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란 현지 청년 인터뷰]
“공습 멈췄지만 언제든 또 공격 올 듯
피난 가려면 돈 필요…갈 곳도 없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에서 장사를 다시 시작한 상인과 장을 보는 사람들 모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종일 울리던 굉음이 멈췄고, 사람들은 다시 테헤란으로 돌아오고 있어요. 하지만 새벽에 터지던 폭탄 소리는 여전히 생생해요.”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나고 자란 자흐라 호세이니(가명·25)는 이스라엘과의 ‘12일 전쟁’ 뒤 테헤란의 분위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8일 테헤란에서는 이스라엘과 교전 때 숨진 군 장성과 핵 과학자 등 희생자들의 장례식이 국장으로 열리는 등 이스라엘과의 전쟁 여파는 수습 중이지만, 불안한 공기는 여전히 시민들을 감싸고 있다. 자흐라와의 인터뷰는 휴전이 시작된 24일부터 26일까지 소셜미디어를 통해 했다.

자흐라는 이스라엘의 첫 공습이 있던 지난 13일 새벽을 여전히 또렷하게 기억한다. “새벽 3시쯤이었어요. 자고 있는데 동생이 폭발음을 듣고 저와 가족들을 깨웠고, 그 후에도 몇 번 더 큰 소리를 들었어요. 모두 심하게 긴장을 했죠.” 그 뒤로도 “하루걸러 폭탄 소리가 4∼5번씩 기본으로 들렸고, 정말 많이 쏟아지는 날에는 7∼8번씩도 굉음이 울리고, 집 전체가 흔들렸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지난 24일 이스라엘과 이란은 휴전에 합의했지만, 직후 이날 새벽 사이에도 양쪽은 미사일 공격을 이어갔다. 당시 기자와 소셜미디어로 소통하던 자흐라의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 “주택 인근 폭발로 정신이 없다”는 등의 답변은 테헤란 도심 내 위험한 상황을 가늠케 했다.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으로 이스라엘 대이란 교전이 시작되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테헤란을 떠났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더 많았다. 자흐라 가족도 현실적인 이유로 수도에 남게 됐다. 자흐라는 “피난을 가려면 돈이 필요한데 비용이 없어서 못 갔다. 어차피 지금 살고 있는 여기(테헤란)가 아니면 갈 곳도 없다”며 “많이 불안했지만, ’죽음을 피할 수 없다면, 일상을 이어가는 수밖에 없다’는 아버지 말에 진정하고 상황을 받아드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영국 가디언은 테헤란에 남아 있는 사람은 떠날 수 없는 처지인 경우가 많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동 수단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등 피난을 갈 경제적 여력이 없거나, 정부가 휴가를 내주지 않는 공무원 등이 해당한다.

사람들이 떠나면서 상점도 문을 많이 닫았지만, 여전히 도시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필요한 식료품을 사고 은행 업무도 보며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또, 해외와의 소통은 쉽지 않았지만, 자국 내 전화나 문자는 할 수 있어 소통에 문제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자흐라는 “인스타그램이나 엑스, 왓츠앱, 유튜브 등 대부분 앱이나 누리집 차단돼 있지만, 다들 우회접속(VPN)을 쓰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휴전 이후 현재 왓츠앱은 차단이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시 이란 정부는 주민 동요를 막기 위해 강하게 언론 통제를 했다. 당시 국제 모니터링 단체인 넷블록스는 이란 내 인터넷 트래픽이 50%가량 급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란 당국은 ‘왓츠앱’ 등 외산 메신저를 이용하면 이스라엘에 정보가 넘어간다며 차단하기도 했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을 걷고 있는 사람들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휴전 선언 이후 수도를 떠났던 사람들도 돌아오고 있지만, 자흐라는 “그들은 언제든 다시 공격할 수 있다”며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깊은 불신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솔직히 이스라엘이 왜 이란을 공격했는지, 그런 복잡한 얘기는 잘 모르겠다”고 말하면서도 “이스라엘은 늘 상대국에 ‘대화하고 싶다’, ‘지지한다’며 평화를 말해놓고는 결국 죄 없는 민간인을 공격해왔다. 이스라엘과 미국 언론을 믿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때문에 “망가진 일상이 바로 회복될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라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 묻는 질문에 자흐라는 조심스레 희망을 이야기했다. “취업준비생이니까 계속 노력해봐야죠.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독학하고 있는데, 나중에는 한국 유학도 갈 계획이에요.”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30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랭크뉴스 2025.07.02
50129 그들에겐 수도권이 천국이었다…마침내 드러난 러브버그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128 李 "주택이 투자·투기수단 됐다"…대안으로 '주식' 꺼낸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127 법사소위, 오늘 상법 개정안 심사…여야 합의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2
50126 사랑의 묘약? 미의 표현?…15세 신라여인은 왜 ‘비단벌레 금동관’ 썼나[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2
50125 尹이 박박 기던 무명검사 때, 조은석은 펄펄 날던 스타였다 [특검 150일 ①] 랭크뉴스 2025.07.02
50124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23 상암동서 전기차 인도로 돌진…벤치 앉아있던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2
50122 [단독] 여당, 상법 '3% 룰' 빼고 내일 본회의 처리한다 랭크뉴스 2025.07.02
50121 [단독] 트럼프와 상견례 못했는데…"中, 9월 전승절에 李초청 타진" 랭크뉴스 2025.07.02
50120 [李대통령 취임한달] '빠른 국정안정' 초점…내각구성·추경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2
50119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24%에서 30~35%로 상향 시사 압박 랭크뉴스 2025.07.02
50118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남남서쪽 바다 규모 5.0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5.07.02
50117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로 상향 가능성 시사 랭크뉴스 2025.07.02
50116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주중 대통령 서명 전망 랭크뉴스 2025.07.02
50115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2
50114 노 1만1260원 vs 사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 여전히 큰 간극 랭크뉴스 2025.07.02
50113 ‘트럼프 감세법’ 상원서 마라톤 협상…공화당, 온갖 꼼수에도 이탈자 가속 랭크뉴스 2025.07.02
50112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연장 생각 안 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7.02
50111 상법 데드라인 이틀 앞 협상 급물살…與 "3%룰은 뺄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7.02