일상이 바로 회복될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라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 묻는 질문에 자흐라는 조심스레 희망을 이야기했다. “취업준비생이니까 계속 노력해봐야죠.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독학하고 있는데, 나중에는 한국 유학도 갈 계획이에요.”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73 화장품도 '키링'으로…요즘 애들의 뷰티 활용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72 "더워서 생수 한 병 샀다가 통장 다 털렸다"…'워터보이즈' 주의보 뜬 美,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71 서북도서 北 기습상륙 대응은…백령도·연평도 ‘전략무기’ 배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70 [속보]'영끌' 원천봉쇄…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9 '사랑과 전쟁' 온탕과 냉탕 오간 미국-이란 70년 역사 [중동전쟁②]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8 임은정 김태훈 등 윤석열 정부 때 찍힌 검사들 화려하게 부활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7 [단독] 최태원 아들 최인근, SK E&S 휴직... 스타트업 준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6 다자녀 가구엔 ‘반값 혜택’이 뒤따르지···두산·LG·키움 경기 직관 ‘꿀팁’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5 내년도 최저임금 합의 실패…노 “1만1260원”, 사 “1만110원”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4 [단독]‘자격미달 업체’ 용역보고서···전남, 알고도 ‘전남도기록원’ 부지 선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3 “아 더워”…낮 최고기온 36도까지 오른다, 열대야도 계속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2 [단독] 신혼 버팀목대출 기준 상향도 취소…"왜 서민 대출 줄이나" 부글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1 9월부터 예금 1억까지 보호…단통법 10년 만에 폐지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60 이 대통령 “부처의 왕 노릇”···통합·분리 반복된 기재부, 중요한 것은 ‘운용의 묘’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9 [단독] 윤 관저 유령건물 공사비 ‘1억 공백’…자금 출처로 국정원 거론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8 “소득·부동산·부모”…20대부터 쌓이는 부의 속도가 다른 이유 [잇슈 머니]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7 지하철서 '엄카' 찍고 출퇴근한 40대 아들…1800만원 물게 됐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6 [단독] "월 10만원씩 18년 내면 5000만원"…국정위, 아이펀드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5 "공영방송 사장 국민이 뽑도록"‥촉구 '108배'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4 노조 생떼에 MG손보 매각 재추진… “자본잠식인데 누가 인수하나” new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